목차
≪ 서 론 ≫
신· 구 무역이론에 관하여.
≪ 본 론 ≫
<고전무역이론>
◇ 절대우위론
◇ 비교우위론
◇ 경쟁 우위론
<근대 무역이론>
◇ 기회비용설
◇ 헥셔-오린 정리
◇ 요소부존이론
◇ 요소가격균등화 정리
◇ 레온티에프 역설
<신무역패턴 결정이론>
◇ 숙련노동설
◇ 기술격차론
◇ 연구개발론
◇ 대표적 수요이론
◇ 입수가능성론
◇ 생산물순환론
◇ 환경격차설
◇ 립친스키 정리
◇ 기술진보(technological progress)
◇ 기술진보의 유형
◇ 중립적 기술진보(neutral technological progress)
◇ 노동절약적 기술진보(laborsaving technological progress)
◇ 자본절약적 기술진보(capitalsaving technological progress)
≪ 결 론 ≫
◇ 마치며.
◇ 참고문헌
신· 구 무역이론에 관하여.
≪ 본 론 ≫
<고전무역이론>
◇ 절대우위론
◇ 비교우위론
◇ 경쟁 우위론
<근대 무역이론>
◇ 기회비용설
◇ 헥셔-오린 정리
◇ 요소부존이론
◇ 요소가격균등화 정리
◇ 레온티에프 역설
<신무역패턴 결정이론>
◇ 숙련노동설
◇ 기술격차론
◇ 연구개발론
◇ 대표적 수요이론
◇ 입수가능성론
◇ 생산물순환론
◇ 환경격차설
◇ 립친스키 정리
◇ 기술진보(technological progress)
◇ 기술진보의 유형
◇ 중립적 기술진보(neutral technological progress)
◇ 노동절약적 기술진보(laborsaving technological progress)
◇ 자본절약적 기술진보(capitalsaving technological progress)
≪ 결 론 ≫
◇ 마치며.
◇ 참고문헌
본문내용
며, 원목을 수입하는 경우 이 원목의 입수가능성이 국내에서는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입수가능성의 여부, 혹은 격차에 따라 무역패턴이 결정되는 것은 천연자원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공산품에도 해당된다고 한다. 공산품의 입수가능성을 결정하는 것은 주로 생산기술인데, 어느 공산품을 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거나 도입되는 경우 그 공산품은 국내에서 입수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출이 가능하다고 한다.
생산물순환론
생산물순환론(theory of product life cycle)이란 무역패턴의 결정요인을 제품의 순환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성을 적용하여 규명한 이론을 말한다. 무역패턴의 결정요인을 제품의 순환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적용하여 규명한 것은 생물이 1대에 걸쳐 출생-성장-성숙-쇠퇴하는 일련의 생명순환(life cycle)과정을 겪는 바와 같이 일반제품도 연구개발에 의하여 시장에 나와 성장기와 성숙기를 거쳐 쇠퇴해 버리는 제품순환과정을 겪게 되는 데 그 이유가 있다.
이 생산물 순환론을 주장한 학자가 버논(R. Vernon)이다. 생산물순환론의 특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생산물순환의 각 과정에 따라 산업의 생산입지가 국제적으로 이동되므로 국제무역과 국제투자의 패턴도 변동된다는 것이다. 즉 동일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라도 생산물의 각 순환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요공급의 요인에 따라 국내에서 생산 판매하는 단계가 있고, 이러한 기업활동과 더불어 외국에서 판매(수출)하는 단계가 있는가 하면 외국에 직접 투자하여 그곳에서 생산된 제품을 제3국으로 수출하거나, 혹은 본국으로 수입(역수출)하는 단계가 있으므로 국제무역과 국제투자의 패턴은 변동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환경격차설
환경격차설이란 산업공해 방지를 위하여 투입되는 환경관리비용이 각국간의 비교우위구조를 변동시키고 무역패턴을 결정한다는 가설이다. 이 가설이 대두된 것은 최근 환경파괴방지를 위하여 투입되는 환경관리비용이 제품의 생산비를 상승시켜 수출상품의 국제경쟁력을 변동시킬 뿐 아니라 무역패턴을 변동시키기 때문이다. 이 가설은 미국의 맘그렌(H. B. Malmgren), 월트(I.Waiter)등에 의하여 주장되었다. 환경격차설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환경보호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나라에서는 산업공해를 규제하는 데 비하여 다른 나라에서는 이를 규제하지 않는다거나 혹은 허술하게 규제할 경우, 전자에서 생산되는 상품의 코스트는 상승되지만 후자에서 생산되는 상품의 코스트는 상승되지 않기 때문에 양자간의 비교생산비차가 발생되어 무역패턴이 변동된다는 것이다.
