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Introduction)
- 본론(Body)
(1) User Survey
(2) Objectives Tree
(3) Quality Function Deployment
(4) Function Analysis
(5) Generating Alternatives
- 결론(Summary and Conclusion)
- 본론(Body)
(1) User Survey
(2) Objectives Tree
(3) Quality Function Deployment
(4) Function Analysis
(5) Generating Alternatives
- 결론(Summary and Conclusion)
본문내용
것이다.
(2) Objectives Tree
화장실 디자인에 앞서 화장실 디자인의 기본 3가지 목표를 정하고 이것들을 기준으로 목표 수형도법을 통해 아래의 그림을 그려 보았다. 아래의 내용은 조원들 간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얻은 결과이다. 이것은 디자인 전에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디자인 과정에서 들어간 것도 있고 빠진 것도 있다.
< 그림 2-1 목표 수형도(Objective Tree) >
(3) Quality Function Deployment
< 그림 3-1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 >
QFD를 통해서 사용자의 요구와 그 해결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이 과정을 통하여 최상위 항목 7가지를 선정하여 이를 중점적으로 디자인하였다.
1. 바로 바로 비워지는 휴지통
2. 민망한 소리를 차단하는 방음장치
3. 일상정보 제공
4.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문
5. 좌변감을 높이는 메모리폼을 이용한 변기
6. 물내리는 장치를 버튼식으로
7. 팔을 기댈 수 있는 팔걸이
(4) Function Analysis
공중화장실 칸의 사용에 있어서 대략적인 사용 순서 및 기능에 대한 그림을 아래와 같이 그려 보았다. 처음에 사람이 화장실 칸에 들어가서 문을 잠그게 되면 문 밖에는 자동으로 ‘사용중’ 등이 켜지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현재 많은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고 그 편리성 또한 확인된바 있다. 본 설계에서도 기존의 잘되어 있고 사용하기 편리한 점은 그대로 적용하여 편리성을 유지해 나갈 것이다.) 그 후 용변을 보게 되고 ‘물내림 버튼’을 누르면 물이 내려감과 동시에 휴지통 물도 함께 내려간다. 또 동시에 방향제가 같이 발포되어 냄새를 줄이는 동시에 향긋함 마저 전달해 준다. 이후 문을 열고 나가게 되면 ‘사용중’ 등이 꺼지게 된다. 이 기능 분석으로는 특별한 것을 거의 찾아볼 수 없는데, 아래의 챕터에서 다양한 기능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 그림 4-1 기능 분석(Function Analysis) >
※ 부가적인 기능(Additional Function)
① 일상 정보 제공 기능
- 화장실에서 볼일을 보는 시간이 많지는 않지만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일상의 정보를 제공해 주면 좋겠다는 생각 하에, 화장실 안쪽 벽면에 조그만 액정을 부착하여 날짜 및 시간, 그리고 간단한 기상정보 및 헤드라인 뉴스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소재로는 전자시계나 전자계산기 등에 사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저 비용으로 표시가 가능하게 한다. 이동 통신사의 정보망을 이용하면 매 시간 정보 업데이트도 어렵지 않을 것이다.
< 그림 4-2 일상 정보 제공 기능 디스플레이 예시 >
② 팔걸이 장치
- 흔히 의자에는 팔걸이 장치가 되어 있어 사용을 팔을 편안하게 놓을 수 있게 했다. 이것을 좌변기에도 적용하여 앉았다가 다시 일어날 때 몸이 무거운 사람들도 수월히 일어날 수 있고 용변 시에도 팔을 편안하게 기댈 수 있게 하여 편안한 좌변감(좌변기에 앉았을 때 편안함을 주는 느낌)을 실현한다.
③ 메모리 폼 좌변 커버
- 조금 더 편안한 좌변감을 위해서 현재 시중에 베게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메모리 폼 신소재를 활용하여 앉았을 때 각자의 엉덩이 사이즈에 맞게 감싸주는 형태로 변형되어 좀 더 편안하게 용변을 처리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 소재는 열 전도율이 낮아서 차가운 플라스틱에 앉았을 때 느끼는 불편함 또한 해결할 수 있다.
< 그림 4-3 메모리 폼 소재 >
④ 3단 접이식 문
- 화장실 칸에 출입할 때 안쪽 공간은 좁은데 반해 문이 안쪽으로 열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몸을 비틀어 비집고 나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3단 접이식 문을 채택하였다. 문을 밀고 들어갈 때나 나올 때에 문이 3단으로 접혀서 옆으로 밀리는 방식이다. 이 문은 일본의 OLETTO DOOR 사에서 개발된 제품으로 공간 실용성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채택하였다.
< 그림 4-4 3단 접이식 문 >
⑤ 방음 장치
- 불편의 요소 중 큰 퍼센트를 차지했던 생리 현상의 소리를 해결하고자 화장실 칸에 방음 장치를 설치해 안에서 나는 소리가 밖에 까지 들리지 않도록 한다.
