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우리나라의 우수 시민참여 사례
시민참여 [市民參與, citizen participation]
비정부기구 [非政府機構, NGO]
시민사회단체 [CSO, Civil Society Organization]
시민운동[市民運動] : 시민의 입장에서 행하여지는 정치ㆍ사회 운동.
시민단체 종류
1) 시민단체의 뜻
2) 한국에서의 탄생과 현황
3) 행정개혁과 시민단체의 역할
우리나라 우수 시민참여 사례 1 : 총선시민연대의 낙선ㆍ낙천운동
1) 발족 동기
3) 자동차시민연합 주요활동사항
4) 조직도
우리나라 우수 시민참여 사례 3 : 9ㆍ10 서울 차 없는 날
회원 수 104,194명
1) 개요
서울 차 없는 날 2007 개요
2) 서울 차 없는 날 2007 시민 선언
3) [2007 차 없는 날 서울조직위원회]
4) <2007 서울 차 없는 날 공동주최>
<해외단체/기관>
[공동조직위원장]
시민참여 [市民參與, citizen participation]
비정부기구 [非政府機構, NGO]
시민사회단체 [CSO, Civil Society Organization]
시민운동[市民運動] : 시민의 입장에서 행하여지는 정치ㆍ사회 운동.
시민단체 종류
1) 시민단체의 뜻
2) 한국에서의 탄생과 현황
3) 행정개혁과 시민단체의 역할
우리나라 우수 시민참여 사례 1 : 총선시민연대의 낙선ㆍ낙천운동
1) 발족 동기
3) 자동차시민연합 주요활동사항
4) 조직도
우리나라 우수 시민참여 사례 3 : 9ㆍ10 서울 차 없는 날
회원 수 104,194명
1) 개요
서울 차 없는 날 2007 개요
2) 서울 차 없는 날 2007 시민 선언
3) [2007 차 없는 날 서울조직위원회]
4) <2007 서울 차 없는 날 공동주최>
<해외단체/기관>
[공동조직위원장]
본문내용
이번에 진행될 차 없는 날 행사는 2001년 첫 행사에 이은 여섯 번째 행사로서 향후 시민들의 관심과 동참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자동차 의존적인 생활에서 벗어나 교통, 에너지, 환경 등의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면 인간과 생명이 존중되는 도시문화를 창조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차 없는 날" 의 성공여부는 시민들이 행사의 취지에 공감하고 얼마나 적극적으로, 그리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가에 달려있습니다. 따라서 차 없는 날은 하루 종일 서울 전역 특히 도심에서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자가용을 타지 않고, 대중교통이나 자전거 등을 이용하여 생활을 하도록 할 때 가장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이 행사를 추진하고 있는 '서울조직위원회'는 행사 당일인 9월 10일까지의 대 시민 홍보활동과 함께 향후 시민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지속적인 시민/환경운동을 전개할 예정입니다.
2) 서울 차 없는 날 2007 시민 선언
9월 10일 오늘은 서울 차 없는 날이다.
차 없는 날은 1997년 프랑스 서부의 작은 도시 라로쉐에서 "도심에서는 자가용을 타지 맙시다! (In town, without my car)"라는 구호 아래 자동차에 의존하는 도시 생활문화의 전환과 인간에게 좀 더 친숙하고 친환경적인 도시로 만들어 가자는 취지로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제는 세계 전역의 1,300여개 도시의 지방자치단체들과 시민들이 참여하는 범세계적인 행사로 발전되었다.
현대 사회의 자동차는 문명의 이기로 칭송받으며 없어서는 안 될 존재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자동차 위주의 문화로 인해 발생하는 폐해가 결코 적지 않다는 점을 생각할 때 우리의 인식과 생활방식의 변화가 필요한 때라고 하겠다.
특히 우리나라의 서울 및 수도권은 자동차로 인한 대기오염이 심각하고 자동차 교통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의 증가와 만성적인 교통 혼잡,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 소음진동이 시민 생활에 심각한 고통을 주고 있다.
