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탈리아 요리의 역사…………………………………………
2. 지리적 환경………………………………………………………
3. 지역적 특징………………………………………………………
4. 식문화의 특징……………………………………………………
5. 이탈리아 음식의 특징……………………………………………
6.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음식………………………………………
7. 이탈리아의 식사예절……………………………………………
8. 이탈리아의 상차림………………………………………………
9. 일상식의 특성……………………………………………………
10. 절기와 세시에 따른 음식………………………………………
11. 축제 음식…………………………………………………………
12. 계절 음식…………………………………………………………
2. 지리적 환경………………………………………………………
3. 지역적 특징………………………………………………………
4. 식문화의 특징……………………………………………………
5. 이탈리아 음식의 특징……………………………………………
6.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음식………………………………………
7. 이탈리아의 식사예절……………………………………………
8. 이탈리아의 상차림………………………………………………
9. 일상식의 특성……………………………………………………
10. 절기와 세시에 따른 음식………………………………………
11. 축제 음식…………………………………………………………
12. 계절 음식…………………………………………………………
본문내용
2) 부활절
부활절 한달여 전부터 수퍼나 과자점, 바등에서는 달걀 모양의 초콜렛과 비둘기 모양의 빵(콜롬바 빠스콸레)를 포장해서 판다.
빵 안엔 설탕에 절여 말린 오렌지를 아주 잘게 썰어 넣는다. 이 부활절 빵은 보통 점심 식사 후 후식으로 먹곤 한다.
3) 주현절
카톨릭에서 동방박사 세 사람이 예수탄생을 경축하러 온 날을 기념하는 절기다.
성탄(나탈레)에서 ‘12번째 날’이라 해서 The Twelfth Day라고도 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양력에 의해 1월 6일이 된다. 이탈리아의 주현절은 특히 ‘라 베파나’라고 불린다. 베파나는 이탈리아 민담에 등장하는 할머니로, 산타 클로스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다. 어른들이 양말에 사탕이나 초콜렛 등을 담아 어린이에게 선물한다.
4) 크리스마스
이탈리아 크리스마스 빵 ‘파네토네’는 이탈리아 밀라노 지방의 대표적인 빵이다. 밀가루를 발효시켜, 건포도 설탕에 절인 과일 피스타치오 아몬드 호두 등을 넣어 만든다. 파네는 ‘빵’, 토네는 ‘달다’는 뜻이 있다.
전통적으로 크리스마스에 빠지지 않는 요리였으며 요즘은 아침식사나 간식 또는 디저트로 먹기도 한다. 화이트 와인이나 에스프레소와 함께 곁들인다. 전통적인 파네토네는 특수한 발효기술로 방부제를 넣지 않아도 6~7개월 동안 12~18℃의 상온에서 보존이 가능하다.
11. 축제 음식
이탈리아는 세계 그 어느 나라보다 축제가 많다. 이탈리아의 많은 도시들은 자기네 축제를 대외에 과시함으로써 지역적 정체성과 향토애를 돈독히 다지며, 일년 내내 축제 준비를 위해 열정과 헌신, 경제적인 부담을 꺼리지 않는다.
1) 새해축제
한해의 시작은 주현절 축제와 함께 시작된다. 이탈리아의 전통은 크리스마스와 주현절 사이의 12일간이 한 해의 출발을 알리는 기간이었다. 1월 1일은 새해 축제(Fasta di Cappo d'anno)가 열리고, 가장 마지막 날인 주현절은 크리스마스가 산타클로스로 상징되듯이 베파나(La Befana)라는 한 노파로 상징되어진다. 이탈리아에서는 이 노파가 1월 5일 밤, 나귀를 타고 다니며 굴뚝을 타고 내려와 난로 가에 양말을 걸어놓은 아이들에게 선물을 가져다 준다고 믿고 있다. 같은 날 밤 노인들의 옷차림을 한 아이들(베파니-befani)은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사람들에게 새해의 복을 빌며 앵글로-색슨 계 나라들의 할로윈 축제 때처럼 조그만 선물이나 돈을 받아낸다. 새해에는 지역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우리나라의 족발과 비슷한 요리인 잠포네를 먹는다.
