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포하여 기포를 관찰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외에도 압력을 가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다음에 압력변화를 보는 방법도 있다.
3) 결함의 종류
1) 주형, 그 밖의 주조 준비의 불비에 따른 결함 : 치수 불량
2) 주입 때 생기는 결함 : 탕의 유동 불량, 기공 발생, 잡물 개입
3) 냉각, 응고시에 생기는 결함 : 주물 표면 불량, 기공, 수축공, 변형, 균열
(1) 수축공
응고될 때 용탕이 부족하여 최종응고부위에 공공이 생기는 것
주입구 부근, 코어주변, 코너 및 요철 부위, 중심선상 등에서 주로 발생
(2) 기공, 미세공
용탕 중에 함유된 가스나 응고시에 잔류하는 공기에 의해 생성
큰 공동 : 기공
작은 공동 : 미세공
(3) 편석(偏析; segregation)
주물의 일부분에 불순물이 집중되던가 성분이 국부적으로 치우쳐 있는 것 등을 편석이라 하며, 편석의 종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성분편석(成分偏析): 강의 예로서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응고 초기 a₁에서 결정의 탄소함량은 M₁, 응고중 a₂에서 M₂이고, 응고말기 a₃에서 M₃로서 말기로 갈수록 탄소함량이 증가되고 있다. 이 사실로 보면 수지상(樹枝狀) 결정의 가지 사이에 탄소 함유량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물의 위치에 따라 성분의 차가 있는 것을 성분편석이라 한다.
*중력편석(重力偏析): Pb-Sb-Sn기(基)의 bearing 합금을 응고시킬 때 초기에 정출할 Sb가 많은 것은 Sb의 비중이 작기 때문에 위에 뜬다. 이와 같이 비중차에 의하여 불균일한 합금이 되는 편석을 중력편석이라 한다. 중력편석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특수 원소를 첨가하여 침상(針狀) 또는 수지상(樹枝狀) 결정을 생성시켜 침하(沈下) 또는 부상(浮上)을 못하도록 하거나, 용탕을 급랭하는 것이다.
*정상편석(正常偏析)과 역편석(逆偏析): 응고방향에 따라 용질(溶質)이 액체중에서 이동하여 주물의 중심부에 모이는 편석을 정상편석이라 하고, 응고시간이 길수록 그 정도가 크다. 용질이 주물표면에 스며 나와 성분함량이 많은 결정이 외측에 생기는 편석을 역편석이라 한다.
(4) 주물표면결함
주물표면 : 주물의 가치 좌우, 표면불량에 유의
표면결함 : 개재물, 주물사 소착, 떨어진 모래 등
개재물
* 주물사, 용탕중의 금속산화물, 슬래그가 혼입
(5) 치수불량
원인
* 주물상자의 조립 불량
* 코어 및 원형(목형)의 변형 및 이동
* 주물사 선정 잘못
3) 결함의 종류
1) 주형, 그 밖의 주조 준비의 불비에 따른 결함 : 치수 불량
2) 주입 때 생기는 결함 : 탕의 유동 불량, 기공 발생, 잡물 개입
3) 냉각, 응고시에 생기는 결함 : 주물 표면 불량, 기공, 수축공, 변형, 균열
(1) 수축공
응고될 때 용탕이 부족하여 최종응고부위에 공공이 생기는 것
주입구 부근, 코어주변, 코너 및 요철 부위, 중심선상 등에서 주로 발생
(2) 기공, 미세공
용탕 중에 함유된 가스나 응고시에 잔류하는 공기에 의해 생성
큰 공동 : 기공
작은 공동 : 미세공
(3) 편석(偏析; segregation)
주물의 일부분에 불순물이 집중되던가 성분이 국부적으로 치우쳐 있는 것 등을 편석이라 하며, 편석의 종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성분편석(成分偏析): 강의 예로서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응고 초기 a₁에서 결정의 탄소함량은 M₁, 응고중 a₂에서 M₂이고, 응고말기 a₃에서 M₃로서 말기로 갈수록 탄소함량이 증가되고 있다. 이 사실로 보면 수지상(樹枝狀) 결정의 가지 사이에 탄소 함유량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물의 위치에 따라 성분의 차가 있는 것을 성분편석이라 한다.
*중력편석(重力偏析): Pb-Sb-Sn기(基)의 bearing 합금을 응고시킬 때 초기에 정출할 Sb가 많은 것은 Sb의 비중이 작기 때문에 위에 뜬다. 이와 같이 비중차에 의하여 불균일한 합금이 되는 편석을 중력편석이라 한다. 중력편석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특수 원소를 첨가하여 침상(針狀) 또는 수지상(樹枝狀) 결정을 생성시켜 침하(沈下) 또는 부상(浮上)을 못하도록 하거나, 용탕을 급랭하는 것이다.
*정상편석(正常偏析)과 역편석(逆偏析): 응고방향에 따라 용질(溶質)이 액체중에서 이동하여 주물의 중심부에 모이는 편석을 정상편석이라 하고, 응고시간이 길수록 그 정도가 크다. 용질이 주물표면에 스며 나와 성분함량이 많은 결정이 외측에 생기는 편석을 역편석이라 한다.
(4) 주물표면결함
주물표면 : 주물의 가치 좌우, 표면불량에 유의
표면결함 : 개재물, 주물사 소착, 떨어진 모래 등
개재물
* 주물사, 용탕중의 금속산화물, 슬래그가 혼입
(5) 치수불량
원인
* 주물상자의 조립 불량
* 코어 및 원형(목형)의 변형 및 이동
* 주물사 선정 잘못
추천자료
강재 및 콘크리트의 비파괴 시험 조사
응급실 실습과제(간호사 역할, 응급약물, 데일리, 검사기구)
초음파탐상법을 이용한 매질의 물성치 분석
[뇌졸중][뇌졸중환자][뇌졸중치료][뇌졸중예방][뇌]뇌졸중의 정의, 뇌졸중의 원인, 뇌졸중의 ...
[중풍][뇌졸중]중풍(뇌졸중)의 원인과 위험인자, 중풍(뇌졸중)의 종류, 중풍(뇌졸중)의 증상,...
초음파에 관한 고찰
AKR(인공신장실) 말기신질환 케이스 문헌고찰 진단검사 약물 간호과정 등 최고자료!!
주물의 결함과 방지대책 및 검사
[B형간염][간염][간질환][간]간의 기능, 간염의 종류와 B형간염의 실태, B형간염의 심각성, B...
간경변증(간경변, 간경화) 의미와 분류, 간경변증(간경변, 간경화) 진단 검사와 합병증, 간경...
비파괴 보고서
비파괴nondestructive공학개론_HW2_결함특성과 NDE
안과 비뇨기계 실습 과제, 녹내장, 백내장, 망막박리, 당뇨병성망막증, 신장암, 방광암, 전립...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태내발달단계, 태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태내진단(태내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