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의 설법 공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처님의 설법 공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촌장을 위한 설법

2. 설법의 법칙

3. 연기의 공식

4. 설법의 패턴

본문내용

하고 있으니까 생략된 부분을 넣어 생가하면 실로 24회나 같은 공식이 적용되고 있는 셈이다.
이에 반해서 녹야원에서의 최초설법에서는 이미 연기의 법칙은 거론되지 않고 있다. 우리는 이것을 해석할 때 연기의 법칙을 배경으로 돌린 뒤 새롭게 구성된 실천론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는 것으로 설명해 왔다. 이러한 이해는 결코 잘못이 아니다. 그러나 여기서도 결코 연기의 법칙이 사라져버린 것은 아니다. 연기는 여전히 사제법(四諦法)의 체계를 지탱해주고 있는 배경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사제법의 첫 번째는 고(苦)으 성제(聖諦)이다. 이 인생이 모두 괴로움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는 괴로움이 생기는 원인(生起)에 관한 성제다. 인생이 모두 괴로움일 수밖에 없는 까닭을 추궁해 그것을 갈애 즉 욕망의 소산이라고 설명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성제는 잘 생각해 보면 따로따로 있는 것이 아니다. ‘이것이 생기면 저것이 생긴다’라고 하는 연기공식의 전반부가 그 배경으로 있고 두 개의 성제는 그것을 나열하고 있는 것이다.
세 번째는 고의 멸진에 관한 성제다. 두 번째의 갈애가 멸할 때 괴로움도 역시 멸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두 번째의 성제(集聖諦)와 세 번째의 성제(滅聖諦)가 연기의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이것이 없으면 저것이 없고, 이것이 멸하면 저것이 멸한다’ 는 연기공식의 후반부가 그 배경에 있고 두 번째 세 번째 성제는 그것을 나열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도대체 이와 같은 연기의 공식은 어디에서 생겨나 어떻게 해서 성립된 것일까. 계속해서 그것을 생각해 보기로 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6.11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07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