<잠포네>
2) 여름 축제와 음식 축제
여름에는 독립적인 도시 국가의 시기에 자기 고장이 다른 어느 곳보다 문화적·경제적으로 더 풍부하였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도시와 마을들이 자신들의 황금기를 회상하며 축제를 벌인다. 축제 기간 중에는 장이 열리고 퍼레이드가 펼쳐지는 가운데, 말 경주와 마상 창 겨루기 시합, 모의 전투와 같은 각종 경쟁 종목들이 지역 대항으로 실시된다.
이탈리아의 여름은 또한 '사그라(sagra; 수확물 감사제)'라고 하는 각 지역 특산 먹거리 축제들이 펼쳐지는 계절이기도하다. 이 축제는 거의 대부분의 지역에서 열리고 그 수도 너무 많아 모두 열거할 수는 없지만 중요한 몇 가지만을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Isernia (Molise): 양파 축제, 6월 28∼29일.
Viadana (Lombardia): 햄과 멜론, 와인 축제, 6월 28∼29일.
Camastra (Sicilia): 팔과 다리, 손, 발 모양의 빵 축제, 7월 2일
Ariccia (Lazio): 포르켓타(porchetta: 통 돼지 바비큐)축제, 7월의 첫 번째 일요일.
Peschici (Apuglia): 올리브 기름, 7월 20일
Livorno (Toscana): '카치우코(Cacciucco)'라고 불리는 어죽(fish soup)축제, 7월 세 번째 일요일.
Teglia (Lombardia): '피쵸케리(pizzocheri)' 파스타 축제, 7월 마지막 일요일.
Sissa (Emilia-Romagna): 수박 축제, 7월 마지막 일요일.
Noto (Sicilia): 아이스크림, 8월.
Montefiascone (Lazio): 'Est! Est!! Est!!!' 와인 축제, 8월.
Felitto (Campania): '푸실리(Fusili)' 파스타 축제. 8월.
San Daniele (Piemonte): 푸로슈토(prosciutto) 햄 축제, 8월 마지막 일요일.
Angri (Campania): 토마도 축제, 9월.
이러한 농산물 축제들은 간혹 여러 가지 볼거리들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마르케주의 포르토 산 죠르조(Porto San Giorgio)의 오징어 축제에서는 4.5m 지름의 대형 프라이팬에서 오징어를 튀겨 구경꾼들에게 나누어주는 행사를 갖기도 한다. 이러한 축제에는 모든 방문객들이 환영을 받으며 행사에 직접적인 참여를 권유받는다. 여름축제가 끝나면 이탈리아는 새로운 축제를 시작하는데 다소 과격하고 신중하기도 하며 자신들은 직접 참여하지 못하는 축제, 바로 축구이다.
12. 계절 음식
1) 봄 음식
①루콜라 샐러드
상추와 루콜라, 사과, 바나나, 토마토, 오이, 당근, 잣, 해바라기씨, 치즈 그리고 올리브기름과 발자미코 식초, 약간의 페타질리엔, 소금을 버무린 것으로 이탈리아 인이라면 해마다 봄이면 샐러드용 채소인 루콜라를 이용하여 샐러드를 만들어 먹는다.
2) 여름 음식
① 토마토와 감자를 곁들인 금태 요리
토마토와 감자를 곁들인 금태 요리는 이탈리아에서 대중적으로 즐기는 생선인 금태와 싱싱한 토마토를 활용한 요리로, 세콘도를 대표한다.