최근의 심각한 고유가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가용 이용을 줄이고, 대중교통이나 자전거와 같은 녹색교통수단 이용을 활성화 하는 것이 가장 핵심적이고 합리적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자동차 의존적인 생활방식의 변화와 이를 위한 정책과 시설의 변화는 더디기만 하다.
자가용 이용 줄이기에 실질적인 시민들의 공감과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시작된 우리나라의 차 없는 날 행사는 2007녀 서울시와 시민, 환경단체가 함께하는 민·관의 공동 행사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서울의 대표적인 도심인 종로에 차 없는 거리를 조성하는 행사로 발전하였다.
자가용 이용을 중지함으로써 언제나 자동차가 다 차지하여 온갖 오염과 소음을 내뿜던 도심의 거리가 조용하고 깨끗하며 평화롭게 바뀐 모습을 서울 시민들은 즐기고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시민들의 체험을 통해 스스로 자가용 이용을 줄여야하겠다는 생각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자가용 이용 줄이기가 실천되어 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
아울러 앞으로 도시의 곳곳에 차 없는 거리가 조성되고, 자가용 이용을 억제할 수 있는 혼잡통행료제도와 같은 정책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필요성에 공감하여 동참한 서울시와 정부부처, 민간기업, 그리고 시민이 이 자리에 함께 하고 있음이 서울의 미래에 대한 새로운 다짐과 결의일 것이다.
2007 차 없는 날 서울조직위원회는 오늘 행사를 함께한 서울시와 향후에도 함께 협력하여 오늘 하루만이 아니라 더 많은 날 더 많은 시민들이 깨끗한 공기와 평화를 즐기고 체험할 수 있도록 노력해 갈 것임을 선언한다.
- 우리의 결의
하나, 고유가 극복을 위해 자가용 승용차 이용을 자제하는 시민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전개한다.
하나, 시민건강권 확보와 자동차 배출가스로 인한 대기오염 저감을 위해 다각적인 활동을 펼쳐 나간다.
하나,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고, 자전거와 같은 녹색교통수단 이용 확대를 위해 노력한다.
하나, 서울시를 비롯한 각 지방자치단체들의 지속적인 차 없는 날 시행과 정착화를 요구한다.
하나, 자가용 승용차 이용을 규제하고 대중교통 및 녹색교통 이용자를 우대하는 정책 시행을 촉구한다.
2007년 9월 10일
3) [2007 차 없는 날 서울조직위원회]
4) <2007 서울 차 없는 날 공동주최>
ㆍ녹색교통
ㆍ녹색미래
ㆍ녹색소비자연대
ㆍ녹색연합
ㆍ녹색자전거봉사단
ㆍ에너지 나눔과 평화
ㆍ에너지시민연대
ㆍ인드라망생명공동체
ㆍ서울환경연합
ㆍ전국녹색가게운동협의회
ㆍ천주교환경문화원
ㆍ한국자원재생재활용연합회
ㆍ한국환경사회정책연구소
ㆍYMCA전국연맹
ㆍ환경정의
ㆍUNEP한국위원회
ㆍ신명나는 한반도 자전거에 사랑을 싣고
<해외단체/기관>
ㆍ세계 차 없는 날
ㆍ유럽 차 없는 날
ㆍASE(Alliance to Save Energy)
ㆍAWEA(American Wind Energy Association)
ㆍCAN(Climate Action Network)
ㆍCIEE(California Institute for Energy Efficiency)
ㆍCREST(Center for Renewable Energy and Sustainable Technology)
ㆍDOE(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ㆍEEI(Edison Electric Institute)
ㆍEIA(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ㆍEIC(Energy Ideas Clearinghouse)
ㆍEREN(Energy Efficiency and Renewable Energy Network)
ㆍ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
ㆍIEC(Iowa Energy Center)
ㆍSEIA(Solar Energy Industries Association)
ㆍTERI(Tata Energy Research Institute)
[공동조직위원장]
김일중(환경정의 대표), 도명정(한국환경사회정책연구소 이사장), 이덕승(녹색소비자연대 공동대표), 이학영(한국YMCA전국연맹 사무총장), 원제무(녹색교통운동 대표), 장재연(서울환경연합 공동의장), 조대현(천주교환경문화원 대표).
