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원
2. 단원의 개관
3. 단원의 목표
4. 학습의 계통 및 관련
5. 과제 분석
6. 지도 계획
7. 평가 계획
8. 지도의 실제
가. 차시 및 시간
나. 일시 및 장소
다. 본시의 목표
라. 지도 과정
2. 단원의 개관
3. 단원의 목표
4. 학습의 계통 및 관련
5. 과제 분석
6. 지도 계획
7. 평가 계획
8. 지도의 실제
가. 차시 및 시간
나. 일시 및 장소
다. 본시의 목표
라. 지도 과정
본문내용
에서 애국조회를 했던 것을 기억하나요?
애국조회에서 교가를 부를 때 가사를 잘못 부른다면 여러분은 선생님이 보셨을까 걱정할까요?
반면에 지휘하는 학생이 지휘를 실수로 잘못했다면 그 학생은 선생님이 보셨을까 걱정할까요?
이 예를 생각하면서 한번 (2)번을 여러분이 직접 빈칸을 채워보세요.
자, 현이는 자신의 역할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습니까?
잘 대답했어요, 현이의 어떤 대사를 보고 그렇게 생각했나요?
여러분이 만약 현이였다면 어떤 마음으로 연극에 참여 했을까요?
그렇다면 이제까지 현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현이는 어떤 아이인 것 같나요?
◎ 글쓴이의 생각이나 심리를 파악한다.
: 이번에는 글쓴이의 생각이나 심리를 파악하는 활동입니다. 지난 시간에 선생님이 글쓴이의 생각이나 심리가 나타나는 부분에 밑줄을 그으라고 했습니다. 지금 짝꿍과 함께 서로 밑줄 친 부분을 확인해 보세요.
그리고 선생님이 나누어 준 활동지의 1번의 빈칸을 짝꿍과 함께 채워 봅시다.
(활동지를 배부한다.)
◎활동지 2번을 확인한다.
: 수필은 글쓴이의 체험과 체험을 바탕으로 느낀 점, 깨달음을 직접 글로 표현한 글이라고 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수필을 읽을 때 글쓴이의 체험과 글쓴이의 심리, 생각을 잘 파악해야 하는데요, 바로 1번이 그런 활동입니다. 왼쪽 칸이 바로 글쓴이의 체험이고 여러분이 글쓴이의 심리와 생각이 나타난 부분을 써보았습니다.
한번 발표해 봅시다.
◎글쓴이의 심리 변화를 정리한다.
: 발표를 잘했습니다. 친구가 발표한 내용을 참고해서 우리 2번을 같이 해보도록 할게요.
글쓴이가 연극을 보러가기 전에 기대와 걱정의 심정을 가지고 있었지요?
그리고 무대에서 현이를 찾을 수 없어 당황을 했고 그러다가 무대 배경인 풀잎들 가운데 하나가 현이라는 사실을 알고 실망을 했습니다.
◎ 글쓴이가 이 작품을 쓴 이유를 추측해본다.
: 수필은 경험과 그 경험으로 인한 자신의 생각이나 깨달음을 쓴 글이라고 했습니다. 글쓴이는 이런 경험과 생각, 깨달음을 왜 글로 표현한 것일까요?
잘 대답해 주었습니다. 그럼 글쓴이가 우리 독자들에게 무슨 말을 하고 싶었던 것일까요?
◎글쓴이의 경험과 비슷한 경험이 있는지 말해본다.
: 여러분은 현이나 현이 어머니와 같은 경험을 한 적이 있나요? 발표해 봅시다.
이 글을 읽고 나니 자신의 그런 경험에 대해 어떤 생각이 드나요?
또는 다음에도 그런 경험을 한다면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요?
풀잎 (배경)이었습니다.
각자 활동지 빈 칸을 채워본다.
비록 배경역할이지만 현이는 자신의 역할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는 성실한 아이다.
쓴 내용을 발표한다.
독자들에게 자신의 경험과 깨달음을 전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요즘 사람들은 최선보다는 최고를 지향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현이가 보잘것없는 역할에도 최선을 다하는 것을 글로 써서 독자들에게 어떤 일이든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 되자는 깨달음을 공유하기 위해서입니다.
자신의 경험을 솔직하게 이야기한다.
활동지(첨부)
학습자들이 활동지 활동을 하는 동안 잘 하고 있는지 돌아다니며 확인한다.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솔직하게, 그리고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유도한다.
18
정리
2
본시 학습 내용 정리
◎ 그림을 보며 수필의 감상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한다.
: 수필은 지은이의 생각과 인생관이 잘 나타난 글이라고 했지요? 우리는 이번 시간에 글쓴이의 의도나 심정, 깨달음을 파악하면서 자신의 경험과연관 지으면서 읽어보았습니다.
