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학실험]4.유제품의 세균학적 안전성 검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Result

2. Description

3. Discussion

4. Reference

본문내용

균(인형 및 우형), 브루셀라균, 탄저균, 살모넬라균,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Q열의 리켓치아, 디프테리아 등이 있다.
나. 2차 오염(환경에 의한 오염) : 사람이나 주위환경으로부터 병원미생물이 우유에 혼입되므로 일어나는 오염을 말하며, 결핵균(인형), 장티푸스균, 파라티푸스균, 살모넬라균, 이질균,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디프테리아균, 유행성 간염 및 소아마비, 바이러스 등이 있다. 이들 대부분은 가열에 의하여 사멸되므로 살균 처리를 철저히 하면 우유 중 미생물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3) 우유 중 비병원성 일반미생물
우유에 존재하는 미생물도 다른 식품과 마찬가지로 영양, 온도, 수분 등의 조건이 성장에 적합하면 많은 미생물이 증식하게 되어 고유의 미생물총(microflora)을 형성하여 우유를 오염시킨다.
- 비병원성 일반미생물에 의한 우유의 오염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① 1차 오염(유방 내의 오염) : 비병원성 일반미생물이 외부로부터 젖소의 유두구를 통하여 들어가 우유에 혼입됨으로써 일어나는 오염을 말한다. 처음 두 세 번째 짜내는 우유에는 세균이 많이 들어있으나 착유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세균이 점차 감소하므로 처음 짜낸 우유를 폐기하면 어느 정도 균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② 2차 오염 (환경에 의한 오염) : 현재 우리 나라 낙농형태에서는 환경에 의한 오염 기회가 가장 많으며 착유 중에 일어나는 오염원으로는 깔짚, 사료, 분뇨, 착유자, 축사, 위생해충, 불결한 착유용 기구나 용기 등이 있고,. 착유 후에 일어나는 오염원으로는 수송탱크, 우유통, 냉각기, 여과기, 균질기와 같은 기구와 불충분한 멸균, 불충분한 냉각 등이 있다.
(2) 우유 중 미생물 오염의 그 방지 대책
병원성 및 비병원성미생물에 의한 우유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는
① 젖소의 건강관리를 철저히 하고 착유시 젖소의 유방을 청결히 한다.
② 사용하는 물의 오염 방지와 기구, 용기, 기계류의 세척, 멸균 등을 철저히 한다.
③ 우사와 착유장소를 위생적으로 한다.
④ 우유처리장과 유제품공장의 구조, 설비를 위생적으로 한다.
⑤ 목부와 우유취급자의 개체위생 관리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4. Reference
http://www.seoulmilk.co.kr/
http://plaza4.snut.ac.kr/%7Esnutfood/cyberstudy/heumsuk/chapter10.hwp
실험 날짜
학번
이름
담당교수님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6.29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72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