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심박동기가 필요할 수 있음
3. 심방 조기수축
- 일반적으로 치료가 필요없음
- PACs는 빈도의 증가에 대해 관찰해야 함
4. 발작성 심방빈맥
- 치료는 우선 박동수를 느리게 하고 그 다음 부정맥을 정장 동조율로 환원함
- Valsalva maneuver를 사용하여 심박동수를 줄임
미주신경이 심장을 느리게 하도록 자극함
a. 구토반사를 하게 하거나 변을 보듯이 밑으로 힘을 주게 하여 Valsalva maneuver를 시행
b. 건강관리 전문인은 경정맥 마사지를 함
- adenosine(Adenocard)은 저혈압, 흉통 또는 호흡곤란과 관련된 PAT에 효과적
a. 처음 용량은 6mg을 IV로 신속히 주입하고 그 후 12mg를 투여
1~2분 내에 반응이 나타나지 않으면 12mg을 한번 더 주입
b. 매우 단기간의 반감기를 갖고 있어 빠르게 제거됨
- esmolol(Brevibloc) 같은 Beta-adrenergic blocker가 사용될 수 있음
- calcium ion antagonist는 부정맥을 전환하는데 효과적
저혈량 환자의 경우, 저혈압을 주의깊게 관찰
- 약물치료가 비효과적입면 선택적 제세동기가 사용될 수 있음
5. 심방조동
- 심방조동의 표준적인 치료법은 digitalis 사용임
방실결절의 차단을 향상시켜 박동수를 줄일 수 있음
- quindine은 이소성 초점을 조절하기 위해 투여될 수 있음
digitalis와 quindine을 동시에 투여하여 리듬을 동조율을 환원시킴
- calcium-channel blocker를 사용
- propranolol(Inderal) 같은 beta-adrenergic blocking drugs을 사용할 수 있음
- 약물치료가 성공적이지 못할 경우 낮은 전류의 제세동기를 사용함
6. 심방세동
- 장기간 조절된 심방세동은 환자에게 부정맥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치료는 불필요함
장기간의 심방세동의 정상맥으로의 환원은 환원시 심방으로부터 혈전이 이동할 잠재적인 위험이 있기 때문
- 조절되지 않은 심방세동은 digitalis로 치료
심방세동이 최근에 발현된 경우 리듬을 동조율로 환원
- 심방세동은 환자가 안정상태가 아니라면 제세동기로 치료함
- beta-adrenergic blocking drugs 또는 calcium ion antagonists는 digitalis와 quinidine이 비효과적인 경우 사용될 수 있음
- adenosin(Adenocard)은 리듬 진단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
7. 심실 조기수축
a. PVCs는 대개 더 심한 심실성 부정맥의 전구 증상
PVCs와 수반된 다음의 상태는 응급처치가 요구됨
- 분당 6회를 초과하는 PVCs
- 2 또는 그 이상 연속해서 발생
- PVCs는 T파의 최고 또는 밑으로 경사지는 지점에서 하강
- 다발성 초점을 나타내는 다양한 파형
b. PVCs의 표준적인 치료는 IV로 lidocaine hydrochloride(Xylocaine)를 주사하는 것
- 효과적인 PVCs의 치료를 위해 독성을 초래하지 않고 가능한 한 혈청내 lidocaine 수치를 높이는 것임
- 처음에는 체중 1kg당 1~15mg을 bolus로 투여
- 부정맥이 계속 발생된다면 15분 내에 체중 1kg당 1mg을 bolus로 투여
- bolus 주입 후 5% 포도당에 lidocaine 2mg을 섞어서 계속 투여
- lidocaine의 독성이 중추신경계를 자극할 때 혼동, 의식이 희미해지고 말이 느려지는 증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주의깊게 관찰
- 심실 이소성이 서맥과 함께 발생되면 lidocaine를 주의깊게 투여
- 심실성 조기 수축이 서맥성 부정맥과 같이 발생하면 심박동수를 증가시키고 이소성 충격을 제거하기 위해 atropine을 투여
- 급성 심근경색이 있으면 atropine을 주의깊게 투여
- 조절성 PVC에는 lidocaine이 비효과적이므로 procainamide이 비효과적이면 다른 치료를 병행함
- Magnesium sulfate는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게 투여
상황의 긴박성에 따라 5~24시간에 걸쳐 18mg을 정맥내로 주입
8. 심실성 빈맥
- 의식이 분명하고 혈액역동적으로 보상되지 않으면 lidocaine을 bolus로 투여한 후 계속 lidocaine을 공급
- 의식이 소실되면 전흉부에 타격을 가함
- 의식과 맥박이 소실되면 즉시 제세동을 실시함
- 의식이 분명하고 약물에 반응하지 않으면 동시성 제세동법이나 심장 제세동을 사용함
