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중화적정 실험 보고서>
Ⅰ.실험목표
Ⅱ.이론적 배경
1.중화적정이란?
2.중화적정의 구분
3. 중화점과 종말점
4.지시약
Ⅲ. 실험준비물
Ⅵ. 실험방법
1.눈금측정을 통한 중화적정 실험
2.MBL 기기를 통한 중화적정 실험
Ⅴ.실험결과
1.눈금측정을 통한 중화적정 실험
2.MBL 기기를 통한 중화적정 실험
Ⅶ. 결론 및 보완해야 할 점
1.결론
2,보완해야 할 점
Ⅷ. 활동사진
Ⅰ.실험목표
Ⅱ.이론적 배경
1.중화적정이란?
2.중화적정의 구분
3. 중화점과 종말점
4.지시약
Ⅲ. 실험준비물
Ⅵ. 실험방법
1.눈금측정을 통한 중화적정 실험
2.MBL 기기를 통한 중화적정 실험
Ⅴ.실험결과
1.눈금측정을 통한 중화적정 실험
2.MBL 기기를 통한 중화적정 실험
Ⅶ. 결론 및 보완해야 할 점
1.결론
2,보완해야 할 점
Ⅷ. 활동사진
본문내용
점이 어디있는지 알아본다.
5)본실험에서는 위 1~4과정을 반복하고, 좀 더 정밀하게 수산화나트륨을 떨어뜨리며 지시약의 변색지점을 통해 종말점을 찾는다.
2.MBL 기기를 통한 중화적정 실험
1) 1번 실험의 1~3까지의 과정은 동일한다.
2) 뷰렛에 0.1M NaOH100ml를 뷰렛에 넣고, MBL기기는 노브툭과 연결 하며 센서는 삼각플라스크안의 용액에 담근다.
3)센서가 설치되면 뷰렛의 수산화나트륨을 삼각플라스크에 떨어뜨리며 pH변화를 노트북을 이용해 확인한다.
Ⅴ.실험결과
1.눈금측정을 통한 중화적정 실험
: 수산화나트륨 16ml를 넣었을 때 반응함.
미지의 산의 몰농도는 공식에 의해 약 0.16M이다.
2.MBL 기기를 통한 중화적정 실험
:아래는 떨어뜨린 NaOH량에 따른 pH의 변화이다.
X축: 가한NaOH부피(ml) Y축: pH
위의 그래프를 보면 화학량론점은 NaOH 16mL쯤이었고 이를 통해 위 공식과 같이 미지의 산의 몰농도는 0.16M이다.
Ⅶ. 결론 및 보완해야 할 점
1.결론
1)미지의 산의 몰농도는 약 0.16M이다.
2)적정곡선을 보면 종말점에서의 pH가 약 7인데 이는 미지의 산이 강산임을 의미한다. 그 이유는 종말점에서 미지의 산이 모두 반응하였는데 그때 pH가 약 7이라면 산의 짝염기가 매우 약한 염기이라는 뜻이고, 이는 미지의 산이 강산이라는 것을 말해 주기 때문이다.
2,보완해야 할 점
1) 뷰렛의 눈금을 측정함에 있어 오차가 약간 발생 한 것 같다.
2) 지시약을 통해 종말점을 파악할 때는 변색시간을 정확하게 확인하지 못해 오차가 발생한 것 같다.
Ⅷ. 활동사진
5)본실험에서는 위 1~4과정을 반복하고, 좀 더 정밀하게 수산화나트륨을 떨어뜨리며 지시약의 변색지점을 통해 종말점을 찾는다.
2.MBL 기기를 통한 중화적정 실험
1) 1번 실험의 1~3까지의 과정은 동일한다.
2) 뷰렛에 0.1M NaOH100ml를 뷰렛에 넣고, MBL기기는 노브툭과 연결 하며 센서는 삼각플라스크안의 용액에 담근다.
3)센서가 설치되면 뷰렛의 수산화나트륨을 삼각플라스크에 떨어뜨리며 pH변화를 노트북을 이용해 확인한다.
Ⅴ.실험결과
1.눈금측정을 통한 중화적정 실험
: 수산화나트륨 16ml를 넣었을 때 반응함.
미지의 산의 몰농도는 공식에 의해 약 0.16M이다.
2.MBL 기기를 통한 중화적정 실험
:아래는 떨어뜨린 NaOH량에 따른 pH의 변화이다.
X축: 가한NaOH부피(ml) Y축: pH
위의 그래프를 보면 화학량론점은 NaOH 16mL쯤이었고 이를 통해 위 공식과 같이 미지의 산의 몰농도는 0.16M이다.
Ⅶ. 결론 및 보완해야 할 점
1.결론
1)미지의 산의 몰농도는 약 0.16M이다.
2)적정곡선을 보면 종말점에서의 pH가 약 7인데 이는 미지의 산이 강산임을 의미한다. 그 이유는 종말점에서 미지의 산이 모두 반응하였는데 그때 pH가 약 7이라면 산의 짝염기가 매우 약한 염기이라는 뜻이고, 이는 미지의 산이 강산이라는 것을 말해 주기 때문이다.
2,보완해야 할 점
1) 뷰렛의 눈금을 측정함에 있어 오차가 약간 발생 한 것 같다.
2) 지시약을 통해 종말점을 파악할 때는 변색시간을 정확하게 확인하지 못해 오차가 발생한 것 같다.
Ⅷ. 활동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