립친스키 정리
립친스키 정리란 어느 생산요소의 부존량이 일정한데 다른 생산요소의 공급량이 증가될 경우, 생산물의 상대가격이 일정하고 요소집약도가 변동되지 않는다면 그 증가된 생산요소를 보다 집약적으로 사용하는 생산물의 생산량은 증가되고, 생산요소를 집약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생산물의 생산량은 감소된다는 정리를 말한다, 이 명제는 립친스키(T. M. Rybczynski)에 의하여 주장되었다. 립친스키 정리는 생산요소의 공급량이 증가될 경우 생산패턴, 무역패턴, 교역조건이 어떻게 변동되는가를 설명해 주는 명제이다.
기술진보(technological progress)
기술진보(technological progress)란 1단위의 생산물을 산출하는 데 필요한 생산비를 초기의 생산비 이하로 인하시키는 것을 말한다. 기술진보란 반드시 과학적, 공학적 지식의 확대만을 의미하지 않고 새로운 생산물을 산출한다든지, 또는 새로운 생산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기술진보는 생산요소의 투입량과 그 비율을 변동시켜 생산물의 요소집약도 즉 자본, 노동의 최적비율을 변동시키고 생산요소의 상대가격 즉 요소가격비율을 변동시키며 두 상품의 생산량을 변동시킨다. 이는 국제무역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기술진보가 국제무역에 미치는 효과는 바그와티(J. Bhagwati), 코덴(W. M. Corden), 핀드래이(R. Findlay) 및 그루버트(H. Grubert)등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기술진보의 유형
중립적 기술진보(neutral technological progress)
중립적 기술진보란 생산요소의 일정한 가격비율하에서 1단위의 생산물을 산출하는 데 필요한 노동과 자본을 동일한 비율로 절약시키는 기술진보를 말한다. 중립적 기술진보는 노동과 자본의 한계생산력을 동일한 비율로 증가시키기 때문에 일정한 요소집약도하에서는 생산요소의 한계대체율이 전혀 변동되지 않는다.
노동절약적 기술진보(laborsaving technological progress)
노동절약적 기술진보란 일정한 요소가격비율하에서 노동의 절약률이 자본의 절약률보다 큰 유형의 기술진보를 말한다. 노동절약적 기술진보는 자본의 한계생산력을 노동의 한계생산력보다 증가시키므로 일정한 요소집약도하에서 생산요소의 한계대체율이 감소된다.
자본절약적 기술진보(capitalsaving technological progress)
자본절약적 기술진보란 일정한 요소가격 비율하에서 자본의 절약률이 노동의 절약률보다 큰 유형의 기술진보를 말한다. 자본절약적 기술진보는 노동의 한계생산력을 자본의 한계생산력보다 증가시키기 때문에 일정한 요소집약도하에서는 생산요소의 한계대체율이 증가된다.
결 론
마치며.
무역학과 학도로서 무역이론에 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었고 여러 무역이론에 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삼학년이지만 일학년 수업을 들으면서 잘 할 수 있다는 오만함에 빠져있던 제 자신에 다시 한번 뒤 돌아 보고 공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주신 교수님께 머리숙여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차후에도 강의 시간에 배운 내용들과 이번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공부한 내용들을 토대로 할걸음 더 발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참고문헌.
