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호검출이론의 정의
2. 신호검출이론에대한 정신물리학적접근
-한계법(method of limits)
-조정법(method of adjustment)
-항상자극법(method of constant stimuli)
-Weber`s law
-Stevens의 지수법칙(Stevens`s power law)
3.신호검출이론 : 절차와 이론
2. 신호검출이론에대한 정신물리학적접근
-한계법(method of limits)
-조정법(method of adjustment)
-항상자극법(method of constant stimuli)
-Weber`s law
-Stevens의 지수법칙(Stevens`s power law)
3.신호검출이론 : 절차와 이론
본문내용
차이인지, 반응기준의 차이인지를 구분하는데 쓰일 수 있다. -“절대역” 개념이 엄밀하게 말하면 정확하지 않을런지는 몰라도 잘 통제된 상황에서 수행된 고전적 정신물리학 실험은 자극과 반응의 관계를 재는 중요한 도구이다.
신호검출론
- 적중률과 헛정보율이 사람의 반응기준에 따라 다르다. - 한 자극에 대한 사람의 민감도는 그 사람의 ROC곡선의 모양으로 알 수 있다.
■신호와 방해자극 -신호: 사람들에게 제시되는 자극 - 방해자극: 환경의 모든 다른 자극 -신호검출이론은 헛경보가 방해자극 때문에 생긴다고 본다. - 신호탐지 이론의 실험 ; 신호와 방해자극(S + N) 또는 방해자극(N) : 방해자극은 항상 있으며 어떤 시행에서 신호가 첨가된다.
■확률분포- 왼쪽은 방해자극만 있을 때(N)의 확률분포이고 오른쪽은 방해자극과 신호가 함께 있을 때(S+N)의 확률 분포임.
- 사람들은 시행에 따라 다른 강약을 경험하는데 그 까닭은 시행들에 걸쳐 주의의 변화 또는 그 청각계의 변화 때문이다. - 확률분포는 한 음이 강약이 N 또는 S+N에 기인할 확률이 어떤지를 말해준다. - 신호검출이론은 실험 대상자의 판단은 그가 정한 반응기준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고 주장한다.
■반응기준
- 너그러운기준(L) - 중립적인 기준(N) - 보수적인 기준(C)
- 지각효과가 그 기준보다 크면 “네”라고 답하면(“나는 자극을 탐지했다”) 지각효과가 이 기준보다 낮으면 “ 아니오”라고 답한다(“나는 자극을 탐지하지 못했다”) - 민감도가 ROC곡선에 주는 영향-사람의 민감도(d`)가 매우 크면 ROC곡선은 많이 굽는다.
신호검출론
- 적중률과 헛정보율이 사람의 반응기준에 따라 다르다. - 한 자극에 대한 사람의 민감도는 그 사람의 ROC곡선의 모양으로 알 수 있다.
■신호와 방해자극 -신호: 사람들에게 제시되는 자극 - 방해자극: 환경의 모든 다른 자극 -신호검출이론은 헛경보가 방해자극 때문에 생긴다고 본다. - 신호탐지 이론의 실험 ; 신호와 방해자극(S + N) 또는 방해자극(N) : 방해자극은 항상 있으며 어떤 시행에서 신호가 첨가된다.
■확률분포- 왼쪽은 방해자극만 있을 때(N)의 확률분포이고 오른쪽은 방해자극과 신호가 함께 있을 때(S+N)의 확률 분포임.
- 사람들은 시행에 따라 다른 강약을 경험하는데 그 까닭은 시행들에 걸쳐 주의의 변화 또는 그 청각계의 변화 때문이다. - 확률분포는 한 음이 강약이 N 또는 S+N에 기인할 확률이 어떤지를 말해준다. - 신호검출이론은 실험 대상자의 판단은 그가 정한 반응기준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고 주장한다.
■반응기준
- 너그러운기준(L) - 중립적인 기준(N) - 보수적인 기준(C)
- 지각효과가 그 기준보다 크면 “네”라고 답하면(“나는 자극을 탐지했다”) 지각효과가 이 기준보다 낮으면 “ 아니오”라고 답한다(“나는 자극을 탐지하지 못했다”) - 민감도가 ROC곡선에 주는 영향-사람의 민감도(d`)가 매우 크면 ROC곡선은 많이 굽는다.
추천자료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뜨거운 논란 -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와 생명윤리 사이의 논쟁-
인간에 관한 유전자 조작 및 인간복제와 관련된 윤리적 고찰
인간복제의 개념, 한국 생명복제기술, 인간복제의 문제점, 인간복제의 피해, 복제인간, 인간...
인간복제(배아복제, 줄기세포)의 개념, 인간복제(배아복제, 줄기세포)의 목적, 인간복제(배아...
[인간복제]인간복제의 가능성과 이점, 인간복제의 문제점에 따른 인간복제의 긍정론 및 신중...
[인간복제]인간복제란?, 인간복제기술의 발달과 역사, 최신 인간복제 기술과 주요 쟁점의 동...
[인간복제][복제윤리][인간복제의 법적 규제]인간복제의 개념, 인간복제의 이점, 인간복제의 ...
생명윤리(의학윤리, 의료윤리)의 중요성과 배경, 생명윤리(의학윤리, 의료윤리)의 교육과 관...
[인간복제][인간복제 과제][개체성][양면성][찬반론][동향][문제점]인간복제의 의미, 인간복...
[인간복제]인간복제의 의미, 인간복제의 위험성, 인간복제의 피해, 인간복제와 무아윤회, 인...
[인간복제][인간복제기술][생명복제][생명윤리][인간복제기술 발전][인간복제 가능성][인간복...
지적재산권법_ (1) 의약분야나 생명공학 관련 분야의 연구개발 결과물도 특허권을 획득하려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