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5. 실험 Data 분석 및 결과
1) 용수철 상수 구하기
2) 경사면(힘)
3) 미끄럼마찰
1) 용수철 상수 구하기
2) 경사면(힘)
3) 미끄럼마찰
본문내용
%로 표5에 해당하는 실험이 가장 못한 실험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표4번에 해당하는 실험이 평균 오차가 가장 낮으므로 그나마 가장 잘 된 실험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표4에 해당하는 실험중 3번째 실험이 이 실험에서 가장 잘 된 실험이었다.
2-3) 고찰
이 실험에서 무엇보다 오차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 은 각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각도에 의한 오차가 많이 발생한다는 의미다. 그러므로 각도를 좀 더 정확하게 제야 한다. 또 한 수평을 맞히는 것 또한 오차에 영향을 미친다. 이를 맞추지 못한다면 힘의 평형이 되지 않기 때문에 원하고자 하는 힘의 크기를 구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의 실험에 사용되는 자석의 세기를 적절하게 하여서 수평을 좀 더 맞추기 용이하게 만들뿐만 아니라. T자를 이용한다든지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최선을 다해야 할 것 이다. 그리고 마지막 요인으로 실에 의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이 있다.
3) 미끄럼마찰
3-1) 계산값
질량(g)
수직항력
(dyne)
(dyne)
A
B
C
A
B
C
95
93125
24500
19600
19600
0.26308
0.21047
0.21047
145
142125
34300
34300
14700
0.24133
0.24133
0.10343
195
191134
83300
53900
24500
0.4358
0.28200
0.12818
3-2) Data 분석
이 실험에서는 A와 B의 값이 같고 C의 값만 다르게 나와야하는 실험이었다. 마찰면의 면적과 관계없이 값이 일정히 나와야 하며, 재질이 변하였을 때만이 그 값이 변하는 실험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 계산 값을 보면 알겠지만 2번 실험만 해당하고 나머지는 그렇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이 실험이 잘못되었다는 것 을 충분히 짐작 할 수 있다.
3-3) 고찰
그렇다면 위와 같은 잘못된 결과가 나오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일차적으로 추 질량의 다양성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추 질량의 크기차이가 10정도가 되었기 때문에 10미만의 질량변화가 불가능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히 평형을 맞추지 못하고 대략적인 힘의 평형을 맞추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C의 결과같이 확연하게 많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테이프의 노후로 인하여 거의 마찰력이 없어 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잘 미끄러졌다. 그러므로 정확한 실험을 위해서는 테이프도 새로 뜯어서 해보아야 할 것 이다.
2-3) 고찰
이 실험에서 무엇보다 오차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 은 각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각도에 의한 오차가 많이 발생한다는 의미다. 그러므로 각도를 좀 더 정확하게 제야 한다. 또 한 수평을 맞히는 것 또한 오차에 영향을 미친다. 이를 맞추지 못한다면 힘의 평형이 되지 않기 때문에 원하고자 하는 힘의 크기를 구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의 실험에 사용되는 자석의 세기를 적절하게 하여서 수평을 좀 더 맞추기 용이하게 만들뿐만 아니라. T자를 이용한다든지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최선을 다해야 할 것 이다. 그리고 마지막 요인으로 실에 의하여 발생하는 마찰력이 있다.
3) 미끄럼마찰
3-1) 계산값
질량(g)
수직항력
(dyne)
(dyne)
A
B
C
A
B
C
95
93125
24500
19600
19600
0.26308
0.21047
0.21047
145
142125
34300
34300
14700
0.24133
0.24133
0.10343
195
191134
83300
53900
24500
0.4358
0.28200
0.12818
3-2) Data 분석
이 실험에서는 A와 B의 값이 같고 C의 값만 다르게 나와야하는 실험이었다. 마찰면의 면적과 관계없이 값이 일정히 나와야 하며, 재질이 변하였을 때만이 그 값이 변하는 실험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 계산 값을 보면 알겠지만 2번 실험만 해당하고 나머지는 그렇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이 실험이 잘못되었다는 것 을 충분히 짐작 할 수 있다.
3-3) 고찰
그렇다면 위와 같은 잘못된 결과가 나오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일차적으로 추 질량의 다양성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추 질량의 크기차이가 10정도가 되었기 때문에 10미만의 질량변화가 불가능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정확히 평형을 맞추지 못하고 대략적인 힘의 평형을 맞추었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C의 결과같이 확연하게 많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테이프의 노후로 인하여 거의 마찰력이 없어 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잘 미끄러졌다. 그러므로 정확한 실험을 위해서는 테이프도 새로 뜯어서 해보아야 할 것 이다.
추천자료
채찍 효과(Bullwhip Effect)의 개념, 발생원인, 해결방안
[아내학대가족] 가정폭력의 정의와 실태, 아내학대의 발생원인과 문제점, 아내학대가족 서비...
이랜드 (e-land) 비정규직 사태 개요, 발생원인, 핵심쟁점, 타협결과, 시사점, 문제해결 사...
탄소발자국의 현재 국내 운용현황,탄소발자국의 정의 및 발생원인,탄소라벨링제도,탄소발자국...
장애인복지 - 개념, 장애유형, 현황, 발생원인, 장애인의 재활, 장애인복지정책, 접근권, 자...
[사회복지론] 미혼부모 청소년 (미혼부모 청소년의 개념, 발생원인, 현황 및 욕구조사, 부정...
한부모가족 아동 (한부모가족의 개념 및 유형, 특성, 발생원인, 실태, 문제점 및 사례).PPT자료
가정폭력과 가족복지(가정폭력범위, 유형, 실태, 발생원인, 실체, 가족복지대책)
알콜중독가족(알콜중독정의,특징, 알콜중독가족정의, 발생원인, 문제점, 알콜중독가족복지대...
[미래의 불확실성] 불확실성(uncertainty)의 발생원인과 감소방안
대한민국은 지금 ‘푸어 공화국’ - 푸어의 발생원인,하우스 푸어의 문제점,하우스 푸어의 문제점
가족문제 [정의, 종류, 해체, 발생원인, 이혼, 문제점, 해결방안, 가출, 아동학대]
최근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은둔형 외톨이, 일명 히키코모리의 발생원인과 해결방안은 무엇인...
최근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은둔형 외톨이 일명, 히키코모리의 발생원인과 해결방안은 무엇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