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질병연구
2. Assessment
3.사용약물
4. 진단검사
5.간호진단
2. Assessment
3.사용약물
4. 진단검사
5.간호진단
본문내용
5% 1000ml/BG IVD Mixed
Forix 2ML IV Mixed
3. Cefmino 0.5g 항생제
4. Botropase 2ML지혈제
5. Mucopect 15ml 진해거담제
6. Valentac 75mg 해열·진통·소염제
7. N/S 500ml
8. Lasix 2ml 이뇨제
9. H/D 1000ml IVD Mixed
10. Forix 2ML IV mixed
11. Zoladex dept 3.6MG 항악성종양제
12. Cramoxin 6.25mg
13. Tiram 100mg
14. MGO 500mg
15. Seronase
16. Tarigen
Ⅳ. 진단검사
1.일반 혈액 검사
Routine RBC
5/30
6/14
6/15
정상치
임상적 의의
WBC
5.32
7.04
4.46
3.8~10.5 ×/㎕
RBC
4.97
4.28
4.05
3.5~5.5 백만/㎕
HGB
13.4
11.3▼
11.1▼
12.0~16.0 g/㎗
↑ 적혈구과다증
↓ 빈혈
HCT
41.4
35.5
32.7▼
35.0~47.0 %
↑ 구토, 선천성 심질환
↓ 철결핍성빈혈, 빈혈, 부종
2. Electrolyte Battery
Electrolyte Battery
5/30
정상치
sodium
139
136~145 mEq/L
potassium
4.4
3.5~5.3 mEq/L
chloride
104
98~110 mEq/L
total CO2
31.9▲
22.0~29.0 mmol/L
3. Urinalysis
Routine Urinalysis
5/30
정상치
임상적 의의
Vitamine(urine)
neg
color
straw
straw
희석되지 않은 소변을 의미
Occult blood
-neg
-neg
Bilirubin
- neg
- neg
Keton body
- neg
- neg
protein
- neg
- neg
Nitrate
- neg
- neg
Glucose
- neg
- neg
PH
8.0
4.5~8.0
↑ 알칼리 : 요로감염증, alkalosis
↓ 산성 : 발열, 운동후
S.G
1.015
1.005~1.030
↑ 탈수, 발열, 구토, 설사, 당뇨
↓ 요붕증. 신우신염
leukocyte
+-10
-neg
RBC
1개이하/HPF
1~4개/HPF
WBC
1개이하/HPF
1~4개/HPF
4. 수혈 전 검사(ABO/RH)
ABO type: B
RH type: +
5.Liver battery
Liver battery
결과치
정상치
AST
25
13~35 IU/L
ALT
27
7~35 IU/L
t-bilirubin
0.7
0.1~1.2 mg/㎗
direct bilirubin
0.2
<0.6 mg/㎗
Albumin
4.7
3.4~4.8g/㎗
t-protein
8.2
6.4~8.3 g/㎗
6. CA 125
: 33.4▲ 정상치( 0.0~30.2)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장배설 양상 변화
자료 수집
(6/15)
『주관적 자료』
“수술한지 3일이 지났는데 아직까지 대변을 보지 못했어요”
"수술 전에는 하루에 한번 씩 꼭 대변을 보았는데.“
“운동을 한다고 하는데 가스도 나오지 않고...”
“가스 배출 된거 같아서 우유 조금 먹었는데 더 아파요.”
『객관적 자료』
Lapa-LSO, Rt ov cystectomy 수술을 함.
수술한지 3일째로 가스배출 및 배변양상 보이지 않음.
가스배출 후 식이를 SD로 변경했다 복부팽만과 복부통증으로 NPO
간호 계획
(6/15)
≪장기목표≫
-장배설이 수술 전과 같은 양상으로 회복된다.
≪단기목표≫
-연동운동이 시작되어 가스배출이 일어나고 배변양상이 보인다.
≪간호계획≫
복부팽만이 있는지 사정한다.
-->마비성 장폐색을 암시한다.
침상가에 앉아서 도와주거나 또는 보행할 때에 환자를 도와준다
-->조기보행은 연동운동 회복에 도움이 되기 때문
수분과 음식물을 제한한다.
-->연동운동이 시작될 때까지 제안한다.
연동운동 회복을 알기 위해 장을 청진한다.
-->구강섭취 회복에 가이드하기 위해서 이다.
환자가 견딜 수 있으면 수분과 음식을 주기 시작한다.
-->연동운동이 시작되었을 때에 제공한다.
계속적인 보행에도 가스배출 되지 않으면 약물을 투여한다.
간호수행
(6/15)
복부팽만이 있는지 복부를 만져보며 사정하였다.
조기보행이 연동운동 회복에 도움이 됨을 알리고 병실복도에서 보행할 때 옆에서 같이 걸으며 환자를 도와주었다.
