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감마나이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Gamma-knife란?
(1) 정의
(2) 역사
(3) 원리

2. 감마나이프의 장점

3. 치료대상질환

4. 수술대상자 선정기준

5. 수술 과정

6. 수술 후 관리

7. 현황

8. 출처

본문내용

없다.치료 시간은 치료 선량 계획에 따라 다르나 평균적으로 40분에서 2시간 정도 소요되며, 치료 중에 의료진들은 모니터를 통하여 환자를 살핀다.환자는 의료진들과 마이크를 통해 대화할 수 있고 수술중 원하시는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6. 머리틀 제거 치료가 끝나면 곧바로 머리틀을 제거하고, 두개골에 고정하기 위해 핀이 삽입되었던 부위는 소독 후 밴드를 붙인다.삽입 부위에 흉터는 거의 남지 않으며 약 2~3일이 지난 후 가피(딱지)가 형성되는데 이 후부터는 샴푸세발이 가능하다.7. 당일 퇴원 감마나이프 센터 내 회복실이나 병실에서 휴식을 취한 후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당일 퇴원하여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한다. 또한 다음날부터 직장으로의 복귀가 가능합니다.
6. 수술 후 관리
① 다음날부터는 일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② 시술받은 당일은 간혹 두통이나 메스꺼움이 있을 수 있다. ③ 수술 후 식사의 제한은 없으며, 이후 평소의 식습관을 유지한다. ④ 시술시 머리카락을 전혀 자르지 않으며, 머리틀 고정부위의 상처는 수술 후 상처가 아물면 아무런 흔적이 없게 된다. ⑤ 단순세안은 수술 후 2일부터, 머리 샴푸는 3일부터 가능하다. (핀으로 고정한 상처부위에 가피(딱지)가 형성된 후부터) ⑥ 감마나이프 수술은 수술 후 경과가 중요하므로, 수술 후 최소 2-3년 이상동안은 주치의와 상의하여 규칙적인 진료와 방사선 검사가 필요하다.⑦ 병소의 위치에 따라서 머리카락이 부분적으로 빠질 수도 있으나 일시적인 현상으로, 수개월 안에 다시 자라게 된다.
7. 현황
① 전북대학교병원 2006-06-01
무혈 뇌수술시대 : 감마나이프
감마나이프는 스웨덴 Karolinska 병원의 신경외과 의사인 Leksell 교수에 의해 처음 만들어진 것으로 1967년도부터 치료에 이용되어 오다가 1987년 미국 피츠버그대학에 도입이 되면서 사용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세계적으로 200여개의 감마나이프센터가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0개 센터에서 감마나이프 수술이 시행되고 있다.
감마나이프(Gamma Knife)는 코발트(Cobalt) 60이라는 동위원소에서 나오는 감마선을 이용하여 종양이나 혈관기형을 치료하는 것으로 201개의 방사선원을 돋보기원리를 이용하여 한군데로 집중하여 조사함으로써 정상 뇌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면서 병적 조직(뇌의 원발 종양, 전이성 뇌종양, 뇌하수체선종, 두개인두종, 뇌혈관동정맥기형, 간질조직, 강박증 및 우울증의 정신질환을 발생시키는 병소 등)에 이르는 방사선 조사량을 극대화하는 치료기기로 이전의 방사선 치료기기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정확하게 병소에만 방사선이 조사되기 때문에 칼을 대지 않고 뇌수술을 하는 것과 같다.

전북대학교병원에서 가동 중인 최신형감마나이프
정상조직을 건드리지 않으므로 종양등이 뇌심부에 있는 숨골에 존재하거나 기타 중요한 신경 및 혈관을 감싸고 있어 신경학적 장애가 심하게 남을 것이 예상되어 수술을 할 수 없는 경우에도 감마선을 이용하여 종양을 제거하거나 종양이 자라는 것을 멈추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상처가 나지 않으므로 칼을 대고하는 수술처럼 머리를 깎지 않아도 되고, 전신마취도 필요하지 않으며, 진통제나 항생제 역시 필요하지도 않아 하루 입원으로 감마나이프 수술을 받고 퇴원하여 일상생활에 복귀할 수 있다.

감마나이프 수술 전 종양감마나이프 수술 후 제거된 종양
수술의 적응증은
1) 종양으로는 뇌의 원발성 종양, 전이성 종양, 뇌수막종, 청신경초종, 뇌하수체선종, 두개인두종, 송과체종양, 혈관성종양등이 있으며,
2) 혈관기형으로는 뇌혈관동정맥기형, 기타의 뇌혈관기형이 있고,
3) 기능성질환으로는 간질, 파킨슨병, 삼차신경통, 약으로 조절되지 않는 암성통증이 있으며,
4) 정신질환으로 강박증과 우울증이 대상이 된다.
감마나이프 수술 시간은 종양이나 혈관기형의 종류, 위치, 개수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개의 경우 종양의 위치를 알기위한 자를 머리에 고정하는 것부터 수술을 끝내는 것까지 4~5시간 정도면 충분하며, 전신마취를 하지 않기 때문에 환자가 화장실에 가고 싶다거나 목이마르거나 쉬고 싶은 경우 잠시 휴식시간을 가질 수도 있다.
한차례의 감마선조사로 그 병변에 대한 치료는 종료되며, 정기적인 사진 촬영으로 종양의 상태를 추적 관찰한다. 대개의 경우 전이성 뇌종양을 제외하고는 모든 병변이 없어지거나 안정화되는데 2년 정도의 기간이 소요된다. 기능성 질환 및 정신질환은 수개월에 걸쳐 서서히 호전된다.
감마나이프 수술비는 2004년 이전에는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어 한번 치료에 700만원을 환자가 모두 부담해야 했으나 최근에는 보험 혜택을 받는 경우 350~400만원으로 부담이 절반으로 경감되었다.
② 신문기사 - 2009-02-02
감마나이프 수술, 최신 지견 공유
건국대학교병원은 지난 1월30일 오후2시부터 병원 대강당에서 ‘감마나이프 수술의 치료효과에 관한 최신지견’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2일 건국대학교병원에 따르면 이번 심포지엄은 최근 각종 뇌질환에 탁월한 치료효과가 입증된 감마나이프 수술에 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대한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학회장인 인제대 부산백병원 이선일 교수를 비롯해 초대 감마나이프 학회장을 역임한 분당차병원 정상섭 교수 등 우리나라의 감마나이프 수술을 이끌고 있는 의료진들이 대거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또한 뇌혈관 질환 및 뇌기능성 질환 등 비종양성 병변에 대한 감마나이프 수술의 최신 지견과 더불어 양성 및 악성 뇌종양에 있어서의 감마나이프 수술의 최신 지견에 대한 내용들을 다뤘다.
건국대학교병원 감마나이프센터 소장 신경외과 고영초 교수는 “점차 환자들이 비침습적 수술을 선호함에 따라 최근 감마나이프 수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며 “이번 심포지엄에서 감마나이프 수술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함께 나눠 향후 감마나이프 수술의 적용 질환이 확대되고 치료 효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8. 출처
- 두산백과사전
- 신문기사(메디컬투데이)
- 전북대학교병원 홈페이지
- 서울대학교병원 감마나이프 센터
- 아주대학교병원 감마나이프 센터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6.29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33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