- 일부 심실성 빈맥이 약물에 반응하지 않을 수 있음
심내막 절개, 동맥류 절개술, 항빈맥박동기, 자동 체내 제세동기 같은 비약물치료법을 사용할 수 있음
- 심실성 빈맥의 비전형적인 형태는 quinidine 치료의 후유증으로 초래 될수 있음
전형적인 형태의 심실성 빈맥의 치료는 비전형적 심실 빈맥과 다르기 때문에 두 가지 부정맥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
- torsades de pointes는 Q-T 간격이 0.06초보다 지연되고, R-R 간격이 다양하며, QRS는 모양이 다양
- 선택적 치료는 magnesium sulfate 1gm을 5~60분에 걸쳐 정맥내 투여함
- 의식과 맥박이 없다면 제세동을 실시
- 심실박동수를 정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심실박동을 조절함
- lidocaine과 procainamide(Pronestyl)는 Q-T 간격의 연장을 초래하므로 사용을
피함
9. 심실세동
- 즉각적인 제세동기가 심실세동의 유일한 치료임
- 세 번째 쇼크를 실패했다면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고 epinephrine(Arenalin) 1mg을 IV 주입
- 제세동 실패는 젖산증을 초래할 수 있음
- 심폐소생술의 적절성을 검사
10. 심방 심실 차단
- 1도 차단은 치료가 필요 없음
- 2도 차단은 심실률이 효과적인 심박출량을 유지하는데 지나치게 저하되어 있다면 치료가 필요 할 수도 있음
- 3도 차단은 심박출량이 저하되었다면 치료가 필요할 수 있음
- 횡피하 pacing은 응급상황에 사용됨
- atropine은 인공 심박동기를 적용하기 전 사용될 수 있으나 동방결절에 작용하는 미주신경 차단 작용이 있음을 기억해야 함. 방실 결절이 차단되어 atropine이 비효과적일 수 있음
3. 심방 조기수축
- 일반적으로 치료가 필요없음
- PACs는 빈도의 증가에 대해 관찰해야 함
4. 발작성 심방빈맥
- 치료는 우선 박동수를 느리게 하고 그 다음 부정맥을 정장 동조율로 환원함
- Valsalva maneuver를 사용하여 심박동수를 줄임
미주신경이 심장을 느리게 하도록 자극함
a. 구토반사를 하게 하거나 변을 보듯이 밑으로 힘을 주게 하여 Valsalva maneuver를 시행
b. 건강관리 전문인은 경정맥 마사지를 함
- adenosine(Adenocard)은 저혈압, 흉통 또는 호흡곤란과 관련된 PAT에 효과적
a. 처음 용량은 6mg을 IV로 신속히 주입하고 그 후 12mg를 투여
1~2분 내에 반응이 나타나지 않으면 12mg을 한번 더 주입
b. 매우 단기간의 반감기를 갖고 있어 빠르게 제거됨
- esmolol(Brevibloc) 같은 Beta-adrenergic blocker가 사용될 수 있음
- calcium ion antagonist는 부정맥을 전환하는데 효과적
저혈량 환자의 경우, 저혈압을 주의깊게 관찰
- 약물치료가 비효과적입면 선택적 제세동기가 사용될 수 있음
5. 심방조동
- 심방조동의 표준적인 치료법은 digitalis 사용임
방실결절의 차단을 향상시켜 박동수를 줄일 수 있음
- quindine은 이소성 초점을 조절하기 위해 투여될 수 있음
digitalis와 quindine을 동시에 투여하여 리듬을 동조율을 환원시킴
- calcium-channel blocker를 사용
- propranolol(Inderal) 같은 beta-adrenergic blocking drugs을 사용할 수 있음
- 약물치료가 성공적이지 못할 경우 낮은 전류의 제세동기를 사용함
6. 심방세동
- 장기간 조절된 심방세동은 환자에게 부정맥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한 치료는 불필요함
장기간의 심방세동의 정상맥으로의 환원은 환원시 심방으로부터 혈전이 이동할 잠재적인 위험이 있기 때문
- 조절되지 않은 심방세동은 digitalis로 치료
심방세동이 최근에 발현된 경우 리듬을 동조율로 환원
- 심방세동은 환자가 안정상태가 아니라면 제세동기로 치료함
- beta-adrenergic blocking drugs 또는 calcium ion antagonists는 digitalis와 quinidine이 비효과적인 경우 사용될 수 있음
- adenosin(Adenocard)은 리듬 진단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
7. 심실 조기수축
a. PVCs는 대개 더 심한 심실성 부정맥의 전구 증상
PVCs와 수반된 다음의 상태는 응급처치가 요구됨
- 분당 6회를 초과하는 PVCs
- 2 또는 그 이상 연속해서 발생
- PVCs는 T파의 최고 또는 밑으로 경사지는 지점에서 하강