"차 없는 날" 의 성공여부는 시민들이 행사의 취지에 공감하고 얼마나 적극적으로, 그리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가에 달려있습니다. 따라서 차 없는 날은 하루 종일 서울 전역 특히 도심에서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자가용을 타지 않고, 대중교통이나 자전거 등을 이용하여 생활을 하도록 할 때 가장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이 행사를 추진하고 있는 '서울조직위원회'는 행사 당일인 9월 10일까지의 대 시민 홍보활동과 함께 향후 시민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지속적인 시민/환경운동을 전개할 예정입니다.
2) 서울 차 없는 날 2007 시민 선언
9월 10일 오늘은 서울 차 없는 날이다.
차 없는 날은 1997년 프랑스 서부의 작은 도시 라로쉐에서 "도심에서는 자가용을 타지 맙시다! (In town, without my car)"라는 구호 아래 자동차에 의존하는 도시 생활문화의 전환과 인간에게 좀 더 친숙하고 친환경적인 도시로 만들어 가자는 취지로 시작되었다.
그리고 이제는 세계 전역의 1,300여개 도시의 지방자치단체들과 시민들이 참여하는 범세계적인 행사로 발전되었다.
현대 사회의 자동차는 문명의 이기로 칭송받으며 없어서는 안 될 존재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자동차 위주의 문화로 인해 발생하는 폐해가 결코 적지 않다는 점을 생각할 때 우리의 인식과 생활방식의 변화가 필요한 때라고 하겠다.
특히 우리나라의 서울 및 수도권은 자동차로 인한 대기오염이 심각하고 자동차 교통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의 증가와 만성적인 교통 혼잡,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 소음진동이 시민 생활에 심각한 고통을 주고 있다.
최근의 심각한 고유가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가용 이용을 줄이고, 대중교통이나 자전거와 같은 녹색교통수단 이용을 활성화 하는 것이 가장 핵심적이고 합리적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자동차 의존적인 생활방식의 변화와 이를 위한 정책과 시설의 변화는 더디기만 하다.
자가용 이용 줄이기에 실질적인 시민들의 공감과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시작된 우리나라의 차 없는 날 행사는 2007녀 서울시와 시민, 환경단체가 함께하는 민·관의 공동 행사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서울의 대표적인 도심인 종로에 차 없는 거리를 조성하는 행사로 발전하였다.
자가용 이용을 중지함으로써 언제나 자동차가 다 차지하여 온갖 오염과 소음을 내뿜던 도심의 거리가 조용하고 깨끗하며 평화롭게 바뀐 모습을 서울 시민들은 즐기고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시민들의 체험을 통해 스스로 자가용 이용을 줄여야하겠다는 생각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자가용 이용 줄이기가 실천되어 질 수 있기를 희망한다.
아울러 앞으로 도시의 곳곳에 차 없는 거리가 조성되고, 자가용 이용을 억제할 수 있는 혼잡통행료제도와 같은 정책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의 필요성에 공감하여 동참한 서울시와 정부부처, 민간기업, 그리고 시민이 이 자리에 함께 하고 있음이 서울의 미래에 대한 새로운 다짐과 결의일 것이다.
2007 차 없는 날 서울조직위원회는 오늘 행사를 함께한 서울시와 향후에도 함께 협력하여 오늘 하루만이 아니라 더 많은 날 더 많은 시민들이 깨끗한 공기와 평화를 즐기고 체험할 수 있도록 노력해 갈 것임을 선언한다.