아직 가스가 배출되지 않아 수분과 음식물 섭취를 할 수 없음을 설명 하였다.
만약 가스배출이 되면 수분섭취부터 시작하여 경구섭취가 가능함을
설명하였다.
간호 평가
(6/16)
복부 불편감이 있다고 말하였다. 시진시에는 팽만 증상은 없었음.
환자가 걸어다닐 수 있도록 휠체어를 집고 운동하도록 도와드렸고 이제는 혼자서도 보행가능 하다.
유동식에서 일반식을 먹어도 된다고 처방이 나왔고 환자는 아침에 유동식을 먹은 후 약간의 복부 불편감을 호소하였다.
수분 섭취를 다시 한번 권장하였고 수분섭취가 증가하였다고 말했다.
MGO500MG을 투여하고 환자분은 퇴워하셨다. 가스 배출은 아직 덜 된 상태다.
CA 125
이 물질은 난소 상피암 및 몇몇 양성질환에서 혈중 농도가 증가 되는데 이러한 양성 질환은 골반내 염증성질환,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등이다. 경미한 자궁내막증에서는 CA125의 혈중농도가 정상을 보이나 중등도 이상의 자궁내막증에서는 혈중농도가 상승한다. 이는 중등도 이상의 자궁내막증에서는 연관된 염증성 반응으로 인하여 자궁내막증 병변세포에서 CA125의 방출이 증가하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하지만 이러한 CA125의 민감도는 20~50%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임상적인 사용에 제한이 따른다. 만약 치료전에 CA125가 상승되어 있던 경우라면, 치료후에 재발여부를 추적 검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는 있다.
※ 참고 문헌
1. 새 임상 부인과학 -최유덕 외. 고려의학
2. 최신간호 약어 사전 - 도서출판 한우리
3. 여성건강 간호학 Ⅱ - 정문숙 외. 모스비, 정담미디어
4. 산부인과학.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 교실. 군자출판사
5. 약리학. - 임동윤 외. 신일상사
Forix 2ML IV Mixed
3. Cefmino 0.5g 항생제
4. Botropase 2ML지혈제
5. Mucopect 15ml 진해거담제
6. Valentac 75mg 해열·진통·소염제
7. N/S 500ml
8. Lasix 2ml 이뇨제
9. H/D 1000ml IVD Mixed
10. Forix 2ML IV mixed
11. Zoladex dept 3.6MG 항악성종양제
12. Cramoxin 6.25mg
13. Tiram 100mg
14. MGO 500mg
15. Seronase
16. Tarigen
Ⅳ. 진단검사
1.일반 혈액 검사
Routine RBC
5/30
6/14
6/15
정상치
임상적 의의
WBC
5.32
7.04
4.46
3.8~10.5 ×/㎕
RBC
4.97
4.28
4.05
3.5~5.5 백만/㎕
HGB
13.4
11.3▼
11.1▼
12.0~16.0 g/㎗
↑ 적혈구과다증
↓ 빈혈
HCT
41.4
35.5
32.7▼
35.0~47.0 %
↑ 구토, 선천성 심질환
↓ 철결핍성빈혈, 빈혈, 부종
2. Electrolyte Battery
Electrolyte Battery
5/30
정상치
sodium
139
136~145 mEq/L
potassium
4.4
3.5~5.3 mEq/L
chloride
104
98~110 mEq/L
total CO2
31.9▲
22.0~29.0 mmol/L
3. Urinalysis
Routine Urinalysis
5/30
정상치
임상적 의의
Vitamine(urine)
neg
color
straw
straw
희석되지 않은 소변을 의미
Occult blood
-neg
-neg
Bilirubin
- neg
- neg
Keton body
- neg
- neg
protein
- neg
- neg
Nitrate
- neg
- neg
Glucose
- neg
- neg
PH
8.0
4.5~8.0
↑ 알칼리 : 요로감염증, alkalosis
↓ 산성 : 발열, 운동후
S.G
1.015
1.005~1.030
↑ 탈수, 발열, 구토, 설사, 당뇨
↓ 요붕증. 신우신염
leukocyte
+-10
-neg
RBC
1개이하/HPF
1~4개/HPF
WBC
1개이하/HPF
1~4개/HPF
4. 수혈 전 검사(ABO/RH)
ABO type: B
RH type: +
5.Liver battery
Liver battery
결과치
정상치
AST
25
13~35 IU/L
ALT
27
7~35 IU/L
t-bilirubin
0.7
0.1~1.2 mg/㎗
direct bilirubin
0.2
<0.6 mg/㎗
Albumin
4.7
3.4~4.8g/㎗
t-protein
8.2
6.4~8.3 g/㎗
6. CA 125
: 33.4▲ 정상치( 0.0~30.2)
간호진단: 수술과 관련된 장배설 양상 변화
자료 수집
(6/15)
『주관적 자료』
“수술한지 3일이 지났는데 아직까지 대변을 보지 못했어요”
"수술 전에는 하루에 한번 씩 꼭 대변을 보았는데.“
“운동을 한다고 하는데 가스도 나오지 않고...”
