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조합원지위의 취득
Ⅲ. 조합원지위의 상실
Ⅳ. 유니온 숍협정과 조합원지위
Ⅱ. 조합원지위의 취득
Ⅲ. 조합원지위의 상실
Ⅳ. 유니온 숍협정과 조합원지위
본문내용
.
2. 유니온 숍에 의한 해고
사용자는 유니온 숍협정 이후 노조에 미가입탈퇴한 근로자를 해고할 의무가 있으며, 이는 부당해고가 아니다. 그러나 사용자가 해고하지 않더라도 부당노동행위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다만, 현행법에서 사용자는 근로자가 당해 노조에서 제명된 경우, 유니온 숍조항을 근거로 그에게 신분상의 불이익처분을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2. 유니온 숍에 의한 해고
사용자는 유니온 숍협정 이후 노조에 미가입탈퇴한 근로자를 해고할 의무가 있으며, 이는 부당해고가 아니다. 그러나 사용자가 해고하지 않더라도 부당노동행위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다만, 현행법에서 사용자는 근로자가 당해 노조에서 제명된 경우, 유니온 숍조항을 근거로 그에게 신분상의 불이익처분을 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북한여성의사회적지위와역할
노동조합 재정에 대하여 논하라
법외노조의 법적지위에 대하여 논하라
남녀고용평등법상의 모집·채용 차별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지위 및 보호에 관한 법률안' 검토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성립요건
개혁 개방 이후 중국여성의 생활 - '중국여성의 지위변화'를 중심으로
노조법상 해고의 효력을 다투는 자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설립에 대한 연구
부당노동행위 구제제도 전반에 대한 개정법상 연구
법외노조의 법적지위에 대한 법적 검토
한국 여성지위의 역사
[중국의사회와문화 A형] 전통시대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중국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어떻...
지방의회 [지방의회 의의 지방의회 변천사 지방의회 지위 지방의회 권한 지방의회 개선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