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공학>SDT신호검출이론의 정의와 그에 대한 정신물리학적 접근과 예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공학>SDT신호검출이론의 정의와 그에 대한 정신물리학적 접근과 예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신호검출이론의 정의

2. 신호검출이론에대한 정신물리학적접근
-한계법(method of limits)
-조정법(method of adjustment)
-항상자극법(method of constant stimuli)
-Weber`s law
-Stevens의 지수법칙(Stevens`s power law)

3.신호검출이론 : 절차와 이론

본문내용

차이인지, 반응기준의 차이인지를 구분하는데 쓰일 수 있다. -“절대역” 개념이 엄밀하게 말하면 정확하지 않을런지는 몰라도 잘 통제된 상황에서 수행된 고전적 정신물리학 실험은 자극과 반응의 관계를 재는 중요한 도구이다.
신호검출론
- 적중률과 헛정보율이 사람의 반응기준에 따라 다르다. - 한 자극에 대한 사람의 민감도는 그 사람의 ROC곡선의 모양으로 알 수 있다.
■신호와 방해자극 -신호: 사람들에게 제시되는 자극 - 방해자극: 환경의 모든 다른 자극 -신호검출이론은 헛경보가 방해자극 때문에 생긴다고 본다. - 신호탐지 이론의 실험 ; 신호와 방해자극(S + N) 또는 방해자극(N) : 방해자극은 항상 있으며 어떤 시행에서 신호가 첨가된다.

■확률분포- 왼쪽은 방해자극만 있을 때(N)의 확률분포이고 오른쪽은 방해자극과 신호가 함께 있을 때(S+N)의 확률 분포임.

- 사람들은 시행에 따라 다른 강약을 경험하는데 그 까닭은 시행들에 걸쳐 주의의 변화 또는 그 청각계의 변화 때문이다. - 확률분포는 한 음이 강약이 N 또는 S+N에 기인할 확률이 어떤지를 말해준다. - 신호검출이론은 실험 대상자의 판단은 그가 정한 반응기준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고 주장한다.
■반응기준
- 너그러운기준(L) - 중립적인 기준(N) - 보수적인 기준(C)
- 지각효과가 그 기준보다 크면 “네”라고 답하면(“나는 자극을 탐지했다”) 지각효과가 이 기준보다 낮으면 “ 아니오”라고 답한다(“나는 자극을 탐지하지 못했다”) - 민감도가 ROC곡선에 주는 영향-사람의 민감도(d`)가 매우 크면 ROC곡선은 많이 굽는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6.17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9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