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와_일본의_망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아직도 계속되는 침략

1. 일본의 망언과 망론

2. 독도와 일본의 역사왜곡

3. 동해, 조선해, 일본해

본문내용

동해로 표기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더욱이 세계 여러 나라들은 일본 해상보안청 수로부에서 일본해로 표기하여 제작한 지도를 참고하여 일본해로 표기된 또 다른 지도를 반복적으로 재생산하고 있다. 물론, 이들 지도는 우리나라에서도 쉽게 구해 볼 수 있다.
동해의 고유이름 조선해라는 표기는 우리의 옛 지도와 문헌에서뿐만 아니라 바로 일본의 문헌에서도 확인된다. 일ㄹ본 해군수로국은 이후 우리나라 해안에 eoi한 정탐 내용을 수록한 수로잡지에서 오늘날의 독도 지리를 설명하면서도 분명히 “조선해”라고 표현하고 있엇다. 이 잡지에서는 또한 조선해를 다른 나라 사람들이 일본해로 잘못 알고 있다는 사실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조선해는 일본에 의해 서서히 강점되면서 1891년부터 일본해로 둔갑되어 갔다.
결국 조선해가 일본해로 둔갑한 이후, 이어서 1905년 2월 22일 우리의 고유영토 독도는 일본의 다께시마로 둔갑하였다. 또한 그로부터 5년 후, 1910년 대한제국은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강점되어 식민지로 전락하는 치욕의 역사를 경험하게 된다.
오늘날 일본은 과거의 참략을 반성하기는 커녕 일본해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일본의 바다’로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국적도 없는 동해로 뒷걸음치고 있다. 조선해이거나 일본해이거나 여기에는 영해도 있고 공해도 있기 마련이다. 그러나 일본의 바다라고 부른다면, 일본의 영해만 있지 공해는 존재하지 않는다. 민족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바다의 명칭이 지니는 국제법적 함축성은 너무나 크다. 따라서 아무리 이 문제를 강조해도 지나치지않는다.
이제는 동해가 아니라 조선해다.

키워드

망언,   독도,   일본,   주권,   보수,   동해,   조선해,   일본해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6.29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35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