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Growth / Specfic growth rate
Ⅱ. Transformation
Ⅲ. Plasmid prep
Ⅳ. PCR
Ⅱ. Transformation
Ⅲ. Plasmid prep
Ⅳ. PCR
본문내용
수가 있는데 이는 Genome DNA 자체가 다른 DNA보다 무겁다는 것을 의미한다.
③ Size Marker
Size Marker의 Size는 확인하지 못한 실수를 하였지만 여러 층의 Band로 다른 Band의 DNA Size를 대략 대조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④ Plasmid prep을 한 Plasmid DNA + Primer(F, R) + DNA Polymerase(BS Tag Master mix)
Plasmid prep을 한 Plasmid DNA 역시 원래 가지고 있던 Plasmid DNA와 비슷한 위치에 Band에서 형광을 띄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⑤ Primer(F, R) + DNA Polymerase(BS Tag Master mix)
Primer(F, R)와 DNA Polymerase(BS Tag Master mix)의 Negative control만을 가지고 Electrophoresis시켰을 때는 DNA 자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동을 시킬 물질이 없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⑥ Genome DNA + DNA Polymerase(BS Tag Master mix)
Genome DNA와 DNA Polymerase(BS Tag Master mix)의 Negative control만을 가지고 Electrophoresis시켰을 때는 Genome DNA를 단편으로 절단 시켜줄 수 있는 Primer(F, R)가 없기 때문에 분자량이 상대적으로 큰 Genome DNA가 Gel을 통과할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Gel 상에서 형광을 띄는 Band가 확인되지 않았다.
무엇을 실험하고자 할 때, 실험결과를 비교할 수 있는 대조군 역시 매우 중요하다. 이번 실험에서 빠진 몇 가지의 Negative control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먼저 Plasmid DNA + Primer + dH2O의 Negative control을 실시하지 못했다. 이것은 Plasmid DNA의 Primer가 빠진 것으로 Primer의 기능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었을 것이다. 대신에 위에 서술한 것처럼 Genome DNA 상에서 Primer가 빠진 Negative control을 걸어주어서 확인해주었다. 또한 DNA Polymerase(BS Tag Master mix) 빠진 Negative control인 Plasmid DNA + Primer + dH2O 빠져있다. 이것은 DNA Polymerase(BS Tag Master mix)의 역할을 확인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조건으로 미처 실험해서 시행하지 못한 점이 아쉽다.
① pBulescriptⅡ SKⅡ+ Plasmid perp한 것 EcoRⅤ Cut
가장 왼쪽의 4개의 Band는 pBLUE의 Plasmid prep한 DNA를 EcoRⅤ로 절단하여 Electrophoresis를 실시한 것으로 동일한 Band를 구성하고 있다.
② pBulescriptⅡ SKⅡ+ Control EcoRⅤ Cut
Marker를 중심으로 왼쪽의 1개의 Band는 Negative control로 prep하지 않은 pBLUE를 EcoRⅤ로 절단하여 Electrophoresis를 실시한 것으로 ①과정의 pBulescriptⅡ SKⅡ+ Plasmid perp한 것과 동일한 위치의 Band를 보여 주고있다.
③ pBulescriptⅡ SKⅡ+에 Corynebacterium의 2905라는 Gene이 Cloning된 Plasmid prep한 EcoRⅤ Cut
Marker를 기준으로 오른쪽 4개의 Band는 pBLUE에 Gene 2905를 Transformation하여 Plasmid prep한 것으로 이 DNA를 EcoRⅤ 절단하여 확인한 것이다. 이 Electrophoresis에서는 2개의 Band가 확인되어 진다.
④ pBulescriptⅡ SKⅡ+에 Corynebacterium의 2905라는 Gene이 Cloning된 EcoRⅤ Cut Control
마찬가지로 Negative control로 가장 오른쪽 1개의 Band는 pBLUE에 Gene 2905를 Transformation만 하고 prep은 하지 않았다. ③번과 동일한 2개의 Band를 보여주고 있다.
위의 Electrophoresis 결과는 Ⅲ. Plasmid prep 결과와 동일한 것이다.
