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학사 강의 노트 필기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철학사 강의 노트 필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신라전체를 불교국가로 완벽하게 다지는데 앞장 섬.
c.화엄,정토 사상이 가미 됨.(화엄은 화엄일승법계도가 영항을 미침)
d.화엄일승법계도에 따르면 예토(생멸)와 정토(진여)가 두 개가 아니다.
e.정토는 현실로부터 떨어져 있음.
f.현실정토까지 끌어감.(현실은 예토이면서 정토)
◇ 불교종파를 통합하는 사상적 논리와 근거
*원효=염불과 보살 *의상=화엄일승법계
(왕즉불, 불국정토, 현실정토)
*백제(미륵정토) 신라(서방정토, 아미타정토, 관세음보살)
7.5. 고려 불교
7.5.1. 통일신라 말기의 불교: 시대적 배경, 선종의 수용
◇ 시대적 배경
· 통일신라초기-불교정점→원효, 의상→그 이후로 멈춤.
· 의상이후 더 이상의 발전없게 됨. 668~991(통일신라)
· 750년경 신라 쇠퇴기, 불교는 새로운 사상적 동력 못 가지게 됨
· 최치원-유교사상은 골품의 한계 때문에 두드러지지 못함.
· 분열-지방호족세력 강해짐. 통제불능상태→지방분권이 이루어짐.
· 중국-800년 초까지 천태종, 화엄종, 선종
· 750년 이후 선종이 신라에 대거 수용되기 시작함.
· 왕족 아닌 지방호족들(선종)-자치권획득(정치, 군사, 사상, 이념)
· 공인이라는 방식과는 다름, 지방호족이 사상적 군사적 기틀을 마련하려 함.
(750~950년)
· 구산선문(9개의 산에서 이루어짐)-통일신라말~고려초
· 왕건이 지방호족 통합하기 위해 혼인정책 씀.→고, 백, 신 통일국가
7.5.2. 고려 초기의 불교: 오교 양종
▶936년부터 지방호족의 종교이념을 국가차원에서 통합시킬 것인가??

① 사상적 통일 문제-불교내적문제
② 군사 경제적 문제-불교외적문제

◇ 해결책
a.호족들에 대한 지방관료를 키워줌으로 해결.
b.호족의 자리에 관료(유학자)를 내보냄.(골품제가 없으므로 유학장려)
*정치, 경제, 학술, 제도적 측면에선 유교국가.
*하지만 아직 종교이념보다 우선하진 않음(불교국가)
*불교국가-지방의 선종 vs 중앙의 교종 대립.
7.5.3. 고려 불교의 확립: 왕권확립과 의천
◇ 의천
a.화엄종 배웠지만 천태종 배우러 감.
b.화엄종→천태종→교종→선종
c.고려초기까지 있는 교종의 종파
①계율종 ②법성종 ③법상종 ④화엄종(핵심-의상 때문에 가장 발전) ⑤열반종
d.화엄종은 나머지 종파 통합능력 상실→새로운 교종 통해 선종을 통합하려 함.
떠오르는 샛별-천태종 대두
*중국의 경우 천태종841년 탄압 후 소멸, 이미 천태사상은 통일 신라에 전파되어
고려까지 이어짐. 하지만 하나의 종파로 되지는 않음.
*천태종(중국→통일신라→중국)다시 천태종이 중국으로 전해짐-오늘날의 천태종
→다시 받은 천태사상은 발전-그 사상을 의천이 중국가서 배움.
①선종과 교종 통합하기에 가장 좋은 사상-천태종
②천태종 중심으로 교종통합→교종중심으로 선종통합
③핵심사상->교(교종)관(선종)겸수 : 천태종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논리
* 화엄경보다 교종과 선종을 통합하기에 더 쉬웠음-하지만 여전히 교종중심의 통합
* 문종 때 안정됨. 유교발전과 불교통합이 동시에 이루어짐.
* 1050년을 기준으로 해서 1100년까지 분열(이자겸의 난, 무신의 난...)
* 유학자들→문벌귀족화→타락→무신경시
* 불교타락(궁중불교-국가이념적으로 불교이지만 문벌귀족(유학자)가 실세)
* 궁중불교의 이름에서 사원의 사유화(사굴:도적의 소굴)가 이루어짐.
* 불교개혁의 선봉-지눌(불교개혁의 목적)
* 불교개혁운동(불교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기 위함)
7.5.4. 고려 불교의 개혁: 정혜결사와 지눌
◇ 지눌-승과(선종)에 합격한 스님(승과:①교종②선종)
-자기 자신의 출세는 보장되었지만 타락한 구도자가 될 것이냐,
개혁을 할 것이냐를 고민
-결사를 맺음(조직결성):정혜 결사(불교개혁운동은 '정'과 '혜'의 실천으로 이루어짐.
-정혜=(계-항상 전제되어 있기 때문에 얘기 원함.),정,혜
-개혁운동(계,정,혜) 삼학을 공부하는데 정혜쌍수('정'과'혜'를 한꺼번에 닦아야함)
-선종과 교종을 다시 통합하려 함(기초토대는 정혜쌍수)
-선종은 교종과는 다른 길 제시-선(산스크리스트어 jyana, dhyna)
①정 : 흔들리지 않는 마음의 부동상태
②선 : 정을 소리 나는대로 해석한 것
③선정을 중국적 차원에서 재해석한 것이 "선종"
※인도불교, 불타석가모니의 가르침 속에 '선종'이 있음.
a.염화미소-설법을 웃음으로 끝냄. 마하가섭만이 깨닫고 웃음(이심전심이
이루어졌다.)
b.경전은 불타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담고 있지만 깨달음에 이르기 위한 수단,
방편일 뿐이다.
c.하지만 경전이 없으면 깨달음을 찾아갈 수 없다.
d.경전에 매이지 말자-선종이 제시
e.교외별전-언어와 문자를 수단으로 하지 않는 가르침→직지인심
f.'정'의 차원을 '오'(깨달음)의 차원까지 끌어올림-"선오"
g.설법과 경전을 목적으로 삼으면 안된다-선종
→선종은 중국에서 두 줄기로 갈라짐. 달마. 해가. 승찬. 도신. 홍인(홍인 밑에 신수)
*선오를 주장하는 것은 같은데 이르는 방법이 다르다.
*인도-정(선정)→중국(선오)
*홍인 이후에 ①북종선(정통파):신수-점진적으로 이루어짐(깨달음)
②남종선:혜능-갑자기 이루어짐(깨달음)
→ 깨달음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려면 수양해야 함.
a.수양도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점오점수-신수)
b.수양도 갑자기 이루어짐(돈오돈수-혜능)
*남종선을 이루었던 산-조계산(혜능을 기본으로 함)
*돈오돈수 하면 교종과 선종을 통합할 수 없기 때문에
▶정혜결사→정혜쌍수→돈오점수
▶교종과 선종을 통합하는 현실상황(시대적 문제), 선종을 중심으로
교종을 통합하려다 보니 돈오점수 강조. 만약 교종중심이라면 교관겸수하면 됨
*지눌-진심격설(논문). 관화결의론(일상에서 화두(모순)를 보고 깨달음에 이름
-남종선의 선종이 채택한 것→관화 화두)
*돈오점수- 정, 혜 와 연결됨
*지눌 이후로 현상유지나 퇴보해 감. 물론 시대적 변화에 따라 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지만주도권은 유학으로 넘어감.
*조선이후 불교-민간신앙적 차원
  • 가격3,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9.05.09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42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