- 우리의 결의
하나, 고유가 극복을 위해 자가용 승용차 이용을 자제하는 시민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전개한다.
하나, 시민건강권 확보와 자동차 배출가스로 인한 대기오염 저감을 위해 다각적인 활동을 펼쳐 나간다.
하나,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고, 자전거와 같은 녹색교통수단 이용 확대를 위해 노력한다.
하나, 서울시를 비롯한 각 지방자치단체들의 지속적인 차 없는 날 시행과 정착화를 요구한다.
하나, 자가용 승용차 이용을 규제하고 대중교통 및 녹색교통 이용자를 우대하는 정책 시행을 촉구한다.
2007년 9월 10일
3) [2007 차 없는 날 서울조직위원회]
4) <2007 서울 차 없는 날 공동주최>
ㆍ녹색교통
ㆍ녹색미래
ㆍ녹색소비자연대
ㆍ녹색연합
ㆍ녹색자전거봉사단
ㆍ에너지 나눔과 평화
ㆍ에너지시민연대
ㆍ인드라망생명공동체
ㆍ서울환경연합
ㆍ전국녹색가게운동협의회
ㆍ천주교환경문화원
ㆍ한국자원재생재활용연합회
ㆍ한국환경사회정책연구소
ㆍYMCA전국연맹
ㆍ환경정의
ㆍUNEP한국위원회
ㆍ신명나는 한반도 자전거에 사랑을 싣고
<해외단체/기관>
ㆍ세계 차 없는 날
ㆍ유럽 차 없는 날
ㆍASE(Alliance to Save Energy)
ㆍAWEA(American Wind Energy Association)
ㆍCAN(Climate Action Network)
ㆍCIEE(California Institute for Energy Efficiency)
ㆍCREST(Center for Renewable Energy and Sustainable Technology)
ㆍDOE(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ㆍEEI(Edison Electric Institute)
ㆍEIA(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ㆍEIC(Energy Ideas Clearinghouse)
ㆍEREN(Energy Efficiency and Renewable Energy Network)
ㆍ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
ㆍIEC(Iowa Energy Center)
ㆍSEIA(Solar Energy Industries Association)
ㆍTERI(Tata Energy Research Institute)
[공동조직위원장]
김일중(환경정의 대표), 도명정(한국환경사회정책연구소 이사장), 이덕승(녹색소비자연대 공동대표), 이학영(한국YMCA전국연맹 사무총장), 원제무(녹색교통운동 대표), 장재연(서울환경연합 공동의장), 조대현(천주교환경문화원 대표).
추천자료
참여민주주의
시민단체의 회원관리
시민단체(NGO, 비정부기구)의 성격, 시민단체(NGO, 비정부기구)의 발전, 시민단체(NGO, 비정...
시민단체(비영리기구, NGO) 배경,기능, 시민단체(비영리기구, NGO) 특성, 시민단체(비영리기...
시민단체(NGO)의 범주, 시민단체(NGO)의 분류, 시민단체(NGO)의 역할, 시민단체(NGO)의 공동...
[참여연대][참여연대 회원사업][참여연대 회원사업 특징][참여연대 회원사업 현황]참여연대의...
[시민교육][성인시민교육][시민사회교육][시민정치교육][시민생활교육][시민윤리교육]성인시...
[민주시민교육][민주시민교육 내용][민주시민교육 강화방안]민주시민교육의 중요성, 민주시민...
시민만족도평가(시민평가제)의 유형, 중요성, 시민만족도평가(시민평가제)의 기능, 시민만족...
시민단체(비정부기구, NGO)의 개념, 특성, 시민단체(비정부기구, NGO)의 필요성, 범위, 시민...
시민사회의 개념, 시민사회의 유형, 시민사회의 민주적 역할, 시민사회의 정치적 이슈, 시민...
시민단체(NGO, 비정부기구)의 정의, 통제적 기능,세계화 저항운동, 시민단체(NGO, 비정부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