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텔레콤] LG텔레콤의 성공전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LG텔레콤] LG텔레콤의 성공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본문
1. LG텔레콤의 연혁
1) 1996~2000년
2) 2001~2007년
3) 2008년

2. LG텔레콤의 경영철학
1) LG Way
2) 경영이념
3) 정도경영
4) 일등 LG

3. LG텔레콤의 재무정보
1) 대차대조표
2) 손익계산서

4. LG텔레콤의 경영전략
1) 스킨십 경영
2) 상생경영
3) 가족친화경영
4) ‘風林火山’ 사자성어 경영
5) 고객가치경영

5. LG텔레콤의 마케팅 전략
1) ‘OZ’ 3G 시장 개발 마케팅
2) 항공 마일리지 프로그램
3) ‘기분존’ 서비스 마케팅
4) 제휴 마케팅
5) 타임 마케팅

참고자료

본문내용

텔레콤 무료통화 요금제 및 마이레저 프리미엄 요금제에 가입한 고객의 전월 요금(기본료+국내음성통화료) 구간대를 기준으로 리터당 100원에서 최대 500원을 익월 요금에서 할인해 준다. LG텔레콤 직영점, 폰앤펀, 대리점을 방문해 '주유할인 제휴 보너스카드'를 발급받아 GS칼텍스 주유소 및 LPG충전소에서 카드를 제시하면 최대 2만5000원(1년 최대 30만원)을 매월 통화요금에서 절감할 수 있게 된다.
(3) 제휴카드 3총사: 단말기 가격과 요금이 동시에 내려간다.
LG텔레콤에서 출시된 제휴카드 3총사(농협 세이브앤세이프카드, 신한 하이포인트카드, KB 포인트리카드) 역시 60만 가입자를 훌쩍 넘기며 바람몰이에 성공했다. 고객 취향에 따라 주유, 쇼핑, 통신 등 라이프 스타일에 맞춰 갖고 싶은 최신 휴대폰을 부담 없이 구입할 수 있고 이동통신 요금을 적립된 포인트로 차감할 수 있다는 것이 LG텔레콤 제휴카드 3총사의 장점이다.
제휴카드 홍보를 위해서도 LG텔레콤은 독특한 마케팅으로 접근했다. 지난 9월 농협 세이브앤세이프카드를 런칭, LG텔레콤의 저렴한 폰과 농협의 상징인 쌀이 제휴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10만개의 폰쌀을 제작해 400여개 농협 은행 뱅크온 부스에서 고객에게 증정했다. 아울러 추석을 맞아 외국인이 휴대폰 모양으로 제작된 지게에 폰쌀을 지고 대형 뒤주에 옮기는 폰쌀지기 대회를 개최해 고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도 했다. 또한 신한(구LG)카드와 공동 런칭한 하이포인트 카드를 홍보하기 위해 대형마트에서 MBC 개그야 '사모님' 코너를 패러디한 이색 카트 퍼포먼스를 진행해 마트에서 쇼핑만 해도 휴대폰 요금을 할인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소비자들에게 심어줬다는 평가를 받았다.
(4) 무선 인터넷 개방, 새로운 윈-윈 모델 창출
LG텔레콤은 2008년에는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기반의 3세대(3G) 이동통신 기술인 리비전A를 내년 1분기까지 2세대(2G) 망과 동일한 전국 군ㆍ읍ㆍ면지역 등 전국망을 조기 구축하고 서비스에 들어간다. 타 사업자들이 영상통화에 초점을 맞춘 데 반해 LG텔레콤은 공짜에 가까운 저렴한 요금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정일재 LG텔레콤 사장은 "리비전A의 망 속도는 타사에 비해 큰 문제는 없다고 판단되지만 3G 서비스는 망을 어떤 방식으로 깔았느냐 보다는 그 위(3G 통신망)에 무엇(콘텐츠)을 올리냐가 중요하다"면서 "고객들이 좋은 서비스라고 느끼면서 저렴하게 쓸 수 있도록 하는 것이야말로 사업자들이 해야하는 의미있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LG텔레콤은 데이터서비스를 통신사 중심의 폐쇄적 무선인터넷이 아닌 '개방형 무선인터넷'으로 추진한다는 전략에 따라 3G의 핵심인 풀브라우징, 이메일, 파일 뷰어, 동영상 콘텐츠등 다양한 3G 콘텐츠를 제공할 계획이다.
