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셸투르니에 작품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셸투르니에 작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가소개 ............................................... 3

2. 작품소개 .............................................. 4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

3. 작품분석 ............................................... 5
1) 주제 ............................................ 5
♠ 거세castration
2) 인물 ......................................... 9
3) 공간 ....................................... 12
♠ 요나 콤플렉스jonah complex

* 참고문헌

본문내용

. 도미니크에게는 소위 ‘거무죽죽한 그 고깃덩어리’가 없었고 그녀는 자유로이 여자화장실에 출입할 수 있었다. 반면 얼마 전에 남자화장실에서 만난 한 남성은 그 고깃덩어리를 힘겹게 바지 안으로 집어넣고 있었다. 그리고 튀피크는 그 고깃덩어리와 냄비 속에 들어있는 고기들을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고 자신의 ‘고깃덩어리’를 자를 결심을 하게 된다.
...조그만 아기수도꼭지를 꺼내고는 거기에 면도기를 갖다 댔다...튀피크는 오그라든 한 점의 고기를 탁자 위로 마무즈에게 내밀었다.
p.103
튀피크는 자신의 일부를 냄비 속에 던짐으로서 남성에서 여성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또 여자화장실을 사용하게 될 것이라고 오해하고 있었다. 여기서 마무즈 할멈이 가지 냄비의 의미는 물과 불의 이미지와 더불어 꼬마 튀피크가 이해하고 있었던 것과 유사한데, 이는 남성성과 여성성의 이원적인 것들이 한데 모여서 용해되고 중화되는 연금술적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3) 공간
(1) 집
튀피크가 살고 있는 집에 대해서 작가는 “어린아이의 몽상을 불러일으킬 만한 것이 거의 없었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그의 집에는 한 가지 중요한 소재가 등장하는데 그것은 바로 명화 ‘최후의 심판’이다.
남성성과 여성성의 기로에선 튀피크가 처음으로 대면한 상징물은 명화 최후의 심판이었다. 튀피크는 이 그림을 보고 자신의 이상을 결정짓는다. 최후의 심판은 세상의 종말에 그리스도가 지상에 재림한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그는 세상 시작부터의 전 인류를 심판하여 그를 믿고 그의 가르침을 실행한 자를 구원하고, 그를 믿지 않고 그의 가르침을 실행하지 않은 자를 멸한다. 그 그림 중에서 특히 튀피크의 관심을 끄는 부분은 천국을 향하는 사람들과 지옥을 향하는 사람들의 뚜렷한 대비다. 작가는 그의 시각을 빌어 천국으로 향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연약하고 섬세한 사지를 하얀 외투에 감추고 있다”고 서술하고 저주를 받아 지옥으로 향하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갈색 피부에 검은 털이 나있고 굉장한 근육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한다. 여기서 튀피크는 이미 남성성과 여성성에 대한 기본적인 정리를 끝낸 셈이라고 볼 수 있다.
(2) 공원
공원은 튀피크가 좋아하는 곳이며 신화적 공간이다. 튀피크는 공원에서 신화적 상상력을 통해 분화된 세계를 극복하려는 모습을 보인다. 여러 가지 소재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의미 있는 것은 테세우스와 미노타우르스의 조각상이다.