코트라 www.kotra.go.kr
키트라 www.kitra.net
무역학원론 서갑성외 | 형설출판사 | 2007.09.10
국제무역론 DOMINICK SALVATORE | 김갑용 | 시그마프레스 | 2007.01.26
국제통상론 조영정 | 이퍼블릭(법문사) | 2003.02.08
생산물순환론
생산물순환론(theory of product life cycle)이란 무역패턴의 결정요인을 제품의 순환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성을 적용하여 규명한 이론을 말한다. 무역패턴의 결정요인을 제품의 순환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적용하여 규명한 것은 생물이 1대에 걸쳐 출생-성장-성숙-쇠퇴하는 일련의 생명순환(life cycle)과정을 겪는 바와 같이 일반제품도 연구개발에 의하여 시장에 나와 성장기와 성숙기를 거쳐 쇠퇴해 버리는 제품순환과정을 겪게 되는 데 그 이유가 있다.
이 생산물 순환론을 주장한 학자가 버논(R. Vernon)이다. 생산물순환론의 특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생산물순환의 각 과정에 따라 산업의 생산입지가 국제적으로 이동되므로 국제무역과 국제투자의 패턴도 변동된다는 것이다. 즉 동일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라도 생산물의 각 순환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요공급의 요인에 따라 국내에서 생산 판매하는 단계가 있고, 이러한 기업활동과 더불어 외국에서 판매(수출)하는 단계가 있는가 하면 외국에 직접 투자하여 그곳에서 생산된 제품을 제3국으로 수출하거나, 혹은 본국으로 수입(역수출)하는 단계가 있으므로 국제무역과 국제투자의 패턴은 변동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환경격차설
환경격차설이란 산업공해 방지를 위하여 투입되는 환경관리비용이 각국간의 비교우위구조를 변동시키고 무역패턴을 결정한다는 가설이다. 이 가설이 대두된 것은 최근 환경파괴방지를 위하여 투입되는 환경관리비용이 제품의 생산비를 상승시켜 수출상품의 국제경쟁력을 변동시킬 뿐 아니라 무역패턴을 변동시키기 때문이다. 이 가설은 미국의 맘그렌(H. B. Malmgren), 월트(I.Waiter)등에 의하여 주장되었다. 환경격차설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환경보호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나라에서는 산업공해를 규제하는 데 비하여 다른 나라에서는 이를 규제하지 않는다거나 혹은 허술하게 규제할 경우, 전자에서 생산되는 상품의 코스트는 상승되지만 후자에서 생산되는 상품의 코스트는 상승되지 않기 때문에 양자간의 비교생산비차가 발생되어 무역패턴이 변동된다는 것이다.
립친스키 정리
립친스키 정리란 어느 생산요소의 부존량이 일정한데 다른 생산요소의 공급량이 증가될 경우, 생산물의 상대가격이 일정하고 요소집약도가 변동되지 않는다면 그 증가된 생산요소를 보다 집약적으로 사용하는 생산물의 생산량은 증가되고, 생산요소를 집약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생산물의 생산량은 감소된다는 정리를 말한다, 이 명제는 립친스키(T. M. Rybczynski)에 의하여 주장되었다. 립친스키 정리는 생산요소의 공급량이 증가될 경우 생산패턴, 무역패턴, 교역조건이 어떻게 변동되는가를 설명해 주는 명제이다.
