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강화계획의 의의
2. 단순 강화계획
1) 고정비율 계획
2) 변동비율 계획
3) 고정간격 계획
4) 변동간격 계획
3. 기타 단순계획
1) 고정기간 계획(fixed duration schedule FD)
2) 변동기간 계획(variable duration schedule VD)
3) 저율 차별강화 계획(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low rate DRL)
4) 고율 차별강화계획(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high rate DRH)
5) 고정시간 계획(fixed time schedule FT)
6) 변동시간 계획(variable time schedule VT)
2. 단순 강화계획
1) 고정비율 계획
2) 변동비율 계획
3) 고정간격 계획
4) 변동간격 계획
3. 기타 단순계획
1) 고정기간 계획(fixed duration schedule FD)
2) 변동기간 계획(variable duration schedule VD)
3) 저율 차별강화 계획(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low rate DRL)
4) 고율 차별강화계획(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high rate DRH)
5) 고정시간 계획(fixed time schedule FT)
6) 변동시간 계획(variable time schedule VT)
본문내용
없는 일련의 행동들을 수행하게끔 한다는 점이다.
예를들어 레버를 누른 뒤 10초가 지난후 다시 레버를 눌러야만 먹이가 주어지는 쥐가 있다고 하자.
만약 쥐가 10초 사이에 꼬리를 빙글빙글 돌리는 행동을 했을 때 그 쥐는 그 같은 행동을 강화받을 수 있는 것이다.
(즉 레버를 누른 후 꼬리를 빙글빙글 돌린후 다시 레버를 눌러야만 먹이가 나오는 줄로 알게 되는 것이다)
4) 고율 차별강화계획(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high rate DRH)
DRL 계획과 논리적으로 역관계에 있다.
일정 기간 동안 최소한 몇 번 이상의 반응이 일어나야만 강화가 주어지는 계획이다. 예를들어 쥐에게 10초동안 5번 레버를 누를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만약 쥐가 이 시간 간격 동안 5번 미만의 반응을 하면 강화물이 없다.
DRH 계획은 다른 어떤 종류의 계획보다도 극단적으로 높은 반응률을 낳는다.
여기까지 논의한 모든 계획들에서는 강화가 행동에 수반적이다.
혹은 행동의 어떤 측면(빈도, 지속시간, 강도 등)에 수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비수반적 강화계획에서는 유기체가 하는 일과 관계없이 강화물이 제공된다.
비수반적 강화계획의 두 가지 주요 종류는 고정시간 계획과 변동시간 계획이다.
5) 고정시간 계획(fixed time schedule FT)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행동과 관계없이 강화물이 주어진다.
예를들어 쥐가 레버를 누르든 말든 10초마다 먹이가 떨어진다.
6) 변동시간 계획(variable time schedule VT)
강화가 유기체의 행동과 관계없이 불규칙적인 간격을 두고 주어진다.
예를들어 레버를 누른 뒤 10초가 지난후 다시 레버를 눌러야만 먹이가 주어지는 쥐가 있다고 하자.
만약 쥐가 10초 사이에 꼬리를 빙글빙글 돌리는 행동을 했을 때 그 쥐는 그 같은 행동을 강화받을 수 있는 것이다.
(즉 레버를 누른 후 꼬리를 빙글빙글 돌린후 다시 레버를 눌러야만 먹이가 나오는 줄로 알게 되는 것이다)
4) 고율 차별강화계획(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high rate DRH)
DRL 계획과 논리적으로 역관계에 있다.
일정 기간 동안 최소한 몇 번 이상의 반응이 일어나야만 강화가 주어지는 계획이다. 예를들어 쥐에게 10초동안 5번 레버를 누를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만약 쥐가 이 시간 간격 동안 5번 미만의 반응을 하면 강화물이 없다.
DRH 계획은 다른 어떤 종류의 계획보다도 극단적으로 높은 반응률을 낳는다.
여기까지 논의한 모든 계획들에서는 강화가 행동에 수반적이다.
혹은 행동의 어떤 측면(빈도, 지속시간, 강도 등)에 수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비수반적 강화계획에서는 유기체가 하는 일과 관계없이 강화물이 제공된다.
비수반적 강화계획의 두 가지 주요 종류는 고정시간 계획과 변동시간 계획이다.
5) 고정시간 계획(fixed time schedule FT)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행동과 관계없이 강화물이 주어진다.
예를들어 쥐가 레버를 누르든 말든 10초마다 먹이가 떨어진다.
6) 변동시간 계획(variable time schedule VT)
강화가 유기체의 행동과 관계없이 불규칙적인 간격을 두고 주어진다.
추천자료
M & A의 의의와 종류 및 M & A의 최근의 동향
일본의 국방정책과 우리의 대응방안
전략적 제휴의 의의와 역할, 종류, 필요성 및 전략적 제휴 추진사례
[여행실무] 여권의 의의와 종류 및 출입국절차
★사회복지서비스의 의의, 원칙 및 관련 법률과 종류, 내용★
[팀티칭][협력교수]팀티칭(협력교수)의 의미, 팀티칭(협력교수)의 종류, 팀티칭(협력교수)의 ...
가족생활교육론 통합자료 1주차 ~ 7주차 (가족생활교육이란 무엇인가?, 가족생활교육의 발달,...
[사회복지조사론] 면접조사의 이해 - 면접조사의 의의, 면접자의 선발 및 훈련, 면접조사의 ...
[정책평가 evaluation policy] 계획의 평가(계획평가) - 평가의 의의, 평가기준, 절차 및 유...
[놀이지도] 전통놀이에 대한 이해 - 전통놀이의 교육적 의의와 종류 및 지도방안
아동학대의 실태와 원인, 종류와 최근의 아동학대에 대한 처벌기준 강화법에 대해 기술하고 ...
[아동학대의 실태와 원인, 종류와 최근의 아동학대에 대한 처벌기준 강화법에 대해 기술하고 ...
[장애인복지] 장애인복지의 개념과 특성 및 이념 장애인재활의 의의와 종류 장애인복지의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