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판술 (skin flap)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피판술의 정의
2. 피판술의 적응증
3. 피판술의 금기증
4. 합병증의 예방과 처치
5. 각 종류 (약 28개) 크게는 3부류
# 생소한 단어정리등 보충설명들

본문내용

수배부와 족배부는 구조적 유사성이 많아 신전근과 감각 신경, 골의 복합적인 재건을 위해서는 적절하나 아닐 경우 공여부의 희생으로 장기간의 보행 제한이 있어 피판선택에 주의 요함.
광배근천공지기저유리피판 (Latissimus dorsi perforator-based free flap)
·목적: 종래의 근피피판을 천공지 중심으로 박리 거상하여 피판 의 거상을 빠르게 하면서 손실을 줄이고 공여부를 선택 함에 있어 제한이 없이 피판을 쉽게 거상하고자 함.
공여부의 최소한의 희생.
근피피판을 거상할 수 있는 공여부 어디에서든지 피판의 두께와 피판경을 조절하여 피판을 거상할 수 있는 기대.
·가장 많이 사용. 수술전에 color duplex image나 power Doppler image로 가장 신뢰성이 있는 천공지의 위치화 주행을 확인. spectral mode로 천공지의 동,정맥 구성을 확인.
·장점: 비교적 일정한 해부학적 구조와 거상이 용이. 천공지 기 저 피판의 거상은 근육으로부터 나오는 천공까지 박리함 으로써 피판 거상시 근육이나 운동신경의 희생이 전혀없음.
·단점: 술후 환자의 불편감 (근육의 과도한 절제나 피판경의 박 리에 따른 흉배신경의 희생이 불가피 경우 많음)
·유용성: 공여부의 근육이나 신경의 완전 보존이 가능하여 공여 부의 손실을 최소화, 얇은 피판을 거상할 수 있는 가능 성, 수혜부 가까이 공여 혈관이 위치 할때는 작은 직경 이라도 천공지의 치찬경과 쉽게 문합 가능.
※ pre-op시 Color duplex image는 초음파에서 Doppler shift를 이용하여 혈관의 혈류상태, 혈류량, 직경, 근육내 주행 방향등의 정보를 얻음.
※ 수배부 재건에 있어서는 1) 수술직후의 신속한 재활치료 2) 건 운동에 적합한 활주면 3) 얇은두께
※ 허혈시간
: 절단된 부분이 절단된 때부터 혈류가 복구될 때까지 경과된 시간. 조직에 따라 다르나 혈관 내막 세포와 근세포가 많을수록 오래 견디지 못함. 근이 적은 수지첨부는 허혈에 더 오래 견딜 수 있 다. 대개 수지부는 12시간 정도.
상온허혈시간이란: 절단부가 혈류가 복구될 때까지 상온에 있는 시간으로 기록해야 함.
12시간이 지나면 생존율이 감소, 0~4℃의 냉장보관하면 2배로 연장.
저온처리를 함으로써 대사성 산증, 근육의 자가용해, 세균성장 감소.
※ 다발성 수지 절단시 재건 우선순위
: 무지 → 제3수지 → 제4수지 → 제2수지 → 제5수지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5.27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77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