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불임의 정의
2. 불임의 원인
3. 불임 사정
4. 불임치료
출처
2. 불임의 원인
3. 불임 사정
4. 불임치료
출처
본문내용
향이 있으며 심한 손상을 입는 경우는 이식을 할 수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융해 후 이식한 수정란의 임신율은 8~20%로 비 동결 수정란을 이식한 경우에 비해 낮은 임신율을 나타내고 있다.
⑫ 정액 동결 보존(Semen cryopreservation)
인공수정이나 시험관아기시술을 수행함에 있어 수정당일 남편으로부터 정액채취가 불가능하거나 화학 및 방사선 치료 등 정자의 유전적 변이를 일으킬 수 있는 치료 전에 미리 정액을 채취하여 동결보존 하였다가 언제든지 필요로 하는 날 융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액보존 방법이다. 최근에는 MESA 또는 TESE등 수술적인 방법으로 정자를 채취한 경우, 최소량의 정액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동결보존함으로써 다음 시술시 수술적인 방법에 의한 정액채취의 번거러움을 줄이는데 이용되고 있다.
⑬ 난자 공여 (Ovum donation)
다른 사람의 난자를 받아 남편의 정자와 수정을 시켜 환자의 자궁 또는 난관내로 이식하여 임신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난자 공여는 윤리적인 문제가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에 부부가 담당의사와 함께 상담을 한 후 결정해야 한다. 시술하기 전 부인과 난자공여자의 생리주기를 일치시킨 다음 시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주기가 맞지 않을 경우는 수정란을 동결보존 시켰다가 부인의 자궁환경이 수정란의 시기와 일치했을 때 융해 후 이식한다.
- 난자 공여 (Ovum donation) 시술 대상자
조기 폐경
모계의 유전적 결함
과배란 유도에 반응이 불량하여 시험관 아기 시술이 여러 번 실패했을 때
난소종양 등으로 양쪽 난소를 절제 했을 때
⑭ 한방 불임 치료
한방에서의 치료는 정체관념(整念)에 중시를 두고 종합적이고 변증법적인 방법을 통해 치료 하는데 그 치료의 우수성과 효과의 우수성은 이미 입증이 되어 왔다.
여성들의 생리통과 생리와 수반된 질병, 남성 정자의 질과 양이 떨어지는 경우, 대부분의 불임 가능성 질병 등의 경우에 한방에서 고유한 치료법이 있으며 치료 효과가 아주 이상적인 경우가 많다.
- 한약치료
검사 결과 및 체질 등을 고려하여 개개인 마다 다르게 처방이 된다. 치료가 진행되면서 몸 상태 역시 변화가 생기므로 처방은 단계적으로 변화한다.
- 약침요법
일반 침 치료처럼 인체의 불균형을 조절해 주는데 자궁을 따뜻하게 하거나 스트레스로 인한 기의 뭉침을 풀어주거나 뇌 순환을 돕는 등의 약침이 있다.
- 이침요법
귀에 분포되어 있는 각각의 반응 점을 이용하여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축의 호르몬 분비를 도와주고 각 장부의 항진과 부족상태를 체질에 따라 조절하는 특정 혈을 계속적으로 자극하게 하여 침과 함께 불임치료에 큰 도움을 준다.
- 요가요법
수정요가를 통하여 인체의 균형을 바로 잡고 특수한 호흡법을 실행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대뇌의 긴장상태를 이완시켜 호르몬 분비를 도와준다.
출처
2007년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Ⅱ
http://www.naver.com
http://www.tcmhealing.co.kr 중화한의원
http://www.conmaul.co.kr 꽃마을 한의원
⑫ 정액 동결 보존(Semen cryopreservation)
인공수정이나 시험관아기시술을 수행함에 있어 수정당일 남편으로부터 정액채취가 불가능하거나 화학 및 방사선 치료 등 정자의 유전적 변이를 일으킬 수 있는 치료 전에 미리 정액을 채취하여 동결보존 하였다가 언제든지 필요로 하는 날 융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액보존 방법이다. 최근에는 MESA 또는 TESE등 수술적인 방법으로 정자를 채취한 경우, 최소량의 정액만 사용하고 나머지는 동결보존함으로써 다음 시술시 수술적인 방법에 의한 정액채취의 번거러움을 줄이는데 이용되고 있다.
