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기 비평
2. 영향 언구
3. 문학사 연구
4. 문학적 관습 연구
5. 역사 전기 비평의 장단점
2. 영향 언구
3. 문학사 연구
4. 문학적 관습 연구
5. 역사 전기 비평의 장단점
본문내용
배하는 문학적 양식을 문학적 관습이라 해서 문학의 관습이 형식적인 측면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문학적 관습은 거시적인 것과 미시적인 것으로 나눌 수 있다. 거시적인 문화적 관습은 시와 소설, 비평, 희곡과 같은 장르와 그 하위 갈래에 해장하는 시대적 장르(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전소설, 판소리, 근대시, 근대소설 등)도 포함한다. 그러나 그뿐 아니라 특정 장르가 가지는 세계관이나 특정 시대의 작품이 가지고 있는 주제 같은 것 역시도 이에 해당한다. 신라의 향가가 불교적인 세계관을 담고 있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해 볼 수 있겠다.
미시적인 문화적 관습은 작자들이 즐겨 쓰는 특정 단어나 문자, 특정한 창작방법이나 기표, 수사 같은 것들이다. 김수영의 시〈풀〉이나 〈눈〉 등에서 유래되어 70년대 시단에 정치적인 은어로서 유행했던 '풀잎'이나 '기침'과 같은 단어가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3) 문학적 관습의 형성과 변화, 그 주체들
문학적 관습은 시대에 따라 작가, 비평가, 독자들의 가치관이 달라지므로 계속적으로 변하게 된다. 대체로 하나의 문학적 관습이 안정되게 자신의 위치를 잡고 있을 때에는 확고한 지배적 질서가 자리잡게 된다. '시란 이런 것이야 한다', '이런 것이 아름다운 것이고 저런 것이 추한 것이다.' 등의 공식이 당대적 질서 속에서 확고하게 자리잡게 되면, 그 시대에 태어난 문학지망생이나 독자들은 누구나 이것의 지배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그들은 당시의 문학적 관습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적응하는 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문학적 관습이 형성된다.
그러나 시간의 진전에 따라 사회적 조건과 문화적 조건 등, 그리고 인간의 감정과 사고 양식들이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그에 맞게 문학적 관습 역시 새로운 문학적 관습의 태동을 필요로 하게 되고 그에 맞춰 작가집단이 주도적 역할을 하고 비평가는 명분을 내세워 작가집단과의 투쟁을 벌이게 된다. 투쟁과정에서 새것이 승리를 거두면 그것에 옛 관습의 자리를 대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 속에서 독자들의 역할은 소극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들의 호응 없이는 새 관습이 자리잡기가 어렵다는 것을 볼 때 독자의 호응이나 묵계는 새로운 문학적 관습을 자리잡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5.역사·전기 비평의 장단점
작가 연구 방법 및 역사주의 적인 연구의 최종 목적은 문학작품의 존재를 둘러싼 배후적 조건(작가 및 역사)의 규명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한 연구가 부정적으로 흐르게 될 경우 인간의 삶에 대한 가치판단의 세계를 제시하는 경향과 관계가 적은 방향으로 흘러 문학작품과 직접적 관련이 적은 주변적 사실의 나열을 하는 식으로 진행되어 문학작품의 이해에 도움을 주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파생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역사주의적 연구방법과 작가 연구 방법이 끊임없는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유는, 작품을 작가의 내면과 그 삶의 가치 세계 그리고 그를 낳은 시대와 아울러 가장 폭넓고 심도 있게 연구 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문학적 관습은 거시적인 것과 미시적인 것으로 나눌 수 있다. 거시적인 문화적 관습은 시와 소설, 비평, 희곡과 같은 장르와 그 하위 갈래에 해장하는 시대적 장르(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전소설, 판소리, 근대시, 근대소설 등)도 포함한다. 그러나 그뿐 아니라 특정 장르가 가지는 세계관이나 특정 시대의 작품이 가지고 있는 주제 같은 것 역시도 이에 해당한다. 신라의 향가가 불교적인 세계관을 담고 있는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해 볼 수 있겠다.