- 다발성 초점을 나타내는 다양한 파형
b. PVCs의 표준적인 치료는 IV로 lidocaine hydrochloride(Xylocaine)를 주사하는 것
- 효과적인 PVCs의 치료를 위해 독성을 초래하지 않고 가능한 한 혈청내 lidocaine 수치를 높이는 것임
- 처음에는 체중 1kg당 1~15mg을 bolus로 투여
- 부정맥이 계속 발생된다면 15분 내에 체중 1kg당 1mg을 bolus로 투여
- bolus 주입 후 5% 포도당에 lidocaine 2mg을 섞어서 계속 투여
- lidocaine의 독성이 중추신경계를 자극할 때 혼동, 의식이 희미해지고 말이 느려지는 증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주의깊게 관찰
- 심실 이소성이 서맥과 함께 발생되면 lidocaine를 주의깊게 투여
- 심실성 조기 수축이 서맥성 부정맥과 같이 발생하면 심박동수를 증가시키고 이소성 충격을 제거하기 위해 atropine을 투여
- 급성 심근경색이 있으면 atropine을 주의깊게 투여
- 조절성 PVC에는 lidocaine이 비효과적이므로 procainamide이 비효과적이면 다른 치료를 병행함
- Magnesium sulfate는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게 투여
상황의 긴박성에 따라 5~24시간에 걸쳐 18mg을 정맥내로 주입
8. 심실성 빈맥
- 의식이 분명하고 혈액역동적으로 보상되지 않으면 lidocaine을 bolus로 투여한 후 계속 lidocaine을 공급
- 의식이 소실되면 전흉부에 타격을 가함
- 의식과 맥박이 소실되면 즉시 제세동을 실시함
- 의식이 분명하고 약물에 반응하지 않으면 동시성 제세동법이나 심장 제세동을 사용함
- 일부 심실성 빈맥이 약물에 반응하지 않을 수 있음
심내막 절개, 동맥류 절개술, 항빈맥박동기, 자동 체내 제세동기 같은 비약물치료법을 사용할 수 있음
- 심실성 빈맥의 비전형적인 형태는 quinidine 치료의 후유증으로 초래 될수 있음
전형적인 형태의 심실성 빈맥의 치료는 비전형적 심실 빈맥과 다르기 때문에 두 가지 부정맥을 구별하는 것이 중요
- torsades de pointes는 Q-T 간격이 0.06초보다 지연되고, R-R 간격이 다양하며, QRS는 모양이 다양
- 선택적 치료는 magnesium sulfate 1gm을 5~60분에 걸쳐 정맥내 투여함
- 의식과 맥박이 없다면 제세동을 실시
- 심실박동수를 정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심실박동을 조절함
- lidocaine과 procainamide(Pronestyl)는 Q-T 간격의 연장을 초래하므로 사용을
피함
9. 심실세동
- 즉각적인 제세동기가 심실세동의 유일한 치료임
- 세 번째 쇼크를 실패했다면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고 epinephrine(Arenalin) 1mg을 IV 주입
- 제세동 실패는 젖산증을 초래할 수 있음
- 심폐소생술의 적절성을 검사
10. 심방 심실 차단
- 1도 차단은 치료가 필요 없음
- 2도 차단은 심실률이 효과적인 심박출량을 유지하는데 지나치게 저하되어 있다면 치료가 필요 할 수도 있음
- 3도 차단은 심박출량이 저하되었다면 치료가 필요할 수 있음
- 횡피하 pacing은 응급상황에 사용됨
- atropine은 인공 심박동기를 적용하기 전 사용될 수 있으나 동방결절에 작용하는 미주신경 차단 작용이 있음을 기억해야 함. 방실 결절이 차단되어 atropine이 비효과적일 수 있음
추천자료
case보고서/성인간호학/협심증 대상자에 대한 간호진단
성인간호학-심부정맥의 종류별 특징
성인간호학-간,담도,췌장 검사
성인간호학-통증
성인간호학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실습 폐렴(pneumonia)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실습- 갑상선암 케이스 ,Thyroid cancer ,간호사례연구
성인간호학 - 승모판협착증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요약 - 대장 및 소장장애
성인간호학 요약정리(하부호흡기계와 건간문제)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경추골절
성인간호학 - 대장암[결장직장암, Colorectal Cancer]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 4학년1학기 과제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