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역사의 이해 2장요약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동굴에서 들녘으로

2.고인돌을 만드는 세상

3.우리 겨레 첫 나라

4.고조선의 뒤를 이어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로인해 농사로 얻은 생산량이 이전에 비해 눈에 띄게 늘어났다, 뿐만 아니라 날카로운 철제 무기로 싸움에 나선 병사들은 다른 이들이 생산해 놓은 것들을 한 순간에 빼앗고, 정복한 사람들을 농사짓는 데 부려먹음으로써 더욱 강해질 수 있었다.
고조선이 한 나라와 맞설 정도로 세력을 키울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철이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철기가 소개된 것은 기원전 4세기 무렵으로 그 중심은 고조선이었다. 고조선은 발전된 경제력과 군사력을 바탕으로 세력을 크게 확장시켰다.
고조선 이외에도 새로운 나라가 일어났다. 송화강유역에 부여가 새로 일어났으며, 고조선이 무너진 다음에는 고구려가 일어났다.
한편 고조선과 같은 시기에 한반도 남부에는 진국이 있었다. 철기 문화는 진국에도 영향을 미쳐,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도 수많은 작은 국가들이 일어났다.
부여는 넓은 평야지대에서 일어났으며, 농사와 목축이 발달하였다. 건국당시에는 나라의 규모가 작았고, 문화도 대단치 않았는데, 3세기 무렵에 이웃의 크고 작은 나나들을 합쳐 제법 규모 있는 왕국으로 발전하였다.
고조선이 무너진 후 철기 문화가 한강 이남으로 널리 퍼져 나가면서 수많은 작은 나나들이 일어났다. 나라마다 세워진 시기도 달랐고, 크기도 많이 차이가 났다. 이 나라들은 마한, 진한, 변한을 형성하여 외교 활동을 함께 하기도 하였다.
54개 작은 나라로 이루어진 마한에서는 훗날 백제국이 주도권을 잡았으며, 12개씩의 작은 나나로 이루어진 진한과 변한에서는 사로국과 구야국이 각각 주도권을 잡고 신라, 가야로 발전하였다.
참고문헌: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5.22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67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