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1) 홍릉(洪陵) 제26대 고종과 명성황후
(2) 유능 (裕陵) - 제27대 순종과 순명황후, 繼后 순정황후
(3) 홍유능에 관한 설명
1) 홍릉 (洪陵)
2) 유릉 (裕陵)
3) 제향 행사
3. 결 론
2. 본 론
(1) 홍릉(洪陵) 제26대 고종과 명성황후
(2) 유능 (裕陵) - 제27대 순종과 순명황후, 繼后 순정황후
(3) 홍유능에 관한 설명
1) 홍릉 (洪陵)
2) 유릉 (裕陵)
3) 제향 행사
3. 결 론
본문내용
)
영 원
영친왕(이은: 고종황제 3남)과 동비 이방자의 원
5월 10일(양)
3. 결 론
홍유능을 둘러보고…
역사적인 사연을 알기 전에는 깨끗한 공원 정도로 생각하던 능이다. 홍릉과 유릉을 합쳐서 홍유릉이라고 하는데 금곡시내에 위치하여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홍릉과 유릉 앞에는 경복궁 근정전과 같은 모양세의 건물이 각각 한채씩 있고 그 앞에는 석상들이 가지런히 서 있다. 소나무 숲과 유릉 앞의 연못에는 연꽃이 피어 있기도 하여 나무그늘에 돗자리를 펴면 여유로운 공원의 모습이다. 또 유치원에서 단체로 많이 오기에 늘 분위기는 한 많은 역사의 한 자락을 보이기 보다는 공원의 인상이 강하게 느껴진다.
조선의 마지막 국왕의 능이지만 일부 풍수지리학자들은 명당자리가 아니라고 한다. 그것은 일본이 우리의 풍수 사상까지도 조직적으로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맥을 끊으려고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러한 사실을 아는 사람들은 더 분노한다. 때문에 이곳은 명성황후를 민비로 비하하고 죽이고 창경궁을 창경원으로 전국의 산에 쇠말뚝을 박힌 약소국 조선의 아픔을 느낄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견학의 기회를 갖게 해주신 교수님께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
영 원
영친왕(이은: 고종황제 3남)과 동비 이방자의 원
5월 10일(양)
3. 결 론
홍유능을 둘러보고…
역사적인 사연을 알기 전에는 깨끗한 공원 정도로 생각하던 능이다. 홍릉과 유릉을 합쳐서 홍유릉이라고 하는데 금곡시내에 위치하여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홍릉과 유릉 앞에는 경복궁 근정전과 같은 모양세의 건물이 각각 한채씩 있고 그 앞에는 석상들이 가지런히 서 있다. 소나무 숲과 유릉 앞의 연못에는 연꽃이 피어 있기도 하여 나무그늘에 돗자리를 펴면 여유로운 공원의 모습이다. 또 유치원에서 단체로 많이 오기에 늘 분위기는 한 많은 역사의 한 자락을 보이기 보다는 공원의 인상이 강하게 느껴진다.
조선의 마지막 국왕의 능이지만 일부 풍수지리학자들은 명당자리가 아니라고 한다. 그것은 일본이 우리의 풍수 사상까지도 조직적으로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맥을 끊으려고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러한 사실을 아는 사람들은 더 분노한다. 때문에 이곳은 명성황후를 민비로 비하하고 죽이고 창경궁을 창경원으로 전국의 산에 쇠말뚝을 박힌 약소국 조선의 아픔을 느낄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견학의 기회를 갖게 해주신 교수님께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