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균군 검사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원리

3. 실험방법
(1) 정성시험
(2) 정량시험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표시하는 방법
㉠ 희석검체 10, 1, 0.1, 0.01mL와 같이 연속해서 4단계 이상을 5개 또는 3개씩의 유당부이온발효관에 접종
※ 0.1mL이하의 경우 : 10배수 희석액 1mL씩 사용
※ 검체의 최대량을 가한 발효관의 대다수 또는 전부에서 가스를 발생하고,
최소량을 접종한 발효관의 전부 또는 대다수가 가스를 발생하지 않도록
적당히 희석하고 사용한다.
㉡ 가스발생 발효관 각각에 대해 추정, 확정, 완전시험 실시하여 대장균 유무 확인
㉢ 대장균군의 유무를 확인해서 최확수표로부터 검체 100mL중의 최확수를 구한다.

㉠ 시험용액 10, 1 또는 0.1mL를 5개씩의 BGLB 배지에 접종
㉡ 이하의 조작은 각 발효관에 대하여 BGLB 배지에 의한 정성시험법에 따라 실시하여 대장균군의 유무를 조사
㉢ 최확수표에 따라 검체 100mL또는 100g중의 대장균군수를 산출

㉠ 시험용액 1mL와 각 단계 희석액 1mL에 대해 정성시험법과 같이 실시
㉡ 35±1℃에서 20±2시간 배양한 후 생성된 집락 중 전형적인 집락 또는 의심스러운 집락에 대하여 정성시험 때와 같은 조작으로 대장균군의 유무를 결정
㉢ 균수 산출은 세균수(일반세균수)측정법에 따라 실시
4. 참고문헌
▶ 식품공전, KFDA, 2004
▶ 정동효, 식품 미생물학, 선진문화사, 1999, P.166~167
▶ 최영길 외 7명, 현대 환경 미생물학, 교학사, 1999, P.326~328
▶ 김종오외 4인, 환경미생물학 형설출판사, 1998, P.574~582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6.08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02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