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전치태반
2. 태반조기박리
Ⅲ. 요약
Ⅱ. 본론
1. 전치태반
2. 태반조기박리
Ⅲ. 요약
본문내용
고장애 나타나기도 한다.
7) 치료
: 태반이 박리된 정도와 출혈 정도에 따라 결정
(1) Grade 0 : 임신 37주 이전에는 안정하고 자궁근이완제를 쓰면서 증상에 따른 관리
(2) Grade Ⅰ
① 임신 주후, 자궁경부상태와 위험 시 즉시 수술 가능 유무에 따라 계획 세운다.
② 출혈이 심하지 않고 경관이 계속 개대되고 태아 하강이 계속 이루어지면 질 분만
시도해 볼 수 있다.
(3) Grade Ⅱ, Ⅲ : 산모의 신체상태를 회복하고 유지시키기 위한 치료와 관리
8) 간호관리
: 시간이 지연될수록 심한 출혈과 빈혈, 감염 및 저섬유소원혈증 발생, 심하면 쇼크와
태아 및 임부 사망
(1) Grade 0 : 태아 상태와 자궁수축을 모니터 하여 임부 상태 평가
(2) Grade Ⅰ: 임부와 태아 모니터와 함께 임부의 혈색소, Hct, 응고인자들에 대한
검사 실시
(3) Grade Ⅱ, Ⅲ : IV수액과 혈액보충 시작(저혈량 쇼크 예방), 산모의 중심정맥압
모니터 준비(산모의 정확한 혈역동학적 상태 사정 위함), DIC일 때는
전혈과 혈소판 수혈, 저섬유소원증 hypofibrinogenemia 이 나타나면
냉동침강물이나 신선동결혈장 FFP : fresh frozen plasma 을 수혈하
고 응급수술 할 수 있도록 준비
① 박리증세가 더 심해지는 임상적 증상과 징후를 조기 발견할 수 있도록 주의하면서
산모와 태아 상태를 모니터한다.
② 심한 출혈을 통한 실혈에 대비하여 혈색소, 혈소판, 혈액응고시간, 프로트롬빈시간,
혈액교차 시험을 해두고 수혈을 위해 혈액을 준비
③ 정체 도뇨관 삽입하여 배설량 측정하고 단백뇨 검사
- 요량 감소와 단백뇨는 신장기능의 저하를 알린다.
9) 예후
: 태반박리의 범위와 실혈량, DIC의 정도, 태반박리가 발생되어서 분만되기까지 소요된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진다.
(1) 80~90%는 2~3개의 태반 분엽만 박리되므로 산모의 예후는 나쁘지 않다.
(2) 출혈, 빈혈, 신부전증, 뇌하수체 괴사, 자궁감염의 관리 중요
(3) 25% 태아는 분만 중 또는 출생 후 곧 사망
(4) 만약 아프가 점수가 5분에 3점보다 적을 때는 태아의 신경 손상이 거의 확실
5분에 7점 이상이면 90% 이상이 정상적으로 성장발육한다.
10) 산모, 태아, 신생아에게 미치는 영향
(1) 산모
① 모체 사망을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 : 모체 사망룰 0.5~5%
② 합병증 : 출혈성 쇼크, 파종성 혈액응고장애 (DIC), 저혈량 쇼크에 따라 2차적으로
뇌나 신장, 뇌하수체 등의 허혈성 괴사(Sheehan's syndrome),
자궁태반졸증 couvelaire uterus
③ 코카인 흡인한 임부는 갑작스런 다량의 출혈로 완전 태반박리가 나타나기도 함
④ 태반의 중앙부에서 박리하여 천천히 출혈이 증가되는 경우, 중요장기가 괴사되고
사망할 수 있다.
(2) 태아
① 20% 사망
② 20% 태아질식
(3) 신생아
① 저산소증, 분만 외상, 조산으로 인한 이환률 증가
Ⅲ. 요 약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상태
자궁 경관 입구에 태반이 있다.
자궁벽으로부터 태반이 만출 전에 박리
위험요인
전치태반의 과거력
제왕절개술의 과거력
태반이 큰 경우
임부의 흡연
고혈압
임부의 나이가 고령일 경우
임부의 흡연
코카인 중독
다산부
증상
무통의 질 출혈
- 다양한 출혈량
- 선홍색 출혈
통증이 동반된 출혈
- 500cc 미만의 출혈량
- 검붉은색 출혈
진단
초음파 검사로 태반의 위치 확인
초음파 검사로 박리 확인
치료
혈역동학적으로 안정되면 됨
응급분만 시행
응급분만 시행
합병증
모체 - 출혈량과 비례
태아 - 조산
모체 - DIC, 쇼크, 사망 초래됨
태아 - 15~20%사망
7) 치료
: 태반이 박리된 정도와 출혈 정도에 따라 결정
(1) Grade 0 : 임신 37주 이전에는 안정하고 자궁근이완제를 쓰면서 증상에 따른 관리
(2) Grade Ⅰ
① 임신 주후, 자궁경부상태와 위험 시 즉시 수술 가능 유무에 따라 계획 세운다.
