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사이버범죄와 관련된 문제들
1. 기술적 난제와 관념의 혼돈으로 인한 문제들
2. 사이버범죄의 정의와 관련된 문제들
3. 사이버범죄의 특성과 관련된 문제들
III. 사이버공간에서의 범죄 현황
IV. 사이버 범죄 대책
V. 결론
II. 사이버범죄와 관련된 문제들
1. 기술적 난제와 관념의 혼돈으로 인한 문제들
2. 사이버범죄의 정의와 관련된 문제들
3. 사이버범죄의 특성과 관련된 문제들
III. 사이버공간에서의 범죄 현황
IV. 사이버 범죄 대책
V. 결론
본문내용
간을 형성하고 있는 컴퓨터시스템이나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자는 그 사용으로 인한 결과에 대하여 책임을 저야 하며, 이러한 책임의 소재를 밝힐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컴퓨터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기관은 이용자들의 이용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특히 공중용 컴퓨터를 운영하는 기관에서는 반드시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용자의 이용상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료는 컴퓨터시스템의 접속기록(log)이다. 따라서 모든 컴퓨터에는 접속기록(log)을 반드시 남겨야 하고, 이를 일정기간 보관하도록 하여야 한다.
5. 사이버공간에 맞는 법률 정비
현재 시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법률은 물리적 공간을 전제로 하여 만들어진 것들이다. 따라서 사이버공간에서 발생하고 있는 범죄현상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물론 사이버범죄를 규제할 어려 법령들이 있지만 근본적으로 사이버공간의 사이버범죄에 적용될 새로운 법률의 제정을 시도하여야 할 것이다. 전자거래기본법과 전자서명법과 같은 법률이 사이버공간에서의 거래와 서명에 적용하기 위하여 제정되었듯이 사이버범죄에도 그 고유의 독특한 특성이 있는 것이므로 이에 걸 맞는 법률이 나와야 할 것이다.
급속히 변화되는 사이버공간의 변화에 법률이 뒤따르지 못해서 공백이 생겨서는 안될 것이다. 컴퓨터바이러스를 제작하여 유포하는 행위, 민간 부문에서의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제가 미비 되었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또한 암호이용 관련 법률의 제정을 통하여 암호이용을 촉진함으로써 사이버범죄 예방에 기여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형사 증거법도 사이버범죄와 관련된 증거에 적절히 적용될 수 있도록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6. 국제적 협조 체제 구축
최근 발생하고 있는 해킹사건의 상당 부분이 해외에서 침입해 온 것이다. 해외로부터 침입하는 해킹사건은 사실상 수사가 어려운 실정으로 예방이 최선의 방책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계속 늘어만 가는 해킹사건을 그대로 방치만 하고 있을 수는 없는 일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국의 수사기관과의 공조체제를 구축하여 해킹에 공동대응 하여야 할 것이다.
선진 8개국은 이미 사이버범죄에 대한 대응이 국경을 넘는 국제적인 협력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97년 12월에 법무내무장관 회의를 개최하여 공동대응할 것을 합의하고 이를 위한 기본 원칙을 선언하고 행동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우리도 국제적 협력을 위하여 인터폴을 통한 협력을 계속해왔고, 앞으로도 더욱 진전된 국제공조를 위하여 컴퓨터범죄 관련 국제회의나 세미나에 참석하고, 사이버범죄수사대 내에 국제 협력반을 두어 해외로부터의 해킹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침투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재발방지를 촉구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사법적 조치를 요구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 나갈 예정이다.
V. 결론
사이버공간은 앞으로도 계속 발전을 거듭할 것이다. 이러한 발전이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할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이다. 다만 한가지 확실한 것은 이미 우리 생활의 중요한 부분이 사이버공간으로 옮겨갔고 이제는 사이버공간을 무시하고는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기가 어려운 지경이 되어 버렸다. 이러한 상황에 도달한 우리로서는 사이버공간에서의 생활이 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생활이 되도록 노력해야 할 책무가 있다.