기술진보(technological progress)
기술진보(technological progress)란 1단위의 생산물을 산출하는 데 필요한 생산비를 초기의 생산비 이하로 인하시키는 것을 말한다. 기술진보란 반드시 과학적, 공학적 지식의 확대만을 의미하지 않고 새로운 생산물을 산출한다든지, 또는 새로운 생산방법을 적용하는 것을 말한다. 기술진보는 생산요소의 투입량과 그 비율을 변동시켜 생산물의 요소집약도 즉 자본, 노동의 최적비율을 변동시키고 생산요소의 상대가격 즉 요소가격비율을 변동시키며 두 상품의 생산량을 변동시킨다. 이는 국제무역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기술진보가 국제무역에 미치는 효과는 바그와티(J. Bhagwati), 코덴(W. M. Corden), 핀드래이(R. Findlay) 및 그루버트(H. Grubert)등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기술진보의 유형
중립적 기술진보(neutral technological progress)
중립적 기술진보란 생산요소의 일정한 가격비율하에서 1단위의 생산물을 산출하는 데 필요한 노동과 자본을 동일한 비율로 절약시키는 기술진보를 말한다. 중립적 기술진보는 노동과 자본의 한계생산력을 동일한 비율로 증가시키기 때문에 일정한 요소집약도하에서는 생산요소의 한계대체율이 전혀 변동되지 않는다.
노동절약적 기술진보(laborsaving technological progress)
노동절약적 기술진보란 일정한 요소가격비율하에서 노동의 절약률이 자본의 절약률보다 큰 유형의 기술진보를 말한다. 노동절약적 기술진보는 자본의 한계생산력을 노동의 한계생산력보다 증가시키므로 일정한 요소집약도하에서 생산요소의 한계대체율이 감소된다.
자본절약적 기술진보(capitalsaving technological progress)
자본절약적 기술진보란 일정한 요소가격 비율하에서 자본의 절약률이 노동의 절약률보다 큰 유형의 기술진보를 말한다. 자본절약적 기술진보는 노동의 한계생산력을 자본의 한계생산력보다 증가시키기 때문에 일정한 요소집약도하에서는 생산요소의 한계대체율이 증가된다.
결 론
마치며.
무역학과 학도로서 무역이론에 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해볼 수 있었고 여러 무역이론에 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삼학년이지만 일학년 수업을 들으면서 잘 할 수 있다는 오만함에 빠져있던 제 자신에 다시 한번 뒤 돌아 보고 공부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주신 교수님께 머리숙여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차후에도 강의 시간에 배운 내용들과 이번 레포트를 준비하면서 공부한 내용들을 토대로 할걸음 더 발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참고문헌.
코트라 www.kotra.go.kr
키트라 www.kitra.net
무역학원론 서갑성외 | 형설출판사 | 2007.09.10
국제무역론 DOMINICK SALVATORE | 김갑용 | 시그마프레스 | 2007.01.26
국제통상론 조영정 | 이퍼블릭(법문사) | 2003.02.08
추천자료
[지능이론창의성이론]지능과 창의성에 관한 이론들 중에서 2개를 선정하여 비교논하시오-지능...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신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비고스키의 인지발달이론을 비교하고, 이 ...
[지능과창의성이론]지능과 창의성에 관한 이론들 중에서 2개를 선정하여 비교논하시오-지능창...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개념,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특성,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이론, 피아제 인...
정신분석 이론, 행동주의 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인지행동 상담이론
[인지발달이론] 인지발달이론, 장 피아제 인지발달이론, 발달의 일반적 원리, 피아제 이론 관...
행동주의 이론에서는 학습을 자극에 대한 반응의 관계로 보고 있으며, 대표적인 이론인 스키...
위험사회와 사회학이론 - 마르크스의 갈등이론, 비판이론(프랑크 푸르트 학파)과 후기 구조주...
[진로상담이론] 파슨스(파슨즈/Parsons)의 특성-요인이론의 배경과 내용(이론의 개요, 이론의...
[진로상담이론] 진로進路상담 분야의 대안이론의 개관 - 대안이론의 발생 배경, 진로무질서이...
[진로상담이론] 고트프레드슨(고프레슨/Gottfredson)의 제한-타협이론 개관 - 발달단계이론(...
[진로進路상담이론] 진로의사결정이론의 개관 - 진로의사결정의 개념, 진로의사결정수준 이론...
[진로상담이론] 직업적응이론의 개관 -성격구조(personality structure)와 성격양식(personal...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 반두라의 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