미시적인 문화적 관습은 작자들이 즐겨 쓰는 특정 단어나 문자, 특정한 창작방법이나 기표, 수사 같은 것들이다. 김수영의 시〈풀〉이나 〈눈〉 등에서 유래되어 70년대 시단에 정치적인 은어로서 유행했던 '풀잎'이나 '기침'과 같은 단어가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3) 문학적 관습의 형성과 변화, 그 주체들
문학적 관습은 시대에 따라 작가, 비평가, 독자들의 가치관이 달라지므로 계속적으로 변하게 된다. 대체로 하나의 문학적 관습이 안정되게 자신의 위치를 잡고 있을 때에는 확고한 지배적 질서가 자리잡게 된다. '시란 이런 것이야 한다', '이런 것이 아름다운 것이고 저런 것이 추한 것이다.' 등의 공식이 당대적 질서 속에서 확고하게 자리잡게 되면, 그 시대에 태어난 문학지망생이나 독자들은 누구나 이것의 지배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그들은 당시의 문학적 관습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적응하는 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문학적 관습이 형성된다.
그러나 시간의 진전에 따라 사회적 조건과 문화적 조건 등, 그리고 인간의 감정과 사고 양식들이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그에 맞게 문학적 관습 역시 새로운 문학적 관습의 태동을 필요로 하게 되고 그에 맞춰 작가집단이 주도적 역할을 하고 비평가는 명분을 내세워 작가집단과의 투쟁을 벌이게 된다. 투쟁과정에서 새것이 승리를 거두면 그것에 옛 관습의 자리를 대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 속에서 독자들의 역할은 소극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들의 호응 없이는 새 관습이 자리잡기가 어렵다는 것을 볼 때 독자의 호응이나 묵계는 새로운 문학적 관습을 자리잡게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5.역사·전기 비평의 장단점
작가 연구 방법 및 역사주의 적인 연구의 최종 목적은 문학작품의 존재를 둘러싼 배후적 조건(작가 및 역사)의 규명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한 연구가 부정적으로 흐르게 될 경우 인간의 삶에 대한 가치판단의 세계를 제시하는 경향과 관계가 적은 방향으로 흘러 문학작품과 직접적 관련이 적은 주변적 사실의 나열을 하는 식으로 진행되어 문학작품의 이해에 도움을 주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파생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역사주의적 연구방법과 작가 연구 방법이 끊임없는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유는, 작품을 작가의 내면과 그 삶의 가치 세계 그리고 그를 낳은 시대와 아울러 가장 폭넓고 심도 있게 연구 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실존주의비평과 독자반응비평 (현상학, 수용이론)
독자반응비평(Reader-Response critism)의 <문학이론>과 <비평이론>
신비평 한국의 신비평 전개
개화기 비평문학의 특성과 의의 - 비평사를 중심으로
[미디어비평][미디어비평 필요성][미디어비평 조건][미디어비평 현실][미디어비평 쟁점]미디...
[미디어비평][미디어비평 방법][TV미디어비평][텔레비전 미디어비평][매스미디어][디지털미디...
[미디어비평]미디어비평의 목적과 기능, 미디어비평 프로그램의 상호비평 의의, 미디어비평 ...
에이브럼스의 비평 이론, 로만 야콥슨 의사소통 모델과 문학비평에의 적용
[미디어비평프로그램]미디어비평의 필요성 고찰 및 미디어비평 프로그램의 의의와 미디어비평...
[미디어][미디어비평][미디어비평프로그램][미디어상호비평프로그램][미디어비평 방법론]미디...
[문학비평][1930년대][해방기][형식주의][심리주의][구조주의]문학비평 정의, 문학비평 이론,...
[매체비평프로그램][신문][미국의 매체비평프로그램 사례]매체비평프로그램의 의의, 매체비평...
심리비평, 신화형성비평 요약 및 정리
비평수업)영화와 원작소설 비평하기, 비평이론과 그 적용, 파란색은 따뜻하다, 그리고 영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