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면, 기도 화상, 의식수준의 저하, 기도를 포함하는 경부와 두부 수술 후.
흡입예방.
환기보조가 필요한 척수외상을 동반하는 경추골절.
기계적 환기기 또는 산소투여로 적절한 환기와 산화를 제공.
구강인두를 우회하는 인공기도 설치 시 적절히 습도를 제공.
흡입을 예방하고 구강 내 세균의 침입을 감소시키기 위해 구강분비물을 적절히 흡인.
최소한 8시간마다 내관을 과산화수소액으로 청결히 소독.
무균법을 지킴. - 인공기도는 상기도를 우회하며 성대하부의 하기도는 무균상태.
semi-Fowler`s체위 또는 좌위 - 폐 신장을 증진.
3) 기계적 인공호흡
① 간헐적 양압 호흡
단기용 (자신이 호흡할 수 있는 환자에서 10~20분간)
IPPB 적응증 - 무기폐, 기침을 잘 못하는 사람, 깊은숨을 쉴수 없는 환자에게 분무 요법 으로 약을 투여 할 때, 과소호흡 교정할 때 등.
금기증 - 자연 기흉, 진단되지 않은 객혈 환자. 심맥관계의 장애, 다른 생리적인 장애가 있을 때, 만성 이산화탄소 정체, 뇌 내압 상승환자.
② 계속적 인공호흡
ⓐ 양조절형 인공호흡기 (Emerson, Ohio560, Bennett MA-1 등. )
성인 호흡장애 증후군 등으로 인해 폐가 단단해져 있는 환자에게 유용.
산소 농도를 21%~100%까지 조절 가능.
ⓑ 압력조절형 인공호흡기 (Ben-nett PR-2, Bird MarkⅦ 등.)
호기말 양압(PEEP)과 계속적 기도양압(CPAP)
2. 산소요법
기도폐쇄, 폐수종, 급만성 호흡부전, 심장병, 신진대사 장애, 쇼크시 산소요법 사용.
① 산소투여의 적응증
동맥혈 가스 분석에서 산소분압이 낮을 때.
호흡운동량이 증가하였을 때.
심근의 부담이 증가됐을 때. - 심근경색증 환자, 심부전, 관상동맥 질환 등 심질환 환자들 에게 투여.
② 산소투여의 위험성
감염 - pseudomonas aeruginosa 같은 균들은 소독제에서도 자랄 수 있음.
연소(발화)
호흡기 점막의 건조 - 항상 멸균 증류수를 통과시켜 습화.
산소독성 - 산소독성은 산소를 투여한 시간과 양에 비례.
무기폐 - 산소과다증; 계면활성제의 생산을 방해, 계면활성제의 손실은 침범받은 폐포군을 허탈 시키는 표면 장력의 힘을 증가.
- 과소환기, 폐병변, 마취, 수술등으로 발생, 폐는 허탈되고 공기가 없는 폐포는 혈 액으로 가득 차게 되므로 산소를 공급할 수 없게 됨.
수정체 후방 섬유증식증
산소-유도 무호흡 - 만성 탄산가스 정체환자에게 산소를 투여하면 호흡에 대한 자극을 없 에 과소환기와 호흡부전 유발. - 25~35%의 낮은 농도의 산소를 아주 천천히 (1~2ℓ/분) 으로 조심스럽게 투여.
③ 산소투여 방법
마스크, 비강캐뉼라, 구강인두 카테터, 얼굴만 쓰는 텐트. 호흡기계, 분무 등.
④ 산소투여 제도
저유량 제도 - 광범위한 농도의 산소, 즉, 21~90%의 산소를 투여 할 수있는 장치.
비강캐뉼라, 안면 마스크, 저장백을 가진 안면마스크 등.
ⓐ 비강캐뉼라
비도가 항상 개방.
산소량은 분당 1~6ℓ인데 6ℓ보다 더 많은 산소를 주어도 해부학적 저장소가 적고 산소 가 입이나 코로 다시 나오기 때문에 더 높은 FIO2는 주지 않음.
