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종합 실험장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학종합 실험장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5. 실험 Data 분석 및 결과

1) 용수철 상수 구하기

2) 경사면(힘)

3) 미끄럼마찰

본문내용

%로 표5에 해당하는 실험이 가장 못한 실험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표4번에 해당하는 실험이 평균 오차가 가장 낮으므로 그나마 가장 잘 된 실험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표4에 해당하는 실험중 3번째 실험이 이 실험에서 가장 잘 된 실험이었다.
2-3) 고찰
이 실험에서 무엇보다 오차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 은 각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각도에 의한 오차가 많이 발생한다는 의미다. 그러므로 각도를 좀 더 정확하게 제야 한다. 또 한 수평을 맞히는 것 또한 오차에 영향을 미친다. 이를 맞추지 못한다면 힘의 평형이 되지 않기 때문에 원하고자 하는 힘의 크기를 구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의 실험에 사용되는 자석의 세기를 적절하게 하여서 수평을 좀 더 맞추기 용이하게 만들뿐만 아니라. T자를 이용한다든지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최선을 다해야 할 것 이다. 그리고 마지막 요인으로 실에 의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이 있다.
3) 미끄럼마찰
3-1) 계산값
질량(g)
수직항력
(dyne)
(dyne)
A
B
C
A
B
C
95
93125
24500
19600
19600
0.26308
0.21047
0.21047
145
142125
34300
34300
14700
0.24133
0.24133
0.10343
195
191134
83300
53900
24500
0.4358
0.28200
0.12818
3-2) Data 분석
이 실험에서는 A와 B의 값이 같고 C의 값만 다르게 나와야하는 실험이었다. 마찰면의 면적과 관계없이 값이 일정히 나와야 하며, 재질이 변하였을 때만이 그 값이 변하는 실험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 계산 값을 보면 알겠지만 2번 실험만 해당하고 나머지는 그렇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이 실험이 잘못되었다는 것 을 충분히 짐작 할 수 있다.
3-3) 고찰
그렇다면 위와 같은 잘못된 결과가 나오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일차적으로 추 질량의 다양성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추 질량의 크기차이가 10정도가 되었기 때문에 10미만의 질량변화가 불가능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히 평형을 맞추지 못하고 대략적인 힘의 평형을 맞추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C의 결과같이 확연하게 많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테이프의 노후로 인하여 거의 마찰력이 없어 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잘 미끄러졌다. 그러므로 정확한 실험을 위해서는 테이프도 새로 뜯어서 해보아야 할 것 이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5.06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8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