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이른 아침부터 늦은 밤에 이르기까지 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할 삶의 자세를 설명하고 있다. 이 잠은 남송의 진백이 지은 것이며, 도는 퇴계가 그렸다.
1장 태극도에서부터 10장 숙흥야매잠도까지 읽으면서 퇴계에 대해 여태 몰랐던 사실에 대해 알게 된 것 같았다. 이언적의 주리설을 계승하여, 주자의 주장을 따라 우주의 현상을 이(理)·기(氣) 이원(二元)으로 설명하였다. 이와 기는 서로 다르면서 동시에 상호 의존관계에 있어서, 이는 기를 움직이게 하는 근본 법칙을 의미하고 기는 형질을 갖춘 형이하적 존재로서 이의 법칙을 따라 구상화되는 것이라고 하여 이기이원론을 주장하면서도 이를 보다 근원적으로 보아 주자의 이기이원론을 발전시켰다는 것을 3조에서 발표한 발제지에서 찾아보며, 그때의 기억을 떠올리게 되었다.
1장 태극도에서부터 10장 숙흥야매잠도까지 읽으면서 퇴계에 대해 여태 몰랐던 사실에 대해 알게 된 것 같았다. 이언적의 주리설을 계승하여, 주자의 주장을 따라 우주의 현상을 이(理)·기(氣) 이원(二元)으로 설명하였다. 이와 기는 서로 다르면서 동시에 상호 의존관계에 있어서, 이는 기를 움직이게 하는 근본 법칙을 의미하고 기는 형질을 갖춘 형이하적 존재로서 이의 법칙을 따라 구상화되는 것이라고 하여 이기이원론을 주장하면서도 이를 보다 근원적으로 보아 주자의 이기이원론을 발전시켰다는 것을 3조에서 발표한 발제지에서 찾아보며, 그때의 기억을 떠올리게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