특히 네이버, 야후 등 PC에서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털사업자 등과 제휴를 통해 모바일 특성을 감안한 개방형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적극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3G 단말기의 경우, 고객이 찾는 매력있는 단말기를 중심으로 라인업을 확대하고, 인터넷 검색ㆍ이메일 등 고객이 사용하기 편리한 차별화된 단말기 개발을 추진키로 했다.
무엇보다 고객의 요금부담을 최소화한 요금제 개발에도 적극 나선다는 복안이다. 데이터 정액요금제만 가입하면 LG텔레콤의 개방형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추가 비용 없이 맘껏 이용할 수 있도록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LG텔레콤은 개방형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업종의 기업들과 윈-윈 할 수 있는 비즈니스를 창출함으로써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5) 타임 마케팅 LG 텔레콤은 지난 2004년을 가입자 유치 및 뱅크온, MP3폰 등 고 사양 단말 보급에 힘입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사업의 성공한 한 해로 평가하고 2005년에는 그 탄력을 최대화 시킨다는 계획을 세웠다.
즉, 그동안 경쟁사에 비해 다소 뒤졌던 데이터 영업 및 마케팅 역시 근본적인 역량 강화에 전사적 노력을 기울여 2004년 561만명의 가입자를 바탕으로 3,000억원에 이어 올해는 4,300억원의 매출을 계획하는 등 급성장했다.
2005년 LG텔레콤은 음악, 그림, 게임, 증권, 친구찾기 등 10개의 카테고리로 약 10만여종의 무선인터넷 콘텐츠를 제공했다.
특히 통화연결음(필링)의 경우 20~30대 가입자가 60%에 이르는 등 어느 부가서비스보다 안정적 연령층을 확보했다.
게임의 경우 엠조이넷, 컴투스, 엔소니, 게임빌, 엠서브, 오락스 등 550여개에 이르는 중요 게임 CP들과 제휴, 약 500여개의 무선인터넷 게임을 제공했고, 월 60만명 정도가 모바일 게임을 이용했다.
게임의 종류도 이용자들의 선호에 맞춰 신규게임, 스포츠, 아케이트ㆍ보드, 액션ㆍ슈팅ㆍ퍼즐, RPG, 타이쿤, 고스톱ㆍ겜블ㆍ네트웍 등 다양한 형태의 게임을 제공했다.
LG텔레콤의 모바일 게임 매출은 2004년 약 250억(정보이용료 포함)의 매출을 올렸다
이외에 LG텔레콤은 2004년 이지드라이브, 텔레키퍼, 감정분석기, 버스도착알리미, 약속방서비스, 한자검정서비스 등 차별화되고 재미있는 서비스를 제공했다.
LG텔레콤은 2005년을 특별히 중요한 해로 생각했는데, 2004년 번호 이동성 제도를 통해 유치된 가입자와 고 사양 단말기를 주요 기반으로 활용해 무선 인터넷 부문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기 때문이다.
이는 규모의 경쟁으로 요약되는 통신 사업에 있어서 LG 텔레콤은 가입자 규모 확대를 통해 단기적으로 전체 매출을 증가 시킬 뿐 아니라 기업의 중장기적 발전의 발판으로 삼을 수 있게 된 셈이다.참고자료LG텔레콤 http://www.lgtelecom.com
동아일보 경제 김용석 기자 2009.04.22
디지털타임스 IT/과학 나혜선기자 2008.11.26
서울경제 IT/과학 임지훈기자 2008.06.17
디지털타임스 IT/과학 조성훈 기자 2007.10.11
한국경제 경제 김현예 기자 2007.07.12
서울경제 경제 이규진 기자 2008.12.18
아시아경제 경제 채명석 기자 2007.12.17
전자신문 IT/과학 서한기자 2006.06.28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5.18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57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