ⓑ 구강인두 카테터
분당 6~8ℓ를 투여하면 흡기 산소 농도를 약 30~40%로 줄 수 있음.
코끝에서 귀뿌리 까지 측정하여 카테터 끝에 수용성 윤활제를 바른 후 비강으로 삽입.
카테터의 위치를 확인한 후 끝이 보이지 않을때까지 약간 뒤로 당김.
카테터는 적어도 8~12시간 마다 바꿔 줌, 비강도 반대쪽으로 바꿔 줌.
ⓒ 안면마스크
해부학적 저장소를 증가시켜 비강캐뉼라로 투여하는 것보다 더 고농도의 산소를제공.
분당 5~6ℓ보다 적은 산소를 투여해서는 안됨.
ⓓ 저장백을 가진 마스크
60%이상의 산소 농도가 필요 할때 사용.
백과 마스크 사이에 일측성 밸브 (one-way valve)가 있어서 저장백에는 산소가 저장되 고 탄산가스를 재호흡하지 않음.
분당 6~15ℓ, 농도는 60~99%이상 - 환자의 환기 유형이나 깊이, 환기량에 따라 다름.
고유량제도
고유통제도는 필요한 총 흡기를 공급하기에 중분한 유량과 저장용적을 가진 제도.
호흡하는 환자는 기계에 의해 제공되는 가스만으로 호흡.
ⓐ Venturi 기구
원하는 FIO2로 산소와 공기를 혼합하기 위해 사용.
산소 매ℓ에 대하여 방안 공기를 흡인하는데 산소 대 방안 공기의 혼합율은 특정 산소 농 도와 산소와 공기의 총 유통량을 제공.
ⓑ T-piece
기관내관이나 기관절개술을 한 환자의 흡입 산소 농도를 만족할 만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특별한 접합 장치.
일관성있는 흡입산소 농도를 유지하는 작용.
분당 10ℓ를 투여하면 24~100%의 흡입산소 농도를 얻을 수 있음. - 고습도 제공해야함.
3. 분무요법
차폐장치에 의해 고형이나 액체입자의 현탁액인 연무를 생산하는 기구.
입자들이 아주 작아서 중력에 의해 가라앉지 않으며 폐의 말초부위로 흡입되고 기도의 점 막에 침전.
분무요법으로 기도를 습화시키고 기도에 직접 약물을 도포할 수 있음.
분무중 기도 경련 - 항경련제 투여.
압력계, MDI, 압축 가스 또는 간혈적양압호흡(IPPB)기게 이용.
분무요법후 - 자세배액, 두드러기, 등 객담을 배출하는 물리요법과 기침을 실시, 구강위생.
4. 습화
산소나 다른 압축된 공기는 건조하므로 이들 가스에 습도를 더해줌 - 호흡기 점막 자극이 나 건조를 방지 - 객담 배출 용이.
100%의 습도와 37°C가 적합.
계속적으로 기계 환기를 해야 하는 환자는 충분한 습화 필요.
5. Incentive Spirometry
천천히 숨을 깊게 쉰 후 3~5초간 숨을 참고 있다가 호기를 하면 기능적 잔기량(FRC)을 증가시켜 페합병증의 발병을 눈에 띄게 줄일 수 있고 흡기의 양을 잴 수 있음.
흡기 보유량에 영향을 주며 지속적이고 자의로 시행 할 수 있음.
폐렴, 신경근육 허약, 폐에 물이 고이는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매우 유용.
환자 곁에 기구를 두고 1시간에 10~20번씩 하도록 교육, 목표량을 자주 증가시킴.
흡입예방.
환기보조가 필요한 척수외상을 동반하는 경추골절.
기계적 환기기 또는 산소투여로 적절한 환기와 산화를 제공.
구강인두를 우회하는 인공기도 설치 시 적절히 습도를 제공.
