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보증계약
2. 주채무는 장래의 또는 조건부 채무라도 무방
3. 주채무가 취소할 수 있는 것임을 알고 보증한 경우
4. 보증인에 관한 요건
2. 주채무는 장래의 또는 조건부 채무라도 무방
3. 주채무가 취소할 수 있는 것임을 알고 보증한 경우
4. 보증인에 관한 요건
본문내용
을 세울 의무가 있는 경우에는 그 보증인은 행위능력 및 변제자력이 있는 자로 하여야 한다. ② 보증인이 변제자력이 없게 된 때에는 채권자는 보증인의 변경을 청구할 수 있다. ③ 채권자가 보증인을 지명한 경우에는 전2항의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제432조 [타담보의 제공] 채무자는 다른 상당한 담보를 제공함으로써 보증인을 세울 의무를 면할 수 있다.
제432조 [타담보의 제공] 채무자는 다른 상당한 담보를 제공함으로써 보증인을 세울 의무를 면할 수 있다.
추천자료
타인을 위한 손해보험계약
민법상 14가지 전형계약의 정의와 사례
우리민법상 청약과 유엔매매법상의 청약 비교
민법상 14가지 전형계약의 정의와 사례
민법상 채권 성립의 유형으로써의 고용, 현상광고, 임치
민법상 법률행위 성립을 위한 목적의 가능성
민법상 제3자를 위한 계약 전반에 대한 쟁점 검토
민법상 계속적 보증 - 신용보증, 근보증
민법상 의사표시의 성립 유형
근로기준법상 임금 성립 요건
민법상 전형(유명)계약 14가지의 각각의 정의와 사례를 기술하시오
보증금이 있는데 임대료가 연체되었다고 임대인이 계약해지를 요구할 수 있나요
조세포탈죄 구성요건 성립상의 문제점
[생활과 법률] 우리 민법상의 전형계약 14가지의 각각의 정의와 각각의 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