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민들레란
일반성분 분석
유리아미노산 및 그 유도체 분석
구성 총 아미노산 분석
유리당 분석
지방산 분석
무기질 분석
일반성분 분석
유리아미노산 및 그 유도체 분석
구성 총 아미노산 분석
유리당 분석
지방산 분석
무기질 분석
본문내용
산 자동분석기로 분석하였다. 구성 총아미노산은 Table5.와 같이 cystine을 제외한 17총이 동정되었으며, 이중에는 필수아미노산 8종 모두 높은 함량으로 존재하였다. 총아미노산과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뿌리 보다 잎에서 각각 1.4와 1.8배 정도 높았고, 전체 아미노산중 필수아미노산이 잎과 뿌리 모두 42.17과 34.12%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유리당 분석
시료 5g을 70% EtOH 100ml에 30분간 침지시킨 뒤 homogenizer로 10000rpm에서 2분간 추출한 다음 8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나온 상층액을 양이온 교환수지와 음이온 교환수지 칼럼을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유기산과 아미노산을 제거시킨 유출액을 카트리지를 통과시켜 색소 및 기타 불순물을 제거한 후 syringer filter로 여과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주요 유리당은 Table6.에서 보는 바와 같이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로 sucrosegkafid이 가장 높았고, fructose를 제외한 나머지 당 함량은 잎이 뿌리보다 다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지방산 분석
지방산은 시료 5g에 chloroform : MeOF (2:1, v/v) 용액 200ml로 균질, 추출한 혼합액을 5시간동안 진탕 혼합한 다음 여과, 탈수, 농축 및 검화하여 14% BF-MeOH 용액 5ml로 methylation 시킨 뒤 GC로 분석하였다. 지방산 조성을 입과 뿌리로 구분하여 측정한 결과 Table7.과 같이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요 지방산의 조성비를 보면, 잎에서는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 등의 순으로, 뿌리에서는 lin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등의 순으로 많았다. 특히 잎에서는 불포화지방산 중 linolenic acid의 함량이 63.6%, 뿌리에서는 linoleic acid의 함량이 56.4%로 월등히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무기질 분석
시료 3g을 탄화시킨 후 550℃ 회화로에서 완전 회화시켜 실온으로 냉각하고 잔유물에 염산 5ml를 가하여 30분간 방치한 다음 1N-HCl 염산으로 희석, 여과하였다. 불용물은 다시 한번 탄화 및 회화시켜 동일한 과정을 거친 후 여액에 합하고 0.1N-HCl 염산으로 일정량을 만든 후 AAS분석을 위한 실험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잎과 뿌리의 무기질 함량은 Table8.과 같이 K, Ca이 풍부할 뿐 아니라, Mg, Mn, Fe등 각종 무기질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같은 국화과 식물인 신선 엉겅퀴 및 말린 머위의 K함량이 각각 1120과 1114mg/100g 이었고, 둥글레, 치커리잎, 돌산갓, 쑥부쟁이, 곰취, 수리취 등 대부분 약용식물의 K함량이 400mg/100g 이하인 점을 감안해 볼 때 민들레 잎의 K함량은 3510mg/100g 으로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서양의 대체의약에서 fruseminde와 유사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민들레 잎을 이뇨제로 사용하면 잎 자체에 K 함량이 높아 저칼륨증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하는 것을 뒷받침해 주는 결과이다. 또한 민들레 추출물에는 이뇨작용, 특히 문맥정맥성 수종에 대한 효과가 있다는 보고에서 이는 민들레에 다량의 K이 함유된 원인이라고 설명하고 있고, 민들레 잎은 K, Ca, Fe등 무기질이 풍부하고 독성효과가 거의 없어 이뇨작용 및 여러 가지 생리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유리당 분석
시료 5g을 70% EtOH 100ml에 30분간 침지시킨 뒤 homogenizer로 10000rpm에서 2분간 추출한 다음 8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나온 상층액을 양이온 교환수지와 음이온 교환수지 칼럼을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유기산과 아미노산을 제거시킨 유출액을 카트리지를 통과시켜 색소 및 기타 불순물을 제거한 후 syringer filter로 여과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주요 유리당은 Table6.에서 보는 바와 같이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로 sucrosegkafid이 가장 높았고, fructose를 제외한 나머지 당 함량은 잎이 뿌리보다 다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지방산 분석
지방산은 시료 5g에 chloroform : MeOF (2:1, v/v) 용액 200ml로 균질, 추출한 혼합액을 5시간동안 진탕 혼합한 다음 여과, 탈수, 농축 및 검화하여 14% BF-MeOH 용액 5ml로 methylation 시킨 뒤 GC로 분석하였다. 지방산 조성을 입과 뿌리로 구분하여 측정한 결과 Table7.과 같이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요 지방산의 조성비를 보면, 잎에서는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 등의 순으로, 뿌리에서는 linoleic acid,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등의 순으로 많았다. 특히 잎에서는 불포화지방산 중 linolenic acid의 함량이 63.6%, 뿌리에서는 linoleic acid의 함량이 56.4%로 월등히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무기질 분석
시료 3g을 탄화시킨 후 550℃ 회화로에서 완전 회화시켜 실온으로 냉각하고 잔유물에 염산 5ml를 가하여 30분간 방치한 다음 1N-HCl 염산으로 희석, 여과하였다. 불용물은 다시 한번 탄화 및 회화시켜 동일한 과정을 거친 후 여액에 합하고 0.1N-HCl 염산으로 일정량을 만든 후 AAS분석을 위한 실험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잎과 뿌리의 무기질 함량은 Table8.과 같이 K, Ca이 풍부할 뿐 아니라, Mg, Mn, Fe등 각종 무기질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같은 국화과 식물인 신선 엉겅퀴 및 말린 머위의 K함량이 각각 1120과 1114mg/100g 이었고, 둥글레, 치커리잎, 돌산갓, 쑥부쟁이, 곰취, 수리취 등 대부분 약용식물의 K함량이 400mg/100g 이하인 점을 감안해 볼 때 민들레 잎의 K함량은 3510mg/100g 으로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서양의 대체의약에서 fruseminde와 유사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민들레 잎을 이뇨제로 사용하면 잎 자체에 K 함량이 높아 저칼륨증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하는 것을 뒷받침해 주는 결과이다. 또한 민들레 추출물에는 이뇨작용, 특히 문맥정맥성 수종에 대한 효과가 있다는 보고에서 이는 민들레에 다량의 K이 함유된 원인이라고 설명하고 있고, 민들레 잎은 K, Ca, Fe등 무기질이 풍부하고 독성효과가 거의 없어 이뇨작용 및 여러 가지 생리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