흡입을 예방하고 구강 내 세균의 침입을 감소시키기 위해 구강분비물을 적절히 흡인.
최소한 8시간마다 내관을 과산화수소액으로 청결히 소독.
무균법을 지킴. - 인공기도는 상기도를 우회하며 성대하부의 하기도는 무균상태.
semi-Fowler`s체위 또는 좌위 - 폐 신장을 증진.
3) 기계적 인공호흡
① 간헐적 양압 호흡
단기용 (자신이 호흡할 수 있는 환자에서 10~20분간)
IPPB 적응증 - 무기폐, 기침을 잘 못하는 사람, 깊은숨을 쉴수 없는 환자에게 분무 요법 으로 약을 투여 할 때, 과소호흡 교정할 때 등.
금기증 - 자연 기흉, 진단되지 않은 객혈 환자. 심맥관계의 장애, 다른 생리적인 장애가 있을 때, 만성 이산화탄소 정체, 뇌 내압 상승환자.
② 계속적 인공호흡
ⓐ 양조절형 인공호흡기 (Emerson, Ohio560, Bennett MA-1 등. )
성인 호흡장애 증후군 등으로 인해 폐가 단단해져 있는 환자에게 유용.
산소 농도를 21%~100%까지 조절 가능.
ⓑ 압력조절형 인공호흡기 (Ben-nett PR-2, Bird MarkⅦ 등.)
호기말 양압(PEEP)과 계속적 기도양압(CPAP)
2. 산소요법
기도폐쇄, 폐수종, 급만성 호흡부전, 심장병, 신진대사 장애, 쇼크시 산소요법 사용.
① 산소투여의 적응증
동맥혈 가스 분석에서 산소분압이 낮을 때.
호흡운동량이 증가하였을 때.
심근의 부담이 증가됐을 때. - 심근경색증 환자, 심부전, 관상동맥 질환 등 심질환 환자들 에게 투여.
② 산소투여의 위험성
감염 - pseudomonas aeruginosa 같은 균들은 소독제에서도 자랄 수 있음.
연소(발화)
호흡기 점막의 건조 - 항상 멸균 증류수를 통과시켜 습화.
산소독성 - 산소독성은 산소를 투여한 시간과 양에 비례.
무기폐 - 산소과다증; 계면활성제의 생산을 방해, 계면활성제의 손실은 침범받은 폐포군을 허탈 시키는 표면 장력의 힘을 증가.
- 과소환기, 폐병변, 마취, 수술등으로 발생, 폐는 허탈되고 공기가 없는 폐포는 혈 액으로 가득 차게 되므로 산소를 공급할 수 없게 됨.
수정체 후방 섬유증식증
산소-유도 무호흡 - 만성 탄산가스 정체환자에게 산소를 투여하면 호흡에 대한 자극을 없 에 과소환기와 호흡부전 유발. - 25~35%의 낮은 농도의 산소를 아주 천천히 (1~2ℓ/분) 으로 조심스럽게 투여.
③ 산소투여 방법
마스크, 비강캐뉼라, 구강인두 카테터, 얼굴만 쓰는 텐트. 호흡기계, 분무 등.
④ 산소투여 제도
저유량 제도 - 광범위한 농도의 산소, 즉, 21~90%의 산소를 투여 할 수있는 장치.
비강캐뉼라, 안면 마스크, 저장백을 가진 안면마스크 등.
ⓐ 비강캐뉼라
비도가 항상 개방.
산소량은 분당 1~6ℓ인데 6ℓ보다 더 많은 산소를 주어도 해부학적 저장소가 적고 산소 가 입이나 코로 다시 나오기 때문에 더 높은 FIO2는 주지 않음.
ⓑ 구강인두 카테터
분당 6~8ℓ를 투여하면 흡기 산소 농도를 약 30~40%로 줄 수 있음.
코끝에서 귀뿌리 까지 측정하여 카테터 끝에 수용성 윤활제를 바른 후 비강으로 삽입.
