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本文
六書
發音
中國語發音
뜻
意 味 敍 述
六書
發音
中國語發音
뜻
意 味 敍 述
본문내용
소는 賣(매)로 轉音되었음
- 중 복 -
모든사람(比)이 같이 말하다(白)는 뜻을 나타냄
여러(十)대에 걸쳐 입(口)으로 전해져 온다는 의미를 나타냄
- 중 복 -
- 중 복 -
(形:阜,聲:申)의미요소는 阜(부-언덕), 늘어놓다→한 줄로 늘어놓다→베풀다
발음요소는 申(신)→진은 變音
(形:,聲:亦)의미요소는 ()책받침 = ‘쉬엄쉬엄 가다’라는 의미
발음요소는 亦(역)→적으로 轉音되었음
- 중 복 -
무릎에서 발끝까지의 모양을 상형한 글자
- 중 복 -
(形:,聲:)의미요소는 물水, 물이 바위에 떨어져 물보라를 튀긴다는 의미
발음요소는 (교)로, 變音되었음
(形:,聲:)의미요소는 (필발머리部=걷다,가다),물건을 치거나 튀기거나
하는 일의 의미. 발음요소 (수=창,몽둥이) 變音되었음.
- 중 복 -
(形:心,聲:之) 의미요소는 心(마음,심장), 발음요소는 之,止(가다)
땅에서 초목이 싹터 자라는 모양을 나타내는 之,止를 사용하여= 마음이 가다
- 중 복 -
(形:心,聲:)의미요소는 心(마음), 마음이 자지러지게 하다는 의미.
발음요소는 (공=알다)
(形:,聲:豕) 의미요소는 (쉬엄쉬엄), 길을 어디까지나 가다→이룩하다
발음요소는 豕=轉音이 되었음
(形:,聲:日)의미요소의 (물), 日(날)의 轉音이 되어 합해진 글
(形:,聲: )의미요소인 (물), 발음요소인 (없어지다)의 合字
‘물속에 가라앉아 없어지다’ 의 의미
- 중 복 -
(形:,聲:) 의미요소가 (물), 둑의 일부가 끊어졌다→결단하다
의 의미로 쓰임. 발음요소는
- 중 복 -
(形:,聲:舍) 의미요소는 , 손에서 물건을 내리다→버리다 의 의미
발음요소는 舍
우묵한 그릇에 뚜껑을 덮은 모양을 상형한 글자
짐승의 가죽을 달아 멘 모양을 상형한 글자
- 중 복 -
- 중 복 -
- 중 복 -
- 중 복 -
(形:耳,聲:門) 의미요소는 耳(귀), 소리가 귀로 들어가다 라는 의미
발음요소는 門.
(形:士,聲:) 의미요소는 士(사=선비,남자), 발음요소는 (장=널조각)
의 음은 將(장=크다)에 유래함→큰남자,씩씩한 남자. 轉하여 왕성하다.
(形:見,聲:) 의미요소는 見(견=자세히 본다), 발음요소는 (관)
늘어놓아 보이다→남에게 보이다→잘 본다 의 의미로 쓰임
- 중 복 -
- 중 복 -
- 중 복 -
- 중 복 -
- 중 복 -
- 중 복 -
- 중 복 -
參 考 資 料 : 進明出版社 “精選韓漢漢韓詞典”
民衆書林 “漢韓大字典”
다 운 샘 “漢字部數 214 ”
- 중 복 -
모든사람(比)이 같이 말하다(白)는 뜻을 나타냄
여러(十)대에 걸쳐 입(口)으로 전해져 온다는 의미를 나타냄
- 중 복 -
- 중 복 -
(形:阜,聲:申)의미요소는 阜(부-언덕), 늘어놓다→한 줄로 늘어놓다→베풀다
발음요소는 申(신)→진은 變音
(形:,聲:亦)의미요소는 ()책받침 = ‘쉬엄쉬엄 가다’라는 의미
발음요소는 亦(역)→적으로 轉音되었음
- 중 복 -
무릎에서 발끝까지의 모양을 상형한 글자
- 중 복 -
(形:,聲:)의미요소는 물水, 물이 바위에 떨어져 물보라를 튀긴다는 의미
발음요소는 (교)로, 變音되었음
(形:,聲:)의미요소는 (필발머리部=걷다,가다),물건을 치거나 튀기거나
하는 일의 의미. 발음요소 (수=창,몽둥이) 變音되었음.
- 중 복 -
(形:心,聲:之) 의미요소는 心(마음,심장), 발음요소는 之,止(가다)
땅에서 초목이 싹터 자라는 모양을 나타내는 之,止를 사용하여= 마음이 가다
- 중 복 -
(形:心,聲:)의미요소는 心(마음), 마음이 자지러지게 하다는 의미.
발음요소는 (공=알다)
(形:,聲:豕) 의미요소는 (쉬엄쉬엄), 길을 어디까지나 가다→이룩하다
발음요소는 豕=轉音이 되었음
(形:,聲:日)의미요소의 (물), 日(날)의 轉音이 되어 합해진 글
(形:,聲: )의미요소인 (물), 발음요소인 (없어지다)의 合字
‘물속에 가라앉아 없어지다’ 의 의미
- 중 복 -
(形:,聲:) 의미요소가 (물), 둑의 일부가 끊어졌다→결단하다
의 의미로 쓰임. 발음요소는
- 중 복 -
(形:,聲:舍) 의미요소는 , 손에서 물건을 내리다→버리다 의 의미
발음요소는 舍
우묵한 그릇에 뚜껑을 덮은 모양을 상형한 글자
짐승의 가죽을 달아 멘 모양을 상형한 글자
- 중 복 -
- 중 복 -
- 중 복 -
- 중 복 -
(形:耳,聲:門) 의미요소는 耳(귀), 소리가 귀로 들어가다 라는 의미
발음요소는 門.
(形:士,聲:) 의미요소는 士(사=선비,남자), 발음요소는 (장=널조각)
의 음은 將(장=크다)에 유래함→큰남자,씩씩한 남자. 轉하여 왕성하다.
(形:見,聲:) 의미요소는 見(견=자세히 본다), 발음요소는 (관)
늘어놓아 보이다→남에게 보이다→잘 본다 의 의미로 쓰임
- 중 복 -
- 중 복 -
- 중 복 -
- 중 복 -
- 중 복 -
- 중 복 -
- 중 복 -
參 考 資 料 : 進明出版社 “精選韓漢漢韓詞典”
民衆書林 “漢韓大字典”
다 운 샘 “漢字部數 214 ”
추천자료
구한말 복음수용
영어시스템과 제어공학
용재 백낙준의 한국교회사연구와 국학
[한글 맞춤법][맞춤법 사례]한글 맞춤법과 맞춤법 사례(한글 맞춤법 역사와 다른 언어와의 비...
학교도서관 홈페이지 비교
외국어의 우리말 번역과 우리말의 외국어 번역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세계의 주요 문자
[인터넷교육]인터넷 포털사이트 네이트닷컴(www.nate.com)의 교육분야에 관한 현황조사
정보화사회
동남아 문화-필리핀
현대 홈쇼핑
[기업 연수][기업 해외연수][기업 교육연수][기업 사이버연수][기업 산업연수][기업 연수평가...
음성인식 (Speech Recogn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