이렇게 하여 2008년 10월 29일부터 11월 20일까지 우리 조원들은 모두 실험을 무사히 마쳤다. 조재용 교수님의 말씀처럼 이번 실험이 내 적성에 맞는 것인지를 많은 생각을 해보았다. 먼저 졸업한 남학우 동기에게 오랜만에 연락을 해서 취직한 곳에 정보도 알아보았고 실제 생명공학분야의 전망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았다.
우선 나는 초등학교 시절부터 지금까지 Science에 대한 남다른 관심이 있어왔다. 혼자 자취방에서 TV를 시청할 때도 히스토리체널에서 방송하는 대우주와 같은 프로그램을 즐겨 보았고 인터넷으로 뉴스 기사를 읽을 때도 생명공학 관련 분야 기사를 유심히 읽어보았다.
먼저 우리학교 생명공학과에 온 목적도한 생물학을 해보고 싶었던 계기가 있었고 이번 실험을 통해서도 실험에 적성을 떠나 남들은 지겹다 피곤하다했지만 나는 나름대로 열심히 핸드폰으로 사진도 찍어가면서 즐기고 있었다. 전혀 지겹지 않고 신기하기만 했었다. 최근 취직한 동기에게 부탁하여 농업진흥청 식물생명공학 연구원에 박사님과 면접을 보기도 하였고 많은 충고와 조언을 듣고 왔다.
아직 실험실을 정하진 못하였지만 기말고사 기간 동안 시험공부를 하며 졸업논문을 준비하고 경험을 쌓을 실험실을 결정하고 이번 겨울 방학부터 실험에 대하여 배워보고자 한다.
처음 작성해본 실험 Report라 많은 것이 미흡한 것 같다. 좀 더 빨리 준비를 해왔으면 하는 것이 아쉽다. 하지만 나름대로 처음 작성한 것 치고 열심히 준비했다고 생각한다. 이 몇 장을 쓰기 위해 실험실 조교를 찾아가 묻기도 하고 다른 전공책도 열심히 찾아 봤다. 막상 다 작성을 하니 뭔지 모를 만족감이 들기도 한다.
실험을 도와준 조교에게도 감사하고 많은 생각을 이끌어내 주신 조재용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늦게까지 고생한 실험 조원들에게도 수고했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③ Size Marker
Size Marker의 Size는 확인하지 못한 실수를 하였지만 여러 층의 Band로 다른 Band의 DNA Size를 대략 대조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④ Plasmid prep을 한 Plasmid DNA + Primer(F, R) + DNA Polymerase(BS Tag Master mix)
Plasmid prep을 한 Plasmid DNA 역시 원래 가지고 있던 Plasmid DNA와 비슷한 위치에 Band에서 형광을 띄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⑤ Primer(F, R) + DNA Polymerase(BS Tag Master mix)
Primer(F, R)와 DNA Polymerase(BS Tag Master mix)의 Negative control만을 가지고 Electrophoresis시켰을 때는 DNA 자체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동을 시킬 물질이 없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⑥ Genome DNA + DNA Polymerase(BS Tag Master mix)
Genome DNA와 DNA Polymerase(BS Tag Master mix)의 Negative control만을 가지고 Electrophoresis시켰을 때는 Genome DNA를 단편으로 절단 시켜줄 수 있는 Primer(F, R)가 없기 때문에 분자량이 상대적으로 큰 Genome DNA가 Gel을 통과할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Gel 상에서 형광을 띄는 Band가 확인되지 않았다.
무엇을 실험하고자 할 때, 실험결과를 비교할 수 있는 대조군 역시 매우 중요하다. 이번 실험에서 빠진 몇 가지의 Negative control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먼저 Plasmid DNA + Primer + dH2O의 Negative control을 실시하지 못했다. 이것은 Plasmid DNA의 Primer가 빠진 것으로 Primer의 기능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었을 것이다. 대신에 위에 서술한 것처럼 Genome DNA 상에서 Primer가 빠진 Negative control을 걸어주어서 확인해주었다. 또한 DNA Polymerase(BS Tag Master mix) 빠진 Negative control인 Plasmid DNA + Primer + dH2O 빠져있다. 이것은 DNA Polymerase(BS Tag Master mix)의 역할을 확인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조건으로 미처 실험해서 시행하지 못한 점이 아쉽다.