사이버공간의 안전을 위한 이러한 노력은 어떤 특정한 계층의 사람들만이 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사이버공간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사람들의 공동작업에 의해서만이 사이버공동체의 생활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유지시켜 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의 질서를 교란시키는 해커들은 인류의 공동 적이라는 관념 하에 국제적 공조를 이루어 나갈 때에만 해커들의 활동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조는 무엇보다도 국내에서 사이버공간에 대한 확고한 치안질서가 확립되어 있을 때에만 실현 가능하다고 본다. 다시 말해서 우리 스스로가 사이버범죄에 대한 단호한 조치가 있을 때에 해외에서 침입한 해커에 대해서도 추적과 처벌을 요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항상 예방이 최선의 방어책이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사이버공간을 구성하는 컴퓨터시스템과 네트워크망에 대한 지속적으로 점검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 사이버생활의 기반을 위협하는 사이버테러를 막는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사이버공간은 우리의 미래를 밝게 해 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김강호, 「해커를 해킹한다.」, 개마고원 1999
김택상, 「가상공간의 사이버 전사경찰청 사이버 범죄 수사대」,
2001. 08호 월간소비자 시대
박영기, “사이버범죄에 대한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4
오용성, “사이버범죄 예방을 위한 대책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2003
윤민석, “사입버 범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1
이영준, 「사이버범죄 방지 조약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1
이재승, “사이버犯罪 實態分析과 對應方案 硏究 = A study on cybercrime statistics and countermeasures”,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이재승, “사이버범죄의 실태 및 대책”, 전남대 행정대학원, 2002
최영호, 「컴퓨터와 범죄 현상」, 컴퓨터 출판, 1995
최재희, “사이버범죄에 대한 연구”, 경성대 대학원 , 2001
최정호, 「디지털 시대의 빛과 그림자」, 연세 커뮤티케이션즈 2000
한국 사이버 감시단, 「2001 한국 사이버범죄 백서」, 전자신문사, 2001
Debra Littlejohn Shinder, 「사이버범죄 소탕작전 컴퓨터 포렌식 핸드북」, 에이콘출판, 2003
경찰청 사이버 수사대 (http://www.police.go.kr)
대검찰청 사이버 범죄 수사대 (http://www.sppo.go.kr)
사이버범죄 연구회 (http://www.cybercrime.re.kr)
사이버 전문가 클럽 (http://cyber.copsclub.net)
사이버 테러대응센터 (http://www.ctrc.go.kr)
5. 사이버공간에 맞는 법률 정비
현재 시행되고 있는 대부분의 법률은 물리적 공간을 전제로 하여 만들어진 것들이다. 따라서 사이버공간에서 발생하고 있는 범죄현상에 적절히 대응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물론 사이버범죄를 규제할 어려 법령들이 있지만 근본적으로 사이버공간의 사이버범죄에 적용될 새로운 법률의 제정을 시도하여야 할 것이다. 전자거래기본법과 전자서명법과 같은 법률이 사이버공간에서의 거래와 서명에 적용하기 위하여 제정되었듯이 사이버범죄에도 그 고유의 독특한 특성이 있는 것이므로 이에 걸 맞는 법률이 나와야 할 것이다.
급속히 변화되는 사이버공간의 변화에 법률이 뒤따르지 못해서 공백이 생겨서는 안될 것이다. 컴퓨터바이러스를 제작하여 유포하는 행위, 민간 부문에서의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제가 미비 되었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또한 암호이용 관련 법률의 제정을 통하여 암호이용을 촉진함으로써 사이버범죄 예방에 기여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형사 증거법도 사이버범죄와 관련된 증거에 적절히 적용될 수 있도록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6. 국제적 협조 체제 구축
최근 발생하고 있는 해킹사건의 상당 부분이 해외에서 침입해 온 것이다. 해외로부터 침입하는 해킹사건은 사실상 수사가 어려운 실정으로 예방이 최선의 방책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계속 늘어만 가는 해킹사건을 그대로 방치만 하고 있을 수는 없는 일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국의 수사기관과의 공조체제를 구축하여 해킹에 공동대응 하여야 할 것이다.
선진 8개국은 이미 사이버범죄에 대한 대응이 국경을 넘는 국제적인 협력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97년 12월에 법무내무장관 회의를 개최하여 공동대응할 것을 합의하고 이를 위한 기본 원칙을 선언하고 행동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우리도 국제적 협력을 위하여 인터폴을 통한 협력을 계속해왔고, 앞으로도 더욱 진전된 국제공조를 위하여 컴퓨터범죄 관련 국제회의나 세미나에 참석하고, 사이버범죄수사대 내에 국제 협력반을 두어 해외로부터의 해킹자료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침투 사이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재발방지를 촉구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사법적 조치를 요구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 나갈 예정이다.
