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칼리 소비량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이론

실험기기 및 시약

실험방법

참고문헌

실험결과

토의 및 고찰

본문내용

여 염산(0.1N)의 농도계수 구하기
0.1N 염산 25ml를 페놀프탈레인, 티몰블루 혼합액 3~5방울을 가한 후 조제한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한다.
여기서, : 0.1N 염산의 농도계수 (-)
: 조제한 0.1N 수산화나트륨 소비량 (ml)
- 실험값 = 19 ml 이므로 = 6.71 이다.
3) 알칼리 소비량
알칼리 소비량 구하는 식;
여기서, : 알칼리 소비량 (pH 9) (ppm)
: 0.1N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소비량 (ml)
: 농도계수 (-)
: 검수량 (cc)
검수 A의 알칼리 소비량 : = 65.01
검수 B의 알칼리 소비량 : = 32.21
7. 토의 및 고찰
이번 실험은 검수 중에 함유된 강산, 유기산, 염류 등을 중화하는데 소비되는 알칼리 소비량을 측정하는 실험이였다. 우리는 실험 방법에 나와 있는 페놀프탈렌, 티몰블루 혼합액을 이용해 적정을 하지 않고 pH meter를 사용하여 적정을 했다. 실험 결과 일감호 물의 알칼리 소비량은 65.01이고, 수돗물의 알칼리 소비량은 32.32으로 측정되었다. 일감호 물과 수돗물의 알칼리 소비량이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기 때문에 우리의 결과 값에서 오차가 얼마나 났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었다. 적정을 할 때 pH meter는 기계가 오래되어서 그런지 용액의 pH를 잘 나타내어 주지 못했다. 만약 우리의 결과 값에 오차가 있다면, 오래되어 정확히 측정이 되지 않는 pH meter가 원인일 수도 있고, 시약을 만들 때 정확한 양을 측정하지 못한 이유도 있을 것이다. 또한 일감호 물에 약간의 이물질이 들어가 측정이 정확히 되지 않았을 수 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6.05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95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