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엘리스이론의 정의및 배경
2.이론의 기초 (Ellisd의 인간관 Rebt인간관 비교)
3.공헌점 비판점
4.다른사담기법과의 비교엘리스의 합리적 정서적 행동치료
2.이론의 기초 (Ellisd의 인간관 Rebt인간관 비교)
3.공헌점 비판점
4.다른사담기법과의 비교엘리스의 합리적 정서적 행동치료
본문내용
BT의 평가에 관한 비합리적 신념을 측정하기 위한 기법을 세련시키는데 초점을 둔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또한 REBT의 정신병리에 관한 이론에 관한 연구의 우선점과, 치료실습의 영역 내에서 REBT의 임상적 표능성에 관한 보다 엄격한 연구의 시행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Ⅵ. REBT의 공헌점과 비판점
1) 공헌점
REBT에 대한 많은 실증적 자료들에 의해 다양한 치료사례-불안, 우울, 적대감, 중독, 성문제, 공포증을 갖고 있는 사람들의 사고, 감정 및 행동을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어 왔다. 그리고 논리적 설명과 간결함, 짧은 상담기간이 복잡한 현대인의 성향과 비교적 잘 맞는 이론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① 정서장애의 발달에 있어서 인지적 과정에 강조를 두고 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간 차이를 제시한 점
② 새롭게 얻은 통찰을 행동에 적용하는 것에 강조를 두고 구체적인 과제를 주어 내담자의 행동 변화를 도운 점
③ 다른 상담방법과는 달리 제한된 내담자에게 한정되지 않고 대중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심리교육적 적용이 가능한 점 : 개인상담 뿐 아니라 서적, 오디오 비디오테이프, 강의, 수련회 등을 통하여 다수에게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자조집단에 적용할 수도 있다.
2) 비판점
비합리적 신념의 규정과 평가가 불분명하고 상담과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그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하는데는 문제가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① 모든 내담자에게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불합리한 신념에 대하여 철저한 논리 적 분석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지적 수준이 낮은 내담자, 사고가 경직되거나 편견을 가진 내담자에게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② 너무 지시적이고 교수적이어서 상담자의 가치나 철학이 내담자에게 강요될 수 있다.
③ 상담자는 논박하는 과정에서 맞닥뜨림의 기회를 이성적, 논리적으로 이끌어 가기가 어렵 고, 내담자의 인생철학 내지 신념에 대한 논박이 되기 때문에 내담자의 감정을 건드릴 가능성도 있다.
④ 어떤 특정한 문제에 작 적용될 수 있는지 정의하지 못한다.
⑤ 얼마만큼의 내담자가 이상적으로 중요한 향상을 하였는지 제시하지 못하였다.
⑥ 내담자와 상담자가 REBT에 대한 반응을 예측하는 변인들을 찾아내는데 소홀하였다.
⑦ 성공적인 REBT 후 다시 그전의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는 요인을 찾아내는데 소홀했
다.
⑧ 비합리적 사고의 감소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개념을 지지해주는 강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 했다.
Ⅶ. 다른 상담기법과의 비교
1) 다른 인지이론과의 차이
① 평가적 인지 즉, 비합리적인 평가적 신념이 정서장애 유발의 핵심
② 상담자와 내담자와의 관계-협력적
(인간에 대한 무조건적 수용 강조. 인간과 행동을 분리하여 비합리적인 사고, 정서, 행동 은 강하게 논박하지만 인간 자체는 무조건적으로 수용)
③ 내담자의 강한 의존성 배격
④ 교사의 역할 강조(동등한 관계에 비해)
REBT를 사용하는 치료자들은 내담자의 과거사 듣기, 고통스러웠던 경험을 얘기하도록 고무하는 것, 정서화(emotionalizing)에 동정적으로 장단을 맞추는 것, 감정을 주의깊게 또 예리하게 반영해주는 것 등에는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는다. 간혹 이 기법들을 모두 사용하기도 하지만, 보통 그 기법들을 최소로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데 그 이유는 이런 성질의 긴 이야기가 내담자의 기분을 더 좋게 하기는 하지만 실제로 더 좋아지도록 도와주지는 못하는 관대한 치료의 한 유형일 뿐이라고 간주하기 때문이다.
REBT는 철학적, 인지적, 행동적 치료를 기본 성격으로 지시적, 적극적, 교육적, 설득적인 과정과 기법을 사용하는 게 특징이다. 따라서 내담자의 과거 경험을 듣거나 내담자의 감정에 초점을 맞추어 공감하는 데 큰 비중을 두지는 않는다. Ellis는 과거 경험에 대한 통찰을 얻는 데 비중을 두는 정신분석과 관련하여 내담자는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의 문제를 가지고 오는 것이며 과거에 대한 통찰은 문제 해결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오히려 과거를 반복 경험하게 함으로써 과거의 문제가 실재하는 것으로 믿게 만들 우려가 있다고 지적한다.