그는 공원에 있는 테세우스 조각상이 의미하는 바를 스스로 해석한 후에(오해였지만) 고추를 자르는 결심을 굳히게 된다. 그가 보기에 테세우스는 수염도 없고 치마를 입은 여성적인 존재였다. 그것은 자신이 동경하고 있는 이상향의 이미지와 부합했다. 반대로 괴물 미노타우르스는 테세우스에 비해 우락부락한 남성적 존재로서 자신이 끊임없이 거부하고 있는 이미지의 표상이다.
한편, 뒤랑은 영웅의 상징이 빛과 어둠, 선과 악이라는 대립적인 이미지를 가진다고 분석했다. 이 작품에서는 테세우스라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과 괴물 미노타우르스가 비중 있는 소재로 그려진다. 이는 각각 대립적인 이미지로서 선과 악, 빛과 어둠과 같은 이원적 요소라고 볼 수 있다.
(2) 미로
미로는 튀피크에게 깨달음을 주는 공간이다. 튀피크는 미로에서의 일 이후에 자신이 가졌던 의문을 풀게 되며 이는 요나콤플렉스가 드러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투르니에는 미로를 공원의 구석에 위치해 있으며, 튀피크는 이곳에 대해서 공포심을 느낀다고 기술했다. 그리고 도미니크의 비밀을 알기 위해서 접근했을 때도 “숨이 멎는 듯한” 공포를 느낀다고 설명해 놓았다. 그러나 다음의 서술은 이를 간단히 뒤집는다.
...기이하게도 어김없는 본능에 이끌려 헤매지도 않고 금방미로의 중앙에 다다랐다. 벌써 누군가가 이미 들어와 기다리고 있다는 예감이 들었다.
p.97
이전까지 공포의 대상이었던 미로는 이제 그에게 두려움의 공간이 아니라 깨달음을 예비하는 공간이 된다. 여기서 튀피크는 자신을 인도한 도미니크를 만나고 각성하게 된다. 이는 요나이야기의 양상과 흡사한데 요나는 처음에 고래를 보고 공포에 떨지만 고래의 뱃속에서 회개를 하며 그 속에서 나온 후에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인물이 된다. 마찬가지로 튀피크도 처음에는 미로에 대해서 두려움을 느끼고 있었지만 미로 안에서 깨달음을 얻고 거기서 벗어난 후에는 이전과는 다른 모습으로 변모하게 된다. “...확고한 해답이 그의 머리에 떠올랐다.”,“또 하나의 자명한 사실이 그의 눈에 확연히 들어왔다”, “그 날 이후로 튀피크는 침대를 적시지 않았다”와 같은 서술은 깨달음을 얻은 튀피크를 설명하는 부분들이다.
...튀피크는 달음박질 쳤다. 이윽고 다른 아이들 사이로 다시 돌아왔다. 겉으로는 다른 아이들과 전혀 달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어느 누구와도 닮지 않았다...그는 지체 없이 알고 싶었다. 그리고 실제로 얼마 지나지 않아 이해했다.
p.99
미로라는 공간은 요나콤플렉스 이외에도 한가지의 화제를 더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그리스 신화 테세우스 이야기에서 찾아 볼 수 있다. 테세우스는 자신이 왕의 후계자라는 존재를 입증하기 위해서 미로(라비린토스Labyrinthos)로 가서 미노타우르스를 물리친다. 여기서 미로는 테세우스가 자아를 회복하게 되는 극적인 공간이 되는 것이다.
♠ 요나콤플렉스 jonah complex
요나콤플렉스는 구약성서의 요나(Jonah) 이야기에서 유래된 말이다. 요나는 니느웨로 가서 하나님의 심판을 예언하라는 명령을 거역하고 반대방향으로 가던 중 폭풍을 만나 3일간 고래의 뱃속에 갇히게 된다. 그 속에서 요나는 회개의 기도를 올리고 하나님은 고래가 요나를 토해내게 만든다. 뱃속에서 나온 요나는 하나님의 명령을 따르고 그로 인해 니느웨는 구원을 받게 된다. 요나는 고래의 뱃속 즉, 이계로 들어간 후 깨달음을 얻고 나오는 존재로 그려지고 있는데 작품 튀피크에서의 미로는 이러한 상징체계를 잘 나타내고 있다.
* 참고문헌
상명대학교 2009학년도 “상상력과 문학” 강의 자료
미셸 투르니에, 『꼬마푸세의 가출』이규현 옮김, 현대문학, 2002
빌리 페르만, 『그리스 신화이야기』정초일 옮김, 푸른숲, 2003
  • 가격3,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9.06.17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7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