① pBulescriptⅡ SKⅡ+ Plasmid perp한 것 EcoRⅤ Cut
가장 왼쪽의 4개의 Band는 pBLUE의 Plasmid prep한 DNA를 EcoRⅤ로 절단하여 Electrophoresis를 실시한 것으로 동일한 Band를 구성하고 있다.
② pBulescriptⅡ SKⅡ+ Control EcoRⅤ Cut
Marker를 중심으로 왼쪽의 1개의 Band는 Negative control로 prep하지 않은 pBLUE를 EcoRⅤ로 절단하여 Electrophoresis를 실시한 것으로 ①과정의 pBulescriptⅡ SKⅡ+ Plasmid perp한 것과 동일한 위치의 Band를 보여 주고있다.
③ pBulescriptⅡ SKⅡ+에 Corynebacterium의 2905라는 Gene이 Cloning된 Plasmid prep한 EcoRⅤ Cut
Marker를 기준으로 오른쪽 4개의 Band는 pBLUE에 Gene 2905를 Transformation하여 Plasmid prep한 것으로 이 DNA를 EcoRⅤ 절단하여 확인한 것이다. 이 Electrophoresis에서는 2개의 Band가 확인되어 진다.
④ pBulescriptⅡ SKⅡ+에 Corynebacterium의 2905라는 Gene이 Cloning된 EcoRⅤ Cut Control
마찬가지로 Negative control로 가장 오른쪽 1개의 Band는 pBLUE에 Gene 2905를 Transformation만 하고 prep은 하지 않았다. ③번과 동일한 2개의 Band를 보여주고 있다.
위의 Electrophoresis 결과는 Ⅲ. Plasmid prep 결과와 동일한 것이다.
이렇게 하여 2008년 10월 29일부터 11월 20일까지 우리 조원들은 모두 실험을 무사히 마쳤다. 조재용 교수님의 말씀처럼 이번 실험이 내 적성에 맞는 것인지를 많은 생각을 해보았다. 먼저 졸업한 남학우 동기에게 오랜만에 연락을 해서 취직한 곳에 정보도 알아보았고 실제 생명공학분야의 전망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았다.
우선 나는 초등학교 시절부터 지금까지 Science에 대한 남다른 관심이 있어왔다. 혼자 자취방에서 TV를 시청할 때도 히스토리체널에서 방송하는 대우주와 같은 프로그램을 즐겨 보았고 인터넷으로 뉴스 기사를 읽을 때도 생명공학 관련 분야 기사를 유심히 읽어보았다.
먼저 우리학교 생명공학과에 온 목적도한 생물학을 해보고 싶었던 계기가 있었고 이번 실험을 통해서도 실험에 적성을 떠나 남들은 지겹다 피곤하다했지만 나는 나름대로 열심히 핸드폰으로 사진도 찍어가면서 즐기고 있었다. 전혀 지겹지 않고 신기하기만 했었다. 최근 취직한 동기에게 부탁하여 농업진흥청 식물생명공학 연구원에 박사님과 면접을 보기도 하였고 많은 충고와 조언을 듣고 왔다.
아직 실험실을 정하진 못하였지만 기말고사 기간 동안 시험공부를 하며 졸업논문을 준비하고 경험을 쌓을 실험실을 결정하고 이번 겨울 방학부터 실험에 대하여 배워보고자 한다.
처음 작성해본 실험 Report라 많은 것이 미흡한 것 같다. 좀 더 빨리 준비를 해왔으면 하는 것이 아쉽다. 하지만 나름대로 처음 작성한 것 치고 열심히 준비했다고 생각한다. 이 몇 장을 쓰기 위해 실험실 조교를 찾아가 묻기도 하고 다른 전공책도 열심히 찾아 봤다. 막상 다 작성을 하니 뭔지 모를 만족감이 들기도 한다.
실험을 도와준 조교에게도 감사하고 많은 생각을 이끌어내 주신 조재용 교수님께도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늦게까지 고생한 실험 조원들에게도 수고했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