REBT를 실천하는 상담자는 내담자를 있는 그대로 평가없이 수용한다는 점에서 인본주의 상담과 유사하지만 인간적 관심과 온정적인 관계에 크게 비중을 두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일부 상담자들 중에는 래포 형성이 상담 효과를 높이는 데 긍정적으로 기여함을 강조하고 실천한다.
Ⅵ. REBT의 공헌점과 비판점
1) 공헌점
REBT에 대한 많은 실증적 자료들에 의해 다양한 치료사례-불안, 우울, 적대감, 중독, 성문제, 공포증을 갖고 있는 사람들의 사고, 감정 및 행동을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어 왔다. 그리고 논리적 설명과 간결함, 짧은 상담기간이 복잡한 현대인의 성향과 비교적 잘 맞는 이론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① 정서장애의 발달에 있어서 인지적 과정에 강조를 두고 합리적 신념과 비합리적 신념간 차이를 제시한 점
② 새롭게 얻은 통찰을 행동에 적용하는 것에 강조를 두고 구체적인 과제를 주어 내담자의 행동 변화를 도운 점
③ 다른 상담방법과는 달리 제한된 내담자에게 한정되지 않고 대중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심리교육적 적용이 가능한 점 : 개인상담 뿐 아니라 서적, 오디오 비디오테이프, 강의, 수련회 등을 통하여 다수에게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자조집단에 적용할 수도 있다.
2) 비판점
비합리적 신념의 규정과 평가가 불분명하고 상담과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그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하는데는 문제가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① 모든 내담자에게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자신의 불합리한 신념에 대하여 철저한 논리 적 분석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지적 수준이 낮은 내담자, 사고가 경직되거나 편견을 가진 내담자에게는 그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② 너무 지시적이고 교수적이어서 상담자의 가치나 철학이 내담자에게 강요될 수 있다.
③ 상담자는 논박하는 과정에서 맞닥뜨림의 기회를 이성적, 논리적으로 이끌어 가기가 어렵 고, 내담자의 인생철학 내지 신념에 대한 논박이 되기 때문에 내담자의 감정을 건드릴 가능성도 있다.
④ 어떤 특정한 문제에 작 적용될 수 있는지 정의하지 못한다.
⑤ 얼마만큼의 내담자가 이상적으로 중요한 향상을 하였는지 제시하지 못하였다.
⑥ 내담자와 상담자가 REBT에 대한 반응을 예측하는 변인들을 찾아내는데 소홀하였다.
⑦ 성공적인 REBT 후 다시 그전의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는 요인을 찾아내는데 소홀했
다.
⑧ 비합리적 사고의 감소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개념을 지지해주는 강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 했다.
Ⅶ. 다른 상담기법과의 비교
1) 다른 인지이론과의 차이
① 평가적 인지 즉, 비합리적인 평가적 신념이 정서장애 유발의 핵심
② 상담자와 내담자와의 관계-협력적
(인간에 대한 무조건적 수용 강조. 인간과 행동을 분리하여 비합리적인 사고, 정서, 행동 은 강하게 논박하지만 인간 자체는 무조건적으로 수용)
③ 내담자의 강한 의존성 배격
④ 교사의 역할 강조(동등한 관계에 비해)
REBT를 사용하는 치료자들은 내담자의 과거사 듣기, 고통스러웠던 경험을 얘기하도록 고무하는 것, 정서화(emotionalizing)에 동정적으로 장단을 맞추는 것, 감정을 주의깊게 또 예리하게 반영해주는 것 등에는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는다. 간혹 이 기법들을 모두 사용하기도 하지만, 보통 그 기법들을 최소로 유지하려고 노력하는 데 그 이유는 이런 성질의 긴 이야기가 내담자의 기분을 더 좋게 하기는 하지만 실제로 더 좋아지도록 도와주지는 못하는 관대한 치료의 한 유형일 뿐이라고 간주하기 때문이다.
REBT는 철학적, 인지적, 행동적 치료를 기본 성격으로 지시적, 적극적, 교육적, 설득적인 과정과 기법을 사용하는 게 특징이다. 따라서 내담자의 과거 경험을 듣거나 내담자의 감정에 초점을 맞추어 공감하는 데 큰 비중을 두지는 않는다. Ellis는 과거 경험에 대한 통찰을 얻는 데 비중을 두는 정신분석과 관련하여 내담자는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의 문제를 가지고 오는 것이며 과거에 대한 통찰은 문제 해결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오히려 과거를 반복 경험하게 함으로써 과거의 문제가 실재하는 것으로 믿게 만들 우려가 있다고 지적한다.
REBT를 실천하는 상담자는 내담자를 있는 그대로 평가없이 수용한다는 점에서 인본주의 상담과 유사하지만 인간적 관심과 온정적인 관계에 크게 비중을 두지 않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나 일부 상담자들 중에는 래포 형성이 상담 효과를 높이는 데 긍정적으로 기여함을 강조하고 실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