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대 (한나라) 형벌의 종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대 (한나라) 형벌의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1)법률
2.(2)형벌제도
2.(3)유가와 법률

3. 나오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범하려는 마음을 고치게 하는 것을 이상으로 삼는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교화만으로는 미흡하므로 형벌로 나머지 교화의 모자라는 부분을 채우려 한다.
율령과 경서를 한번 살펴보자. 형벌이 일단 유가사상속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자 율령과 유교는 상호적으로 채워지고 채우기도 하는 관계가 되었다. 다시 말하면, 율령에 의거하여 마땅히 처벌되어야 하지만, 이에 앞서 인정(人情)에 맞아야 한다. 법리에게 법규를 엄격하게 지킬 것을 요구하면서도 예외가 종종 있었다. 즉 경서의 이데올로기를 재판에 응용하기도 했다. 이는 율령이외에 관습법, 경전들이 공공연히 형벌의 기준으로서 역할을 했다고 여겨진다. 또한 군주도 법의 준수를 요구 받았다.하지만 이는 군자의 자의적인 판단을 인정한다는 것이 유가의 일반적인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3. 나오는 말
지금까지 한나라의 형벌제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우리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은 형벌이 주는 강제성에 의한 사회상의 변화이다. 법률에는 그 시대 그 나라가 추구하는 가치가 반영되어 있으며, 그 시대를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일 것이다.
중국을 최초로 통일한 진나라를 비롯해서 한나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법률은 점차 인본주의적으로 변화되었으며 또한 한나라 후기로 갈수록 유가적 성향은 점점 짙어진다. 사회가 변화하고 발전하면서 군주들은 점차 백성들과 협력해야 되었으며 법률을 반포하여 관민이 함께 지키는 준칙으로 삼아 백성의 합작을 취하게 되었다. 본래 백성을 진압하기 위한 의미의 법률에서 백성이 그 다스림을 받아들이는 협약이 되었고, 마침내는 관민이 함께 지켜야 하는 조례가 되었던 것이다.
◆참고 문헌◆
★ 박원호,『중국의 역사와 문화』,고려대출판부, 1997.
★ 전약성,『중국통사(상)』,도서출판 지영사, , 1998.
★ 이춘식,『중국고대사의 전개』,도서출판 신서원, 1995.
★ 박원호,『중국고대사회』,동문선(東文選), 1997.
★ 전백찬,『중국전사(상)』,학민사, 1997.
★http://imdh.knu.ac.kr/asia/jungchi/wwwboard-3.0.1/CrazyWWWBoard.cgi?db=bugi&mode=read&num=3&page=1&ftype=6&fval=&backdepth=1
★http://imdh.knu.ac.kr/debate/ryulso/wwwboard-3.0.1/data/gugo/%C0%A7%BC%AD%C7%FC%B9%FA%C1%F6.hwp
  • 가격9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07.23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5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