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의 발생과 기독교 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독교의 발생과 기독교 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기독교의 발생

-기독교의 인간관

-기독교의 자연관

-기독교의 윤리관

본문내용

비신자들은 도덕 법칙을 인지하고 있지 않다고 해도, 그것을 심정적으로는 받아들이고 있다.
넷째, 기독교 윤리는 규정적이다. 도덕적인 정의는 도덕적인 하나님에 의해 규정되므로 그것은 규정적이다. 왜냐하면 도덕적인 율법 수여자가 없다면 도덕적인 법규도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도덕적인 입법자가 없다면 도덕적 입법도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기독교 윤리는 존재가 아닌 당위와 관련이 있다. 기독교인들은 기독교인들의 기준 속에서가 아니라, 기독교인들을 위한 기준 속에서 자기들의 윤리적 의무를 발견한다. 기독교의 관점에서 보면 순수 규정적인 윤리는 결코 윤리가 아니다. 인간 행위를 서술하는 것은 사회학의 영역이지만, 인간의 행위를 규정하는 것은 도덕의 영역이다. 우리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수자에게서 도덕을 도출해 내려는 노력은 존재 당위의 오류이다. 사람들이 실제로 하고 있는 것은, 그들이 당연히 해야 하는 것의 토대가 아니다. 만약 그렇다고 가정한다면 사람들이 항상 거짓말하고 사기치고 도둑질하고 살인하고 있는 이유로, 그런 행위들을 당연한 것을 간주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기독교 윤리는 의무론적이다. 윤리 체계는 크게 두 범주, 즉 의무론적 범주와 목적론적 범주로 나눌 수 있다. 기독교 윤리는 의무론적이다. 한편 공리주의는 목적론적 윤리의 전형이다. 의무론적 윤리의 성격은 목적론적 윤리와 비교해 볼 때 한층 더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해내려다 실패했다고 하자. 목적론적 윤리에 따르면 이것은 좋은 결과를 낳지 않았기 때문에 훌륭한 행동이 아니다. 결과가 행동의 훌륭함을 결정하는데 결과가 좋지 못했으므로 구조 노력은 훌륭한 행동이 아니다. 물론 보다 복잡한 형태의 목적론적 윤리는 이렇게 주장할 것이다. 비록 실패로 돌아갔다고 해도 물에 빠진 사람을 구조하려는 시도 자체는 사회에 좋은 영향을 미쳤으므로 훌륭했다. 즉 사람들은 이 이야기를 듣고서 앞으로 다른 사람을 구하는 일을 적극 돕겠다고 마음먹을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여기서도 실패로 돌아간 바,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려는 행동 자체는 훌륭한 행동이 아니었다. 물에 빠진 사람이나 그 밖의 누군가를 위해 좋은 결과를 낳았을 경우에만, 그러한 행동은 훌륭한 행동이 될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기독교 윤리는 의무론적이므로, 비록 실패로 돌아가더라도 물에 빠진 사람을 구하려는 행동이 훌륭한 행동이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자면 기독교인들은 전혀 사랑받지 않는 것보다, 사랑받다가 목숨을 잃는 것이 더 낫다고 믿고 있다. 기독교인들은 또한 누군가가 구원받을 것이기 때문에, 그리스도는 십자가 위에서 헛되게 죽지 않았다고 확신한다. 왜냐하면 그리스도의 죽음은 비록 신자들에게만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모든 사람을 위한 훌륭한 선택이었기 때문이다. 기독교 윤리는 실패로 돌아간다고 할지라도, 편협한 인종주의에 맞서는 행동은 훌륭하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하나님의 본성을 반영한 도덕적인 행동은 성공을 거두든 실패로 돌아가든 상관없이 훌륭한 행동이기 때문이다.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6.0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91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