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의 성학십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퇴계 이황
3. 퇴계의 사상
4. 성학십도(聖學十道)
5. 나오며

본문내용

) : 새벽부터 밤 늦게까지 공부하라.
「움직임과 고요함이 순환하는 것을 오직 마음만은 볼 수 있으므로, 고요할 때는 이 마음을 잘 보존하고 움직일 때는 잘 관찰해서, 마음이 둘 또는 셋으로 나뉘어서는 안 된다. 글을 읽다가 틈이 나면 간혹 휴식을 취하고, 정신을 활짝 펴고 성정(性情)을 아름답게 길러야 한다. 날이 저물어 사람이 피곤해지면 나쁜 기운이 들어오기 쉬우므로, 몸과 마음을 잘 가다듬어 정신을 맑게 이끌어야 한다.」
숙흥야매잠도(夙興夜寐箴圖)는 진백이 글을 쓰고 퇴계가 그림을 그린 것이다. 퇴계는 경재잠도를 보고 이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 ‘숙흥야매’라는 말은 아침 일찍 일어나고 밤늦게 잠을 잔다는 뜻인데, 그만큼 시간을 아껴서 학문에 전념해야 한다는 말이다.
새벽에 일찍 일어나 세수하고 의복을 단정하게 갖추고 앉아서 책을 읽어야 하며, 사람들과 묻고 답하면서 자신의 잘못을 고치고, 일이 생기면 처리한 다음 다시 마음을 가라앉혀 학문에 집중한다. 간혹 휴식을 취하며 다시 정신을 맑게 하고, 밤이 되면 몸이 피로해 기운이 쇠약해지므로 더욱 정신을 가다듬어야 한다. 밤에 잘 때는 아무 생각도 하지 말고 깊이 잠들어 맑은 기운이 다시 몸속에 들어오도록 해야 한다. 이것이 숙흥야매잠도에서 말하는 대강의 줄거리이다.
5. 나오며
지금까지 성학십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성학십도>>는 열 폭밖에 안 되는 짧은 글이지만 유학의 원리와 수행 방법을 요약하고, 또한 퇴계의 유학 사상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해 주는 책이다. 그러나 옛사람들이 보기에는 그림으로 그려져 있고, 한자가 생활화 되어 있었기 때문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시각적인 효과를 통해 유학 사상의 핵심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다가갈 수 있었지만 현재의 우리로써는 쉽사리 접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였다.
중고등학교 시절에 역사나 윤리 교과서를 통해서 누구나 한번쯤은 조선시대의 성리학에 대해 들어봤을 것이다. 또한 퇴계 이황이 누구인지, 심지어 천원짜리 지폐에 새겨진 인물이라는 것쯤은 어린 아이가 봐도 알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성학십도가 무엇이냐? 라고 물음을 던진다면 쉽사리 대답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그림으로 배우는 성학십도」라는 책을 보고, 여러 자료들을 참고한 결과 필자가 정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성리학의 형이상학에서 근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태극을 설명한 '태극도', 그리고 만물과 일체가 되는 것이 인(仁)이라는 내용의 '서명도', 일상생활에서의 행동양식과 몸가짐 등을 제시한 '소학도'를 배치하고, 마음을 수양해 나라를 다스리는 데 목표를 둔 '대학도'를 뒀다. 다섯 번째는 소학과 대학에서 무엇을 어떤 식으로 배워야 하는지에 관해 주자의 백록동규를 이끌어 설명한 '백록동규도'가 이어지고, 그 다음에는 마음이 품성이나 감정과 어떤 연관을 갖는지 설명하는 '심통성정도'를 둬 마음의 수양이 공부의 대상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그리고 '인설도'에서는 인을 자연의 원리로까지 능동성을 강조하고, '심학도'에서는 인욕을 제거하고 천리를 보존하기 위해 필요한 마음공부를 제시하며, 마지막으로 '경재잠도'와 '숙흥야매잠도'를 배치해 언제나 어디서나 경(敬)으로 일관해야 한다는 점을 잠언 형식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로써 우리 선조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공부했으며 실천했는지를 알게 됨으로써 오늘날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많다고 하겠다.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기본 토대로 삼아야 할 것이다.
※참고 자료
1. 이황,「성학십도 : 열 가지 그림으로 읽는 성리학」, 풀빛, 2005.
2. 금장태,「聖學十圖와 퇴계철학의 구조」, 서울대학교, 2001.
3. 퇴계학연구원,「聖學十圖釋解」, 퇴계학연구원, 1982.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7.15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54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