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선하증권(B/L),
2. 상업송장
3. 포장명세서,
4. 보험증권,
5. 원산지증명서
2. 상업송장
3. 포장명세서,
4. 보험증권,
5. 원산지증명서
본문내용
** 무역거래에서 사용하는 5가지 선적서류 **
‘운송서류’ 또는 ‘도큐먼츠’라고도 하는 선적서류는 무역품의 재산권을 완전히 나타낸 것으로서 국제무역계에서 인정되고 있는 상용(商用) 서류로 정의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하증권(船荷證券) •보험증권 및 상업송장(商業送狀)의 3가지로 이루어지는데, 국가에 따라서는 그 이외에 영사송장•세관송장•원산지증명서•검사증명서•포장명세서•중량용적증명명세표 등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선적서류는 일괄해서 화환(貨換)어음의 담보가 되며, 무역품의 수도(受渡)나 매매에도 이용된다. 특히 CIF조건(운임•보험료 포함조건)의 무역계약에서는 판매자의 인도와 구매자의 지급이 모두 이 선적서류의 수수(授受)에 의해서만 이행된다.
1. 선하증권(B/L),
화주와 선박회사간의 해상운송 계약에 의하여 선박회사가 발행하는 유가증권으로서 선주가 자기 선박에 화주로부터 의뢰 받은 운송화물을 적재 또는 적재를 위해 그 화물을 영수하였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화물을 도착항에서 일정한 조건하에 수하인 또는 그 지시인에게 인도할 것을 약정한 유가증권이다. B/L은 B/L상에 기재된 화물의 권리를 구체화하는 것으로 B/L의 양도는 바로 화물에 대한 권리의 이전을 의미한다. 화물을 처분코자 할 때에는 반드시 관련 B/L을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요약
화주와 선박회사간의 운송계약서
물품운송을 맡은 선박회사가 발행하는 선적화물의 수취 증
수출자로부터 물품을 인수해서 본 증권과 상환에서 물품을 인도할 것을 약속한 유가증권
배서에 의해 양도할 수 있는 지시증권
2. 상업송장
거래 당사자의 이름과 주소, 발행일자. 게약상품의 규격 및 수량, 단가, 총액 등을 구제적으로 기재한 매매계산서이자 대금청구서이다. 거래계약의 존재 및 계약이행의 사실을 입증하는 자료로 사용되며, 수입물품의 정확성 및 진실성을 입증하기 위한 세관신고의 증명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 기재요령
Seller
수출자의 이름과 주소를 기재한다.
Consignee
수출상품을 인도받을 개인 또는 법인의 이름과 주소를 기재하며 선하증권상 Consignee란과 동일하게 기재한다.
‘운송서류’ 또는 ‘도큐먼츠’라고도 하는 선적서류는 무역품의 재산권을 완전히 나타낸 것으로서 국제무역계에서 인정되고 있는 상용(商用) 서류로 정의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하증권(船荷證券) •보험증권 및 상업송장(商業送狀)의 3가지로 이루어지는데, 국가에 따라서는 그 이외에 영사송장•세관송장•원산지증명서•검사증명서•포장명세서•중량용적증명명세표 등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선적서류는 일괄해서 화환(貨換)어음의 담보가 되며, 무역품의 수도(受渡)나 매매에도 이용된다. 특히 CIF조건(운임•보험료 포함조건)의 무역계약에서는 판매자의 인도와 구매자의 지급이 모두 이 선적서류의 수수(授受)에 의해서만 이행된다.
1. 선하증권(B/L),
화주와 선박회사간의 해상운송 계약에 의하여 선박회사가 발행하는 유가증권으로서 선주가 자기 선박에 화주로부터 의뢰 받은 운송화물을 적재 또는 적재를 위해 그 화물을 영수하였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화물을 도착항에서 일정한 조건하에 수하인 또는 그 지시인에게 인도할 것을 약정한 유가증권이다. B/L은 B/L상에 기재된 화물의 권리를 구체화하는 것으로 B/L의 양도는 바로 화물에 대한 권리의 이전을 의미한다. 화물을 처분코자 할 때에는 반드시 관련 B/L을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요약
화주와 선박회사간의 운송계약서
물품운송을 맡은 선박회사가 발행하는 선적화물의 수취 증
수출자로부터 물품을 인수해서 본 증권과 상환에서 물품을 인도할 것을 약속한 유가증권
배서에 의해 양도할 수 있는 지시증권
2. 상업송장
거래 당사자의 이름과 주소, 발행일자. 게약상품의 규격 및 수량, 단가, 총액 등을 구제적으로 기재한 매매계산서이자 대금청구서이다. 거래계약의 존재 및 계약이행의 사실을 입증하는 자료로 사용되며, 수입물품의 정확성 및 진실성을 입증하기 위한 세관신고의 증명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 기재요령
Seller
수출자의 이름과 주소를 기재한다.
Consignee
수출상품을 인도받을 개인 또는 법인의 이름과 주소를 기재하며 선하증권상 Consignee란과 동일하게 기재한다.
추천자료
주요 경제 용어 모음집 106선
EDI(전자상거래)에 따른 관습적 무역업무의 혁신
UCP500에서 UCP600으로 변경한 배경과 이유,개정내용
Incoterms의 제정과 개정
[신용장][신용장거래][신용장의 분류][신용장의 종류][신용장의 이점][신용장거래의 원칙][신...
[관세법] 과세요건
인코텀즈에 대하여 서술
인코텀즈 2000레포트 자료(개정전과 개정후 내용 모두 소개하였음)
무역대금결제 방식의 변화
무역학개론
무역계약의 기본조건(2) - 가격조건, 대금결제조건, 보험조건, 분쟁해결조건.PPT자료
신용장의 추상성과 관련된 판례
P&O Nedlloyd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