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U Case)외과중환자실(SICU) 췌장암 case study(케이스스터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ICU Case)외과중환자실(SICU) 췌장암 case study(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정의 및 원인
2. 증상
3. 진단 방법
4. 치료와 간호

Ⅲ. 간호과정
1. 일반적 자료
2. lab 검사
3. 약물 처방
4. 간호진단

Ⅲ. 느낀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 폐농양, 신우신염, 방광염, 복막염, 패혈증
1일 400mg 2회 분할 근융주사 또는 30분~1시간에 걸쳐 점적정맥주사
본제 또는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물질 및 바시트라신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 임부 및 수유부
Tomizole 500mg
트리코모나스증, 혐기성균 감염증, 아메바증, 람블편모충증
트리코모나스증 : 단회요법-저녁 1.5g, 5회요법- 아침, 저녁 간 500mg
혐기성균 감염증 : 초회 500~1000mg 점적정맥주사, 5~10일간 12시간 또는 24시간마다 1g씩 점적정맥주사
아메바증 : 아메바성 이질-저녁 1.5g, 단회 3일요법, 모든 형태의 아메바증-아침 저녁 각 500mg 씩 5~10일 요법
람블편모충증 : 저녁에 1.5g, 단회 1~2일 요법
이 약 및 이 약에 포함된 성분에 과민반응 환자, 기질적 신경계 질환 환자, 특히 간질,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중추신경계 질환자, 혈액질환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4. 간호진단
#1 외과적 절개와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사정
O-data
통증척도 NRS 6점
S-data
“배가 너무 아파요.”
“안아프게 해주세요.”
“너무 아파. 얼음찜질이라도 해줘”
간호목표
대상자는 편안한 느낌과 통증의 완화를 표현한다.
간호계획
① 통증 양상을 사정한다.
② 통증이 심할 시 알리도록 한다.
③ 통증이 완화되는 체위를 유지하고 지지적이며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한다.
④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⑤ PCA 사용법을 교육하고 효과를 사정한다.
#2 염증 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간호사정
O-data
5/24 WBC 20,500 , 5/25 WBC 18,600
5/24 16:00 T - 37.4℃
17:00 T - 37.6℃
18:00 T - 37.3℃
19:00 T - 37.3℃
S-data
“내 몸이 너무 뜨거워.”
간호목표
정상범위 체온을 유지한다.
간호계획
① 담요를 걷고 미온수로 몸 전체를 닦아 준다.
② 오한이 심하면 이불을 덮어주고 멍춘 뒤 ice pack을 천으로 싸서 적용한다.
③ 처방에 따라 혈액, 소변, 객담, 상처 배양 검사를 실시한다.
④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한다.
⑤ 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3 수술 부위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사정
O-data
5월 16일 OP(pancreatecotmy)
5월 22일 TAE OP(Ligation of splenic artery & vein, Distal pancreatectomy, splenectomy)
5/24 WBC 20,500 , 5/25 WBC 18,600
J-P 흡인백 유지
S-data
간호목표
① 백혈구 수치를 정상범위로 유지한다.
② 감염의 증상과 징후 파악한다.
③ 감염의 위험성이 없다.
간호계획
① 백혈구 수치를 모니터하고 상승 혹은 하강 시 보고한다.
② 수술부위 간호 시 철저한 무균술을 적용한다.
③ 튜브의 위치 수시 확인, 배액백의 높이를 삽입 부위 보다 항상 낮게 유지한다.
#4 불확실한 예후, 질환 재발과 관련된 불안
간호사정
O-data
S-data
“(electroade 재부착 중)왜요.. 또 제 몸에 문제가 생긴거에요?”
“나 너무 걱정스러워.”
간호목표
① 대상자는 불안을 표현하고 원인을 확인한다.
② 대상자는 불안 행동을 감소시키는 활동을 나열한다.
간호계획
① 대상자의 표현에 주의깊게 경청한다.
② 치료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한다.
③ 검사, 시술의 모든 절차를 설명한다.
④ 검사, 시술, 수술 등의 부작용과 합병증 예방에 대해 설명한다.
Ⅲ. 느낀점
실습을 나오기 전까지는 중환자실이라는 이름부터 느껴지는 자체가 무겁고, 중증환자만 연상되는지라, 실습 전부터 조금은 걱정이 앞서기도 했다. 내가 잘 끝마칠 수 있을지, 많은 것을 보고 배우고 중환자실의 실습전보다 간호에 대한 시야가 조금은 더 넓어 질 수 있을지에 대한 많은 생각이 들었다. 실습 첫날부터 울려대는 알람 소리와 환자 개개인마다 비치되어 있는 모니터를 보면서 내 눈은 이미 중환자실이라는 분위기에 위축되어 있었다. 지금 당장 티비에서만 접하던 것처럼 어느 환자의 심장이 멈춰 응급상황이 벌어질 듯 무서운 느낌이 들었다. 중환자실은 병동보다 환자 개개인에게 집중적인 치료가 이루어진 곳이다. 그래서 내가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상태가 완쾌되어 병동으로 올라가는 환자들도 더러 많이 있었지만 안타깝게 생명의 끈을 잇지 못하고 결국 가족의 품을 떠나게 되는 환자들도 있었다.
환자들에게 조금은 측은한 마음도 들었고 마음 한구석이 찡할 정도로 안타까운 마음도 들었다. 한편으론 건강히 내 옆을 지켜주는 내 모든 사람들에게 너무나도 고마운 마음이 들기도 했다. 그리고 앞으로 배우고 쌓아가야 할 지식이 아직도 많이 남아있다는 것도 뼈저리게 느꼈다.

pancreatic cancer
췌장암
pancreatectomy
췌장절제술
splenectomy
비장절제술
TAE(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간동맥 색전술
pancreas
췌장
duct of Wisung
췌장관
pancreatitis
췌장염
ERCP(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
역행성 내시경 담관췌장조영술
Whipple′s operation
휘플수술
jaundice
황달
DM(diabetes mellitus)
당뇨
<참고문헌>
1. 서문자 외 (2004), 다섯째판 성인간호학. 수문사.
2. 전시자, 김강미자, 김희경 외(2010)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3. 송미순 외 (2001),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4.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5. 이은옥 외 (1992),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 출판부
6. 최공옥 외 (2003), 건강사정, 현문사
7. 신은주, 조영희, 남미라(2007) 기본간호학. 신광출판사
8. 김경선, 정미현, 박경은, 이영미, 전은히, 홍정주(2010). 알기쉬운 의학용어 및 영어회화. 신광출판사
9. 이성호(2009). 인체해부학. 현문사
10.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 가격2,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1.06.24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63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