V. 결론
사이버공간은 앞으로도 계속 발전을 거듭할 것이다. 이러한 발전이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할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이다. 다만 한가지 확실한 것은 이미 우리 생활의 중요한 부분이 사이버공간으로 옮겨갔고 이제는 사이버공간을 무시하고는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기가 어려운 지경이 되어 버렸다. 이러한 상황에 도달한 우리로서는 사이버공간에서의 생활이 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생활이 되도록 노력해야 할 책무가 있다.
사이버공간의 안전을 위한 이러한 노력은 어떤 특정한 계층의 사람들만이 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사이버공간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사람들의 공동작업에 의해서만이 사이버공동체의 생활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유지시켜 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의 질서를 교란시키는 해커들은 인류의 공동 적이라는 관념 하에 국제적 공조를 이루어 나갈 때에만 해커들의 활동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조는 무엇보다도 국내에서 사이버공간에 대한 확고한 치안질서가 확립되어 있을 때에만 실현 가능하다고 본다. 다시 말해서 우리 스스로가 사이버범죄에 대한 단호한 조치가 있을 때에 해외에서 침입한 해커에 대해서도 추적과 처벌을 요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항상 예방이 최선의 방어책이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사이버공간을 구성하는 컴퓨터시스템과 네트워크망에 대한 지속적으로 점검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 사이버생활의 기반을 위협하는 사이버테러를 막는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사이버공간은 우리의 미래를 밝게 해 줄 것이다.
《 참 고 문 헌 》
김강호, 「해커를 해킹한다.」, 개마고원 1999
김택상, 「가상공간의 사이버 전사경찰청 사이버 범죄 수사대」,
2001. 08호 월간소비자 시대
박영기, “사이버범죄에 대한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4
오용성, “사이버범죄 예방을 위한 대책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2003
윤민석, “사입버 범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1
이영준, 「사이버범죄 방지 조약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1
이재승, “사이버犯罪 實態分析과 對應方案 硏究 = A study on cybercrime statistics and countermeasures”,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이재승, “사이버범죄의 실태 및 대책”, 전남대 행정대학원, 2002
최영호, 「컴퓨터와 범죄 현상」, 컴퓨터 출판, 1995
최재희, “사이버범죄에 대한 연구”, 경성대 대학원 , 2001
최정호, 「디지털 시대의 빛과 그림자」, 연세 커뮤티케이션즈 2000
한국 사이버 감시단, 「2001 한국 사이버범죄 백서」, 전자신문사, 2001
Debra Littlejohn Shinder, 「사이버범죄 소탕작전 컴퓨터 포렌식 핸드북」, 에이콘출판, 2003
경찰청 사이버 수사대 (http://www.police.go.kr)
대검찰청 사이버 범죄 수사대 (http://www.sppo.go.kr)
사이버범죄 연구회 (http://www.cybercrime.re.kr)
사이버 전문가 클럽 (http://cyber.copsclub.net)
사이버 테러대응센터 (http://www.ctrc.go.kr)
추천자료
정보화 문제 - 유형 및 현황, 사이버 일탈행위의 원인, 사이버 일탈이론, 정보화문제 해결을 ...
청소년성범죄의 현황과 대책
해안도시의 강력범죄 현황과 전국 강력범죄 추세와의 비교 연구.
[아동성폭력]아동 성폭력 문제의 정의와 원인, 예방, 대처방안은 무엇인가? 아동 성폭력 범죄...
사이버공간(인터넷)의 개념과 특성, 사이버공간(인터넷) 불건전정보 현황과 사례, 사이버공간...
한국 범죄문제의 현황과 대책방안
인터넷 성폭력(사이버 성폭력)의 의미와 유형, 인터넷 성폭력(사이버 성폭력)의 발생장소와 ...
[사이버 성윤리]사이버 공간의 특징, 사이버 성 문제 현황, 문제점, 통계자료, 사이버포르노 ...
외국인범죄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교정복지적 접근
[사이버테러][인터넷테러][보안대책][사이버][테러][사이버테러 유형]사이버테러(인터넷테러)...
[사이버교육] 사이버교육의 현황, 사이버교육의 개념, 사이버교육의 종류,
[거래시스템, 금융업 거래시스템, 사이버해운소(사이버해상운송거래소)]금융업의 거래시스템,...
아동 성범죄자 처벌-아동 성범죄자 처벌 법률,외국의 아동 성범죄자 처벌 현황,아동 성범죄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