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의관계 - 의미 동질성 점검법
2. 유의성과 동음성을 함께 갖고 있는 단어의 소실
3. 반의어의 종류 세가지
4. 다의어 발생요인
5. 동음충돌 회피방법
6. 의미변화 - 사회적, 심리적 원인
7. 의미변화의 결과
8. 중의문, 중의성
2. 유의성과 동음성을 함께 갖고 있는 단어의 소실
3. 반의어의 종류 세가지
4. 다의어 발생요인
5. 동음충돌 회피방법
6. 의미변화 - 사회적, 심리적 원인
7. 의미변화의 결과
8. 중의문, 중의성
본문내용
다음으로 가치의 변화가 생긴다. 언어는 밀폐된 상자에 고정되어 있기보다는 개인의 심리나 태도 또는 문화적 배경과 사회적 여건 등에 따라 무단히 유동하는 개방적 존재이기 때문에 정체되지 않고 언제나 독특한 자기 모습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언어는 부정적이든 긍정적이든 독특한 가치 체계를 형성하고 끊임없이 변화시킨다. 이 의미가치의 변동 방향은 이론적으로 세 갈래이다. 경멸적인 쪽으로 발전하는 경우와 그 반대인 개량적인 쪽으로 발전하는 경우, 그리고 경멸도 개량도 아닌 중립적 방향에 머무르는 경우가 그것이다. 마지막의 중립적 방향은 엄밀한 의미에서 변화의 방향이라고 할 수 없으므로 미적 가치는 경멸적인 쪽과 개량적인 쪽의 양극으로 진행된다고 볼 수 있다.
8. 중의문, 중의성
여러 개 문장이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특성을 문장의 유의성 이라고 한다면, 하나의 문장이 여러 개의 의미를 나타내는 특성을 문장의 중의성 이라 하고, 의미가 여러 개로 해석될 수 있는 문장을 ‘중의문’이라 한다. 이러한 중의문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손’이 여러 의미로 파악되는 것처럼 ‘단어의 중의성에 의한 문장의 중의성’을, 두 번째로 심층적으로 보면 두 개의 서로 다른 문장인데 표면적으로만 한 개의 문장이 나타나는 ‘문장의 구조 차이로 인한 통사적 중의성’을, 세 번째로, 부정 표현에 대한 화자와 청자의 입장이 다른 ‘부정 표현으로 인한 문장의 중의성’을, 마지막으로 상황이 어떠냐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에 따른 중의성으로 중의문은 성립된다.
▶ 참 고 문 헌 ◀
「국어의미론」, 조항범, 와이제이학사고시, 2001.
8. 중의문, 중의성
여러 개 문장이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는 특성을 문장의 유의성 이라고 한다면, 하나의 문장이 여러 개의 의미를 나타내는 특성을 문장의 중의성 이라 하고, 의미가 여러 개로 해석될 수 있는 문장을 ‘중의문’이라 한다. 이러한 중의문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손’이 여러 의미로 파악되는 것처럼 ‘단어의 중의성에 의한 문장의 중의성’을, 두 번째로 심층적으로 보면 두 개의 서로 다른 문장인데 표면적으로만 한 개의 문장이 나타나는 ‘문장의 구조 차이로 인한 통사적 중의성’을, 세 번째로, 부정 표현에 대한 화자와 청자의 입장이 다른 ‘부정 표현으로 인한 문장의 중의성’을, 마지막으로 상황이 어떠냐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에 따른 중의성으로 중의문은 성립된다.
▶ 참 고 문 헌 ◀
「국어의미론」, 조항범, 와이제이학사고시, 200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