카테터의 위치를 확인한 후 끝이 보이지 않을때까지 약간 뒤로 당김.
카테터는 적어도 8~12시간 마다 바꿔 줌, 비강도 반대쪽으로 바꿔 줌.
ⓒ 안면마스크
해부학적 저장소를 증가시켜 비강캐뉼라로 투여하는 것보다 더 고농도의 산소를제공.
분당 5~6ℓ보다 적은 산소를 투여해서는 안됨.
ⓓ 저장백을 가진 마스크
60%이상의 산소 농도가 필요 할때 사용.
백과 마스크 사이에 일측성 밸브 (one-way valve)가 있어서 저장백에는 산소가 저장되 고 탄산가스를 재호흡하지 않음.
분당 6~15ℓ, 농도는 60~99%이상 - 환자의 환기 유형이나 깊이, 환기량에 따라 다름.
고유량제도
고유통제도는 필요한 총 흡기를 공급하기에 중분한 유량과 저장용적을 가진 제도.
호흡하는 환자는 기계에 의해 제공되는 가스만으로 호흡.
ⓐ Venturi 기구
원하는 FIO2로 산소와 공기를 혼합하기 위해 사용.
산소 매ℓ에 대하여 방안 공기를 흡인하는데 산소 대 방안 공기의 혼합율은 특정 산소 농 도와 산소와 공기의 총 유통량을 제공.
ⓑ T-piece
기관내관이나 기관절개술을 한 환자의 흡입 산소 농도를 만족할 만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특별한 접합 장치.
일관성있는 흡입산소 농도를 유지하는 작용.
분당 10ℓ를 투여하면 24~100%의 흡입산소 농도를 얻을 수 있음. - 고습도 제공해야함.
3. 분무요법
차폐장치에 의해 고형이나 액체입자의 현탁액인 연무를 생산하는 기구.
입자들이 아주 작아서 중력에 의해 가라앉지 않으며 폐의 말초부위로 흡입되고 기도의 점 막에 침전.
분무요법으로 기도를 습화시키고 기도에 직접 약물을 도포할 수 있음.
분무중 기도 경련 - 항경련제 투여.
압력계, MDI, 압축 가스 또는 간혈적양압호흡(IPPB)기게 이용.
분무요법후 - 자세배액, 두드러기, 등 객담을 배출하는 물리요법과 기침을 실시, 구강위생.
4. 습화
산소나 다른 압축된 공기는 건조하므로 이들 가스에 습도를 더해줌 - 호흡기 점막 자극이 나 건조를 방지 - 객담 배출 용이.
100%의 습도와 37°C가 적합.
계속적으로 기계 환기를 해야 하는 환자는 충분한 습화 필요.
5. Incentive Spirometry
천천히 숨을 깊게 쉰 후 3~5초간 숨을 참고 있다가 호기를 하면 기능적 잔기량(FRC)을 증가시켜 페합병증의 발병을 눈에 띄게 줄일 수 있고 흡기의 양을 잴 수 있음.
흡기 보유량에 영향을 주며 지속적이고 자의로 시행 할 수 있음.
폐렴, 신경근육 허약, 폐에 물이 고이는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매우 유용.
환자 곁에 기구를 두고 1시간에 10~20번씩 하도록 교육, 목표량을 자주 증가시킴.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정형외과 골절 케이스 간호진단 및 과정
성인간호학실습 심부전 heart failure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뇌교경색 minor pntine infarction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탈골 골절 dislocation & fracture case study
성인간호학 관상동맥질환에 대한 보건 교육 PPT 자료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소화기내과 CBD stone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ER case study
성인간호학 임상실습 직장암 case study
성인간호학 SAH 지주막하 출혈 case
성인간호학 케이스 수술실케이스 복강경을 이용한 충수절제술 A+++ case study
<성인간호학 실습> 편도선염 간호문제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인공심박동기
성인간호학케이스 (위암case)
성인간호학) 귀의 건강문제를 가진 대상자의 간호중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