차시예고
◎ 차시 학습을 예고한다.
: 다음 시간에는 다른 수필을 통해서 글쓴이의 의도, 심정, 성격을 파악해 보는 활동을 해볼게요. 그럼 다음 시간에 만나요!
애국조회에서 교가를 부를 때 가사를 잘못 부른다면 여러분은 선생님이 보셨을까 걱정할까요?
반면에 지휘하는 학생이 지휘를 실수로 잘못했다면 그 학생은 선생님이 보셨을까 걱정할까요?
이 예를 생각하면서 한번 (2)번을 여러분이 직접 빈칸을 채워보세요.
자, 현이는 자신의 역할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습니까?
잘 대답했어요, 현이의 어떤 대사를 보고 그렇게 생각했나요?
여러분이 만약 현이였다면 어떤 마음으로 연극에 참여 했을까요?
그렇다면 이제까지 현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현이는 어떤 아이인 것 같나요?
◎ 글쓴이의 생각이나 심리를 파악한다.
: 이번에는 글쓴이의 생각이나 심리를 파악하는 활동입니다. 지난 시간에 선생님이 글쓴이의 생각이나 심리가 나타나는 부분에 밑줄을 그으라고 했습니다. 지금 짝꿍과 함께 서로 밑줄 친 부분을 확인해 보세요.
그리고 선생님이 나누어 준 활동지의 1번의 빈칸을 짝꿍과 함께 채워 봅시다.
(활동지를 배부한다.)
◎활동지 2번을 확인한다.
: 수필은 글쓴이의 체험과 체험을 바탕으로 느낀 점, 깨달음을 직접 글로 표현한 글이라고 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수필을 읽을 때 글쓴이의 체험과 글쓴이의 심리, 생각을 잘 파악해야 하는데요, 바로 1번이 그런 활동입니다. 왼쪽 칸이 바로 글쓴이의 체험이고 여러분이 글쓴이의 심리와 생각이 나타난 부분을 써보았습니다.
한번 발표해 봅시다.
◎글쓴이의 심리 변화를 정리한다.
: 발표를 잘했습니다. 친구가 발표한 내용을 참고해서 우리 2번을 같이 해보도록 할게요.
글쓴이가 연극을 보러가기 전에 기대와 걱정의 심정을 가지고 있었지요?
그리고 무대에서 현이를 찾을 수 없어 당황을 했고 그러다가 무대 배경인 풀잎들 가운데 하나가 현이라는 사실을 알고 실망을 했습니다.
◎ 글쓴이가 이 작품을 쓴 이유를 추측해본다.
: 수필은 경험과 그 경험으로 인한 자신의 생각이나 깨달음을 쓴 글이라고 했습니다. 글쓴이는 이런 경험과 생각, 깨달음을 왜 글로 표현한 것일까요?
잘 대답해 주었습니다. 그럼 글쓴이가 우리 독자들에게 무슨 말을 하고 싶었던 것일까요?
◎글쓴이의 경험과 비슷한 경험이 있는지 말해본다.
: 여러분은 현이나 현이 어머니와 같은 경험을 한 적이 있나요? 발표해 봅시다.
이 글을 읽고 나니 자신의 그런 경험에 대해 어떤 생각이 드나요?
또는 다음에도 그런 경험을 한다면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요?
풀잎 (배경)이었습니다.
각자 활동지 빈 칸을 채워본다.
비록 배경역할이지만 현이는 자신의 역할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는 성실한 아이다.
쓴 내용을 발표한다.
독자들에게 자신의 경험과 깨달음을 전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요즘 사람들은 최선보다는 최고를 지향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현이가 보잘것없는 역할에도 최선을 다하는 것을 글로 써서 독자들에게 어떤 일이든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 되자는 깨달음을 공유하기 위해서입니다.
자신의 경험을 솔직하게 이야기한다.
활동지(첨부)
학습자들이 활동지 활동을 하는 동안 잘 하고 있는지 돌아다니며 확인한다.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솔직하게, 그리고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유도한다.
18
정리
2
본시 학습 내용 정리
◎ 그림을 보며 수필의 감상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한다.
: 수필은 지은이의 생각과 인생관이 잘 나타난 글이라고 했지요? 우리는 이번 시간에 글쓴이의 의도나 심정, 깨달음을 파악하면서 자신의 경험과연관 지으면서 읽어보았습니다.
차시예고
◎ 차시 학습을 예고한다.
: 다음 시간에는 다른 수필을 통해서 글쓴이의 의도, 심정, 성격을 파악해 보는 활동을 해볼게요. 그럼 다음 시간에 만나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