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한시대의 민작제도와 납속수작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진한시대의 민작제도와 납속수작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민작제도
1. 민작제도의 실시배경
2. 민작제도의 실시
3. 민작제도의 의의

III. 납속수작제
1. 납속수작제 실시 배경
2. 납속수작제의 실시와 그 결과

IV. 나오는 말

본문내용

. 진(秦)제국 때는 군사력 증강을 위해서 실시되었던 것으로 군공에 따라 작위를 지급하는 제도였다. 한(漢)제국의 민작제도는 대개 황제의 즉위ㆍ왕자출생ㆍ태자책봉 등 황실의 경사 또는 국가의 대사가 있을 때 종종 행해졌다. 이러한 민작제도의 실시 이유는 국가의 대표자인 황제가 이들에게 은혜를 베풀어 권력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였다. 한대의 황제권력은 자칫하면 인민과는 직접 관계가 없는 존재처럼 생각되기 쉽지만, 실제로는 일반민에게 작위를 하사하는 방식으로 양자는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었다. 납속수작제는 국가에 일정한 곡물을 납입한 자에게 그 양에 따라 일정한 작위를 수여하는 제도로서 이 제도 역시 백성들의 부담을 줄이고 생활을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이처럼 진한제국의 군주들은 이 같은 백성을 위한 여러 제도를 제정함으로써 국가의 조세, 군역, 부역 등을 맡고 있는 기반인 백성을 편안하게 만듦으로써 국가 전체의 안정을 꾀하려 하였다.
◐ 참고 문헌◑
이춘식, 《中華思想의 理解》, 서산원, 2003.
니시지마 사다오(최덕경, 임대희 옮김), 《중국의 역사 진한사》, 도서출판 혜안, 2004.
이근명, 《중국역사 상권》, 서산원, 2002.
이춘식, 《중국고대사의 전개》, 서산원, 2003.
梁元喆, 「漢代의 爵位에 대하여」, 부산사학 1, 1977.
______, 「爵을 통해 본 漢代의 庶人身分考 - 醫와 商賈를 중심으로 - 」, 부산사학 7, 1983.
閔成基, 《漢代入粟受爵制》, 부산교대학보 별책, 1963.
박아란, 《前漢 文帝의 諸政策과 皇帝像》, 서울대동양사학과논집 25, 2001.
  • 가격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6.07.23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5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