⑬ 난자 공여 (Ovum donation)
다른 사람의 난자를 받아 남편의 정자와 수정을 시켜 환자의 자궁 또는 난관내로 이식하여 임신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난자 공여는 윤리적인 문제가 있으므로 반드시 사전에 부부가 담당의사와 함께 상담을 한 후 결정해야 한다. 시술하기 전 부인과 난자공여자의 생리주기를 일치시킨 다음 시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주기가 맞지 않을 경우는 수정란을 동결보존 시켰다가 부인의 자궁환경이 수정란의 시기와 일치했을 때 융해 후 이식한다.
- 난자 공여 (Ovum donation) 시술 대상자
조기 폐경
모계의 유전적 결함
과배란 유도에 반응이 불량하여 시험관 아기 시술이 여러 번 실패했을 때
난소종양 등으로 양쪽 난소를 절제 했을 때
⑭ 한방 불임 치료
한방에서의 치료는 정체관념(整念)에 중시를 두고 종합적이고 변증법적인 방법을 통해 치료 하는데 그 치료의 우수성과 효과의 우수성은 이미 입증이 되어 왔다.
여성들의 생리통과 생리와 수반된 질병, 남성 정자의 질과 양이 떨어지는 경우, 대부분의 불임 가능성 질병 등의 경우에 한방에서 고유한 치료법이 있으며 치료 효과가 아주 이상적인 경우가 많다.
- 한약치료
검사 결과 및 체질 등을 고려하여 개개인 마다 다르게 처방이 된다. 치료가 진행되면서 몸 상태 역시 변화가 생기므로 처방은 단계적으로 변화한다.
- 약침요법
일반 침 치료처럼 인체의 불균형을 조절해 주는데 자궁을 따뜻하게 하거나 스트레스로 인한 기의 뭉침을 풀어주거나 뇌 순환을 돕는 등의 약침이 있다.
- 이침요법
귀에 분포되어 있는 각각의 반응 점을 이용하여 시상하부-뇌하수체-난소축의 호르몬 분비를 도와주고 각 장부의 항진과 부족상태를 체질에 따라 조절하는 특정 혈을 계속적으로 자극하게 하여 침과 함께 불임치료에 큰 도움을 준다.
- 요가요법
수정요가를 통하여 인체의 균형을 바로 잡고 특수한 호흡법을 실행하여 인체의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대뇌의 긴장상태를 이완시켜 호르몬 분비를 도와준다.
출처
2007년 수문사 여성건강간호학Ⅱ
http://www.naver.com
http://www.tcmhealing.co.kr 중화한의원
http://www.conmaul.co.kr 꽃마을 한의원
추천자료
[간호학 case study]내과MED 식도궤양
[정신간호학]우울증(depression)케이스
아동 간호학 간호사 국가고시 총정리
[간호학 임상 CASE] 쯔쯔가무시 (Tsutsugamushi Disease)
[성인간호학] 하부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
[성인간호학 공통] 1) 바이러스성 간염을 유발하는 5가지 간염바이러스 구분, 각각의 감염경...
[간호학 임상 C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COPD)
[성인간호학] 골절 케이스 zygomatic tripod Fx & Rt.maxillary segmental Fx CASE STUDY
[고위험모아간호학 공통] A.고위험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사정(진단평가,임상증상) 치료 및 ...
[여성건강간호학실습] 난소낭종(ovarian cyst)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뇌출혈(ICH) case study
[간호학] 학생건강평가
[간호학] 혈관계 구조와 기능 및 건강사정
[간호학] 호흡기계 사정 (성인&아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