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염case study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심함
몸이 차고 축축하다.
하루 소변량의 양이 정상보다 낮다.(1500이하)
알부민수치가 정상보다 낮았다.(2.9g/dl)
체액부족
수분이동
신체적측면
“배가 아파”
어떻게 아프세요?
“예리한게 찌르는듯이 아파.”
통증호소시 HR, RR, BP가 상승함
통증
복막 자극
신체적측면
2.간호진단
#1. 늑막삼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2. 수분이동과 관련된 체액부족
#3. 복막 자극과 관련된 통증
*우선순위
1. #1. 늑막삼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2. #2. 수분이동과 관련된 체액부족
3. #3. 복막 자극과 관련된 통증
3~5우선순위에 따른 간호목표, 계획, 수행, 평가
#1. 늑막삼출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주관적자료: “숨쉬기가 힘들어”
-객관적자료: 호흡이 평상시보다 얇고 빠른게 쉰다. 호흡시 그르렁거리는 소리가 들린다.
x-ray상 폐확장량이 감소되어있다.
-목표: 5/15일까지 호흡횟수와 양상이 정상범위내에 있다.
-계획/수행
①호흡의 양상을 사정한다.(호흡수, 깊이, 리듬, 호흡음)
②semi Fowler 체위를 유지한다.
③매시간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격려한다.
④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하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①체위 변경 등으로 흉곽의 확장을 늘릴수 있고 체위배액을 쉽게 할 수 있다.
②심호흡과 기침등을 통해 기도의 분비물을 뱉어 냄으로써 숨쉬는데 어려움을 줄인다.
-평가
5/15일 호흡수가 30회에서 22회로 줄고 얇게 쉬는게 줄어들었다. 자발적으로 심호흡과 기침을 하지는 않으시지만 매시간씩 하도록 격려를 하면 하도록 노력하시었다. 그러나 호흡시 그르렁거리는 소리는 아직 남아계셨다.
#2. 수분이동과 관련된 체액부족
-주관적자료: “몸이 많이 부은것 같아”
-객관적자료: 피부의 긴장도가 떨어져있다.(양쪽 사지, 양쪽 하지쪽으로 pitting edema가 심하다. 몸이 차고 축축하다. 하루 소변량의 양이 정상보다 낮다.(1500이하) 알부민수치가 정상보다 낮았다.(2.9g/dl), 점막이 노랗다.
-목표: 5/15일까지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이 유지된다.
-계획/수행
①수분과 전해질 상태를 사정한다.(피부 긴장도, 점막, 활력징후)
②복수 여부를 사정한다.(매일 복부 둘레를 측정한다.)소화가 잘되게 앉은 자세를 취한다.
③혈액검사, ABGA 결과를 관찰한다.
④1시간마다 환자의 배설량을 관찰한다.
-평가
5/15일 양쪽 사지와 하지쪽의 edema는 줄어들었고 차고 축축한 정도는 덜 하였고 하루 섭취량과 배설량은 약간 균형을 아직 못 이루었고 점막은 약간의 황색끼만 보이게 되고 복수는 AC의 103cm에서 99cm로 줄어들고 Sodium(135~145mEq/l), Potassium(3.5/5mEq/l), Chloride(98/110mEq/l) 정상수치를 유지하고 계신다.
#3. 복막 자극과 관련된 통증
-주관적자료: “배가 아파” 어떻게 아프세요? “예리한게 찌르는듯이 아파.”
-객관적자료: 통증호소시 HR, RR, BP가 상승함
-목표: 5/15일까지 통증과 불편감이 감소한다. 췌장의 자극이 감소한다.
-계획/수행
①완화되지 않는 통증이나 강도가 증가하는 통증은 보고한다.
②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한다(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시킨다.)
③구강섭취를 금한다.
④침상안전하도록 한다.
③집에서 가지고 놀던 장난감을 놀도록 권했고, 놀이 수행시 그 행위를 장려하였으며 불안감을 감소시켜 주었다.
-평가
5월 15일 통증사정점수는 4점에서 2점으로 감소되고 진정상태도 3점으로 대상자는 통증이 완화되었고 움직이거나 체위변경시에 통증과 불편감이 심해지지 않았다. 편안하게 휴식하고 수면을 취하는 시간이 증가하였고 수분과 음식의 섭취를 하지 않았고 침상안정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본인이 왜 수분 및 식이제한을 하는 이유를 알게 되셨다.
Ⅴ결론 및 제언
양○○님은 SICU 입원 이후 꾸준히 치료를 받으셨다. 그러나 대상자는 다른 대상자들에 비해 의지력이 약하신 분이여서 옆에서 지지가 약간 필요하신 분이였다.
양○○님은 직업상 술자리가 잦아서 하루에 소주 1~2병 정도를 자주 드셔서 간과 췌장이 손상을 많이 받은 상태였다. 대상자를 급성췌장염으로 인해 췌장 농양과 호흡기 합병증은 늑막 삼출까지 오게 되셔서 통증을 호소하시며 호흡을 하시는데 어려움이 있으셨다. 대상자를 위해 대상자에게 적용되고 있는 chart내용을 숙지하고 왜 이러한 치료가 이행되는지를 공부하고 학생으로써 가능한 간호를 수행하는데 노력하였다. 그러나 호흡양상을 위한 간호를 하였지만 호흡시 그르렁거리는 소리는 남아있었고 대신 통증은 많이 경감되어서 대상자는 편안하게 주무시는 시간이 늘어났다.
이번 전남대학교병원 SICU 실습에서는 간호 학생으로써 많은 간호학적 내용을 관찰하고 수행하려고 노력하였다. 특히 대상자와 면담하고 함께 할 수 있는 것들이 많이 제약을 받는 곳이여서 환자의 정보를 얻는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환자에게 맞는 간호수행을 선택하여 직접 해볼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처음에는 중환자라는 생각에 걱정을 많이 하였지만 자주 마주치고 eye contact하니깐 말은 많이 못 나누지만 친해지고 마음으로 교감한것 같아서 좋았다. 아직 학생으로써 많이 배우고 부족한 시기여서 그런지 괜히 마음만 좀 더 앞쓰고 조급해한거 같아 아쉽기는 하지만 지난 2주 동안 선생님 곁에서 환자를 care 하는 모습과 중환자실이 어떤 시스템으로 구성되고 운영되는 지를 알았고 감염관리, 환자관리, 상호간에 관계들 보호자들 관리 등 많은 걸 알고 배워가는 좋은 기회가 되었던 것 같아서 좋았고 좀 더 공부하여 대상자에게 적용해보고 학교에서 배운 이론과 실습과의 차이를 많이 알고 배움이 넓어졌으면 한다.
※참고문헌
1. 전시자 김강미자 박정숙 이미화 조경순 김희경 박순옥 배영숙 조경숙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721p2. 김금순 권은옥 김명애 박옥항 송경자 송라윤 신현주 유정숙 이영회 임동식 조용애 조정숙 중환자간호 군자출판사 290p3. 간호진단 포켓 가이드 북 (2002), 고성희김명애 외 공저, 현문사 47P 95P 112P4. 간호진단-진단분류의 이론과 실제 (1995), 한윤복 외 공저, 현문사 69P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1.25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80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