“가스 배출 된거 같아서 우유 조금 먹었는데 더 아파요.”
『객관적 자료』
Lapa-LSO, Rt ov cystectomy 수술을 함.
수술한지 3일째로 가스배출 및 배변양상 보이지 않음.
가스배출 후 식이를 SD로 변경했다 복부팽만과 복부통증으로 NPO
간호 계획
(6/15)
≪장기목표≫
-장배설이 수술 전과 같은 양상으로 회복된다.
≪단기목표≫
-연동운동이 시작되어 가스배출이 일어나고 배변양상이 보인다.
≪간호계획≫
복부팽만이 있는지 사정한다.
-->마비성 장폐색을 암시한다.
침상가에 앉아서 도와주거나 또는 보행할 때에 환자를 도와준다
-->조기보행은 연동운동 회복에 도움이 되기 때문
수분과 음식물을 제한한다.
-->연동운동이 시작될 때까지 제안한다.
연동운동 회복을 알기 위해 장을 청진한다.
-->구강섭취 회복에 가이드하기 위해서 이다.
환자가 견딜 수 있으면 수분과 음식을 주기 시작한다.
-->연동운동이 시작되었을 때에 제공한다.
계속적인 보행에도 가스배출 되지 않으면 약물을 투여한다.
간호수행
(6/15)
복부팽만이 있는지 복부를 만져보며 사정하였다.
조기보행이 연동운동 회복에 도움이 됨을 알리고 병실복도에서 보행할 때 옆에서 같이 걸으며 환자를 도와주었다.
아직 가스가 배출되지 않아 수분과 음식물 섭취를 할 수 없음을 설명 하였다.
만약 가스배출이 되면 수분섭취부터 시작하여 경구섭취가 가능함을
설명하였다.
간호 평가
(6/16)
복부 불편감이 있다고 말하였다. 시진시에는 팽만 증상은 없었음.
환자가 걸어다닐 수 있도록 휠체어를 집고 운동하도록 도와드렸고 이제는 혼자서도 보행가능 하다.
유동식에서 일반식을 먹어도 된다고 처방이 나왔고 환자는 아침에 유동식을 먹은 후 약간의 복부 불편감을 호소하였다.
수분 섭취를 다시 한번 권장하였고 수분섭취가 증가하였다고 말했다.
MGO500MG을 투여하고 환자분은 퇴워하셨다. 가스 배출은 아직 덜 된 상태다.
CA 125
이 물질은 난소 상피암 및 몇몇 양성질환에서 혈중 농도가 증가 되는데 이러한 양성 질환은 골반내 염증성질환,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등이다. 경미한 자궁내막증에서는 CA125의 혈중농도가 정상을 보이나 중등도 이상의 자궁내막증에서는 혈중농도가 상승한다. 이는 중등도 이상의 자궁내막증에서는 연관된 염증성 반응으로 인하여 자궁내막증 병변세포에서 CA125의 방출이 증가하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하지만 이러한 CA125의 민감도는 20~50%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임상적인 사용에 제한이 따른다. 만약 치료전에 CA125가 상승되어 있던 경우라면, 치료후에 재발여부를 추적 검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는 있다.
※ 참고 문헌
1. 새 임상 부인과학 -최유덕 외. 고려의학
2. 최신간호 약어 사전 - 도서출판 한우리
3. 여성건강 간호학 Ⅱ - 정문숙 외. 모스비, 정담미디어
4. 산부인과학.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 교실. 군자출판사
5. 약리학. - 임동윤 외. 신일상사
키워드
추천자료
(모성간호학) 산욕부간호 ~ 자가학습
[모성간호학]난소암에대한 문헌고찰과 간호진단
(모성간호학)분만실 case study -제왕절개분만
[모성간호학]불임의 최신 치료 경향
(모성간호학) 산후운동
[모성여성간호학] 분만 중 안위증진과 통증관리 비약물적 요법
[모성간호학] 분만 통증 관리 _ 약물요법
[모성간호학] 분만 중 생리적 변화 (산부 반응, 태아 반응)
자간전증 모성간호학
[모성간호학A+] 자간전증 환자의 간호 CASE STUDY
[모성간호학] 모유수유, 산후조리
[모성간호학]자궁하수
[모성간호학]출산기 건강장애과 간호-케이스스터디
간호학과 모성간호학CASE - 제왕절개술 (C-SEC) 최종수정자료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