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이론
실험기기 및 시약
실험방법
참고문헌
실험결과
토의 및 고찰
이론
실험기기 및 시약
실험방법
참고문헌
실험결과
토의 및 고찰
본문내용
100.nhn?docid=125818
- http://100.naver.com/100.nhn?docid=105068
- http://blog.naver.com/nsy0722/10030309109
6. 실험결과
첨가한
KOH(ml)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pH
2.41
2.58
3.2
3.8
4.5
5.56
6.12
7.56
8.04
8.8
7. 토의 및 고찰
일반적으로 약산을 강염기로 적정하면 pH의 변화가 크게 증가할 것이다.
하지만 완충용액을 이용해 적정을 하면 실험 결과와 같이 pH의 변화가 급격하지 않게 일어난다. 실험 결과를 보면 pH가 조금 많이 증가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은 실험을 하기위해 만든 용액들의 농도를 잘 맞추지 못해서 정확한 완충용액을 만들지 못했기 때문에 생긴 결과인 것 같다. 그리고 그래프를 보면 300ml 이후에서 기울기가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완충용액과 KOH의 비율이 1:1을 넘어서 완충용액보다 KOH의 양이 많아졌기 때문에 pH가 많이 증가한 것이다. KOH의 양을 50ml보다 더 적은 양의 간격으로 측정했다면 그래프의 기울기는 더 완만하게 나타났을 것이다.
- http://100.naver.com/100.nhn?docid=105068
- http://blog.naver.com/nsy0722/10030309109
6. 실험결과
첨가한
KOH(ml)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pH
2.41
2.58
3.2
3.8
4.5
5.56
6.12
7.56
8.04
8.8
7. 토의 및 고찰
일반적으로 약산을 강염기로 적정하면 pH의 변화가 크게 증가할 것이다.
하지만 완충용액을 이용해 적정을 하면 실험 결과와 같이 pH의 변화가 급격하지 않게 일어난다. 실험 결과를 보면 pH가 조금 많이 증가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은 실험을 하기위해 만든 용액들의 농도를 잘 맞추지 못해서 정확한 완충용액을 만들지 못했기 때문에 생긴 결과인 것 같다. 그리고 그래프를 보면 300ml 이후에서 기울기가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완충용액과 KOH의 비율이 1:1을 넘어서 완충용액보다 KOH의 양이 많아졌기 때문에 pH가 많이 증가한 것이다. KOH의 양을 50ml보다 더 적은 양의 간격으로 측정했다면 그래프의 기울기는 더 완만하게 나타났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