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당뇨병성케톤산증
1. 정의
2. 원인
3. 증상 및 징후
4. 검사 소견
5. 치료 및 간호
Hypoglycemia
1. 정의
2. 임상 증상
3. DM 환자에서의 hypoglycemia
1. 정의
2. 원인
3. 증상 및 징후
4. 검사 소견
5. 치료 및 간호
Hypoglycemia
1. 정의
2. 임상 증상
3. DM 환자에서의 hypoglycemia
본문내용
∵hypoglycemia는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즉각적인 결과를 초래 가능)
type 1 DM에서 더 흔히 발생
type 2 DM에서는 덜 흔하지만 insulin or sulfonylurea 치료 중에 발생할 수
(2) 일반적인 유발인자
: relative/absolute insulin excess의 원인
① 인슐린이나 구강 당뇨약의 잘못된 선택, 용량 과다, 투여시간 부적절 등
② 포도당 섭취 감소(식사를 거르거나 밤새 금식시)
③ 급격히 증가한 운동
④ 인슐린 감수성 증가 (강력한 혈당조절, 한밤중, 운동, 체중감소 등)
⑤ endogenous glucose production 감소 (음주)
⑥ insulin clearance 감소 (e.g., 신부전)
- but, 이러한 원인들은 severe hypoglycemia 의 일부에만 관여
→ 대부분은 다른 기전이 원인
(3) Hypoglycemia 의 치료
의식이 있으면 ? 설탕, 사탕, 당함유 음료
의식이 없으면 ? IV glucose(50% DW), glucagons 1 mg IM
-glucose IV 후에도 의식이 회복 안되면 혈당을200 mg/dL로 유지하면서 steroid를 투여할 수 있음
type 1 DM에서 더 흔히 발생
type 2 DM에서는 덜 흔하지만 insulin or sulfonylurea 치료 중에 발생할 수
(2) 일반적인 유발인자
: relative/absolute insulin excess의 원인
① 인슐린이나 구강 당뇨약의 잘못된 선택, 용량 과다, 투여시간 부적절 등
② 포도당 섭취 감소(식사를 거르거나 밤새 금식시)
③ 급격히 증가한 운동
④ 인슐린 감수성 증가 (강력한 혈당조절, 한밤중, 운동, 체중감소 등)
⑤ endogenous glucose production 감소 (음주)
⑥ insulin clearance 감소 (e.g., 신부전)
- but, 이러한 원인들은 severe hypoglycemia 의 일부에만 관여
→ 대부분은 다른 기전이 원인
(3) Hypoglycemia 의 치료
의식이 있으면 ? 설탕, 사탕, 당함유 음료
의식이 없으면 ? IV glucose(50% DW), glucagons 1 mg IM
-glucose IV 후에도 의식이 회복 안되면 혈당을200 mg/dL로 유지하면서 steroid를 투여할 수 있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