② 출혈이 심하지 않고 경관이 계속 개대되고 태아 하강이 계속 이루어지면 질 분만
시도해 볼 수 있다.
(3) Grade Ⅱ, Ⅲ : 산모의 신체상태를 회복하고 유지시키기 위한 치료와 관리
8) 간호관리
: 시간이 지연될수록 심한 출혈과 빈혈, 감염 및 저섬유소원혈증 발생, 심하면 쇼크와
태아 및 임부 사망
(1) Grade 0 : 태아 상태와 자궁수축을 모니터 하여 임부 상태 평가
(2) Grade Ⅰ: 임부와 태아 모니터와 함께 임부의 혈색소, Hct, 응고인자들에 대한
검사 실시
(3) Grade Ⅱ, Ⅲ : IV수액과 혈액보충 시작(저혈량 쇼크 예방), 산모의 중심정맥압
모니터 준비(산모의 정확한 혈역동학적 상태 사정 위함), DIC일 때는
전혈과 혈소판 수혈, 저섬유소원증 hypofibrinogenemia 이 나타나면
냉동침강물이나 신선동결혈장 FFP : fresh frozen plasma 을 수혈하
고 응급수술 할 수 있도록 준비
① 박리증세가 더 심해지는 임상적 증상과 징후를 조기 발견할 수 있도록 주의하면서
산모와 태아 상태를 모니터한다.
② 심한 출혈을 통한 실혈에 대비하여 혈색소, 혈소판, 혈액응고시간, 프로트롬빈시간,
혈액교차 시험을 해두고 수혈을 위해 혈액을 준비
③ 정체 도뇨관 삽입하여 배설량 측정하고 단백뇨 검사
- 요량 감소와 단백뇨는 신장기능의 저하를 알린다.
9) 예후
: 태반박리의 범위와 실혈량, DIC의 정도, 태반박리가 발생되어서 분만되기까지 소요된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진다.
(1) 80~90%는 2~3개의 태반 분엽만 박리되므로 산모의 예후는 나쁘지 않다.
(2) 출혈, 빈혈, 신부전증, 뇌하수체 괴사, 자궁감염의 관리 중요
(3) 25% 태아는 분만 중 또는 출생 후 곧 사망
(4) 만약 아프가 점수가 5분에 3점보다 적을 때는 태아의 신경 손상이 거의 확실
5분에 7점 이상이면 90% 이상이 정상적으로 성장발육한다.
10) 산모, 태아, 신생아에게 미치는 영향
(1) 산모
① 모체 사망을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 : 모체 사망룰 0.5~5%
② 합병증 : 출혈성 쇼크, 파종성 혈액응고장애 (DIC), 저혈량 쇼크에 따라 2차적으로
뇌나 신장, 뇌하수체 등의 허혈성 괴사(Sheehan's syndrome),
자궁태반졸증 couvelaire uterus
③ 코카인 흡인한 임부는 갑작스런 다량의 출혈로 완전 태반박리가 나타나기도 함
④ 태반의 중앙부에서 박리하여 천천히 출혈이 증가되는 경우, 중요장기가 괴사되고
사망할 수 있다.
(2) 태아
① 20% 사망
② 20% 태아질식
(3) 신생아
① 저산소증, 분만 외상, 조산으로 인한 이환률 증가
Ⅲ. 요 약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상태
자궁 경관 입구에 태반이 있다.
자궁벽으로부터 태반이 만출 전에 박리
위험요인
전치태반의 과거력
제왕절개술의 과거력
태반이 큰 경우
임부의 흡연
고혈압
임부의 나이가 고령일 경우
임부의 흡연
코카인 중독
다산부
증상
무통의 질 출혈
- 다양한 출혈량
- 선홍색 출혈
통증이 동반된 출혈
- 500cc 미만의 출혈량
- 검붉은색 출혈
진단
초음파 검사로 태반의 위치 확인
초음파 검사로 박리 확인
치료
혈역동학적으로 안정되면 됨
응급분만 시행
응급분만 시행
합병증
모체 - 출혈량과 비례
태아 - 조산
모체 - DIC, 쇼크, 사망 초래됨
태아 - 15~20%사망
키워드
추천자료
제왕절개(C/S)사례보고서- 모성간호학실습
모성간호학 분만실 간호과정 (case study)
[간호학]모성간호학 -최근의 불임치료 경향
모성간호학_통증에관한레포트
모성간호학 - 낙태주의
모성간호학 - C/S CASE STUDY
모성간호학 통증이론에 대해
모성간호학 간호진단
모성간호학 약물
모성간호학 간호진단 2
모성간호학 Case Study - 자연분만 후 산욕기 간호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 자궁근종 사례연구, 모성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여성건강간호학 모성간호학 산욕기 정리 파일입니다.
여성건강관련 윤리와법률, 난자와배아, 보조생식술, 낙태, 여성의권리, 윤리와법률, 여성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