② 담백한 아스파라거스 리조토
아스파라거스 리조토 여름에 가장 많이 먹는 야채인 아스파라거스를 넣은 담백한 맛의 프리모로 즐긴다
3) 가을 음식
①버섯조림
냄비에 버터를 두르고 버섯의 상태에 따라 약간을 물을 부은 뒤 졸여서 만든 버섯요리로, 진하고 고소한 맛이 일품이다.
4) 겨울 요리
칠면조 오븐구이 Tacchino arrosto & 로스트 치킨
겨울철이나 부활절, 특별한 손님이 왔을 때 주로 내는 요리로 이탈리아 요리답게 올리브 오일과 허브가 많이 들어간다.
부활절 한달여 전부터 수퍼나 과자점, 바등에서는 달걀 모양의 초콜렛과 비둘기 모양의 빵(콜롬바 빠스콸레)를 포장해서 판다.
빵 안엔 설탕에 절여 말린 오렌지를 아주 잘게 썰어 넣는다. 이 부활절 빵은 보통 점심 식사 후 후식으로 먹곤 한다.
3) 주현절
카톨릭에서 동방박사 세 사람이 예수탄생을 경축하러 온 날을 기념하는 절기다.
성탄(나탈레)에서 ‘12번째 날’이라 해서 The Twelfth Day라고도 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양력에 의해 1월 6일이 된다. 이탈리아의 주현절은 특히 ‘라 베파나’라고 불린다. 베파나는 이탈리아 민담에 등장하는 할머니로, 산타 클로스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다. 어른들이 양말에 사탕이나 초콜렛 등을 담아 어린이에게 선물한다.
4) 크리스마스
이탈리아 크리스마스 빵 ‘파네토네’는 이탈리아 밀라노 지방의 대표적인 빵이다. 밀가루를 발효시켜, 건포도 설탕에 절인 과일 피스타치오 아몬드 호두 등을 넣어 만든다. 파네는 ‘빵’, 토네는 ‘달다’는 뜻이 있다.
전통적으로 크리스마스에 빠지지 않는 요리였으며 요즘은 아침식사나 간식 또는 디저트로 먹기도 한다. 화이트 와인이나 에스프레소와 함께 곁들인다. 전통적인 파네토네는 특수한 발효기술로 방부제를 넣지 않아도 6~7개월 동안 12~18℃의 상온에서 보존이 가능하다.
11. 축제 음식
이탈리아는 세계 그 어느 나라보다 축제가 많다. 이탈리아의 많은 도시들은 자기네 축제를 대외에 과시함으로써 지역적 정체성과 향토애를 돈독히 다지며, 일년 내내 축제 준비를 위해 열정과 헌신, 경제적인 부담을 꺼리지 않는다.
1) 새해축제
한해의 시작은 주현절 축제와 함께 시작된다. 이탈리아의 전통은 크리스마스와 주현절 사이의 12일간이 한 해의 출발을 알리는 기간이었다. 1월 1일은 새해 축제(Fasta di Cappo d'anno)가 열리고, 가장 마지막 날인 주현절은 크리스마스가 산타클로스로 상징되듯이 베파나(La Befana)라는 한 노파로 상징되어진다. 이탈리아에서는 이 노파가 1월 5일 밤, 나귀를 타고 다니며 굴뚝을 타고 내려와 난로 가에 양말을 걸어놓은 아이들에게 선물을 가져다 준다고 믿고 있다. 같은 날 밤 노인들의 옷차림을 한 아이들(베파니-befani)은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사람들에게 새해의 복을 빌며 앵글로-색슨 계 나라들의 할로윈 축제 때처럼 조그만 선물이나 돈을 받아낸다. 새해에는 지역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우리나라의 족발과 비슷한 요리인 잠포네를 먹는다.
<잠포네>
2) 여름 축제와 음식 축제
여름에는 독립적인 도시 국가의 시기에 자기 고장이 다른 어느 곳보다 문화적·경제적으로 더 풍부하였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도시와 마을들이 자신들의 황금기를 회상하며 축제를 벌인다. 축제 기간 중에는 장이 열리고 퍼레이드가 펼쳐지는 가운데, 말 경주와 마상 창 겨루기 시합, 모의 전투와 같은 각종 경쟁 종목들이 지역 대항으로 실시된다.
이탈리아의 여름은 또한 '사그라(sagra; 수확물 감사제)'라고 하는 각 지역 특산 먹거리 축제들이 펼쳐지는 계절이기도하다. 이 축제는 거의 대부분의 지역에서 열리고 그 수도 너무 많아 모두 열거할 수는 없지만 중요한 몇 가지만을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Isernia (Molise): 양파 축제, 6월 28∼29일.
Viadana (Lombardia): 햄과 멜론, 와인 축제, 6월 28∼29일.
Camastra (Sicilia): 팔과 다리, 손, 발 모양의 빵 축제, 7월 2일
Ariccia (Lazio): 포르켓타(porchetta: 통 돼지 바비큐)축제, 7월의 첫 번째 일요일.
Peschici (Apuglia): 올리브 기름, 7월 20일
Livorno (Toscana): '카치우코(Cacciucco)'라고 불리는 어죽(fish soup)축제, 7월 세 번째 일요일.
Teglia (Lombardia): '피쵸케리(pizzocheri)' 파스타 축제, 7월 마지막 일요일.
Sissa (Emilia-Romagna): 수박 축제, 7월 마지막 일요일.
Noto (Sicilia): 아이스크림, 8월.
Montefiascone (Lazio): 'Est! Est!! Est!!!' 와인 축제, 8월.
Felitto (Campania): '푸실리(Fusili)' 파스타 축제. 8월.
San Daniele (Piemonte): 푸로슈토(prosciutto) 햄 축제, 8월 마지막 일요일.
Angri (Campania): 토마도 축제, 9월.
이러한 농산물 축제들은 간혹 여러 가지 볼거리들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마르케주의 포르토 산 죠르조(Porto San Giorgio)의 오징어 축제에서는 4.5m 지름의 대형 프라이팬에서 오징어를 튀겨 구경꾼들에게 나누어주는 행사를 갖기도 한다. 이러한 축제에는 모든 방문객들이 환영을 받으며 행사에 직접적인 참여를 권유받는다. 여름축제가 끝나면 이탈리아는 새로운 축제를 시작하는데 다소 과격하고 신중하기도 하며 자신들은 직접 참여하지 못하는 축제, 바로 축구이다.
12. 계절 음식
1) 봄 음식
①루콜라 샐러드
상추와 루콜라, 사과, 바나나, 토마토, 오이, 당근, 잣, 해바라기씨, 치즈 그리고 올리브기름과 발자미코 식초, 약간의 페타질리엔, 소금을 버무린 것으로 이탈리아 인이라면 해마다 봄이면 샐러드용 채소인 루콜라를 이용하여 샐러드를 만들어 먹는다.
2) 여름 음식
① 토마토와 감자를 곁들인 금태 요리
토마토와 감자를 곁들인 금태 요리는 이탈리아에서 대중적으로 즐기는 생선인 금태와 싱싱한 토마토를 활용한 요리로, 세콘도를 대표한다.
② 담백한 아스파라거스 리조토
아스파라거스 리조토 여름에 가장 많이 먹는 야채인 아스파라거스를 넣은 담백한 맛의 프리모로 즐긴다
3) 가을 음식
①버섯조림
냄비에 버터를 두르고 버섯의 상태에 따라 약간을 물을 부은 뒤 졸여서 만든 버섯요리로, 진하고 고소한 맛이 일품이다.
4) 겨울 요리
칠면조 오븐구이 Tacchino arrosto & 로스트 치킨
겨울철이나 부활절, 특별한 손님이 왔을 때 주로 내는 요리로 이탈리아 요리답게 올리브 오일과 허브가 많이 들어간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