(5) Generating Alternatives
< 표 4-1 화장실 각 부분에 대한 형태학적 도표 >
1
2
3
4
5
6
문
열리는 형태
밀기
버튼식
당기기
자동
손잡이
잠금장치
물내리기
휴지
변기형태
※선택항 : 문(5) - 열리는 형태(1) - 손잡이(4) - 잠금장치(2) - 물내리기(2)
- 휴지(6) - 변기 형태(3)
각 항목의 최상의 것으로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선택하여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9. Summary and Conclusion
이번 화장실 칸 디자인에서는 전체적인 것 보다는 부분별로 초점을 맞추어 3가지 목표 즉 깨끗함, 편리함, 아늑함을 위주로 디자인하였다. 문은 3단으로 접히는 문을 채택하여서 들어올 때와 나올 때 모두 밀면서 이동하면 3단으로 접혀서 접히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출입 시에 편리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화장실 칸 안에서 볼일을 보면서 시간이나 날짜 및 날씨에 관한 정보를 주는 작은 화면을 휴지걸이 위쪽에 설치하여서 또한 편리함을 더했다. 깨끗함을 추구하기 위해 더러운 면으로 강조 되었던 휴지통의 휴지를 말끔하게 없애서 휴지통을 벽면에 바로 외부로 나가게 하여 칸 안을 좀 더 깔끔하게 하고, 쓰레기통을 비우는 수고를 덜어주게 하였다.
또한 아늑한 좌변감을 위하여 좌석에 얇은 두께로 메모리 폼 소재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사이즈에 맞게 변형되어 감싸주기 때문에 오래 앉아 있어도 불편하지 않게 하였다. 팔걸이를 추가해 일어날 때 집고 일어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물을 내릴 때 변기 뒤쪽으로 몸을 돌려 물을 내리는 불편을 없앨 수 있도록 물 내리는 버튼을 앞쪽으로 설치하였다. 이때 이 버튼을 누르게 되면 변기의 물 뿐만 아니라 휴지통에도 물이 함께 내려가기 때문에 휴지통에 오물이 묻어 불쾌할 수 있는 요소를 없앴다. 마지막으로 변기의 형태를 가운데 쪽을 약간 길게 만들어 남성들이 앉아서 소변을 볼 때 불편함을 줄였다.
(2) Objectives Tree
화장실 디자인에 앞서 화장실 디자인의 기본 3가지 목표를 정하고 이것들을 기준으로 목표 수형도법을 통해 아래의 그림을 그려 보았다. 아래의 내용은 조원들 간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얻은 결과이다. 이것은 디자인 전에 작성한 것이기 때문에 디자인 과정에서 들어간 것도 있고 빠진 것도 있다.
< 그림 2-1 목표 수형도(Objective Tree) >
(3) Quality Function Deployment
< 그림 3-1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 >
QFD를 통해서 사용자의 요구와 그 해결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이 과정을 통하여 최상위 항목 7가지를 선정하여 이를 중점적으로 디자인하였다.
1. 바로 바로 비워지는 휴지통
2. 민망한 소리를 차단하는 방음장치
3. 일상정보 제공
4.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문
5. 좌변감을 높이는 메모리폼을 이용한 변기
6. 물내리는 장치를 버튼식으로
7. 팔을 기댈 수 있는 팔걸이
(4) Function Analysis
공중화장실 칸의 사용에 있어서 대략적인 사용 순서 및 기능에 대한 그림을 아래와 같이 그려 보았다. 처음에 사람이 화장실 칸에 들어가서 문을 잠그게 되면 문 밖에는 자동으로 ‘사용중’ 등이 켜지게 된다. (이러한 기능은 현재 많은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고 그 편리성 또한 확인된바 있다. 본 설계에서도 기존의 잘되어 있고 사용하기 편리한 점은 그대로 적용하여 편리성을 유지해 나갈 것이다.) 그 후 용변을 보게 되고 ‘물내림 버튼’을 누르면 물이 내려감과 동시에 휴지통 물도 함께 내려간다. 또 동시에 방향제가 같이 발포되어 냄새를 줄이는 동시에 향긋함 마저 전달해 준다. 이후 문을 열고 나가게 되면 ‘사용중’ 등이 꺼지게 된다. 이 기능 분석으로는 특별한 것을 거의 찾아볼 수 없는데, 아래의 챕터에서 다양한 기능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 그림 4-1 기능 분석(Function Analysis) >
※ 부가적인 기능(Additional Function)
① 일상 정보 제공 기능
- 화장실에서 볼일을 보는 시간이 많지는 않지만 간단히 확인할 수 있는 일상의 정보를 제공해 주면 좋겠다는 생각 하에, 화장실 안쪽 벽면에 조그만 액정을 부착하여 날짜 및 시간, 그리고 간단한 기상정보 및 헤드라인 뉴스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소재로는 전자시계나 전자계산기 등에 사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저 비용으로 표시가 가능하게 한다. 이동 통신사의 정보망을 이용하면 매 시간 정보 업데이트도 어렵지 않을 것이다.
< 그림 4-2 일상 정보 제공 기능 디스플레이 예시 >
② 팔걸이 장치
- 흔히 의자에는 팔걸이 장치가 되어 있어 사용을 팔을 편안하게 놓을 수 있게 했다. 이것을 좌변기에도 적용하여 앉았다가 다시 일어날 때 몸이 무거운 사람들도 수월히 일어날 수 있고 용변 시에도 팔을 편안하게 기댈 수 있게 하여 편안한 좌변감(좌변기에 앉았을 때 편안함을 주는 느낌)을 실현한다.
③ 메모리 폼 좌변 커버
- 조금 더 편안한 좌변감을 위해서 현재 시중에 베게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메모리 폼 신소재를 활용하여 앉았을 때 각자의 엉덩이 사이즈에 맞게 감싸주는 형태로 변형되어 좀 더 편안하게 용변을 처리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 소재는 열 전도율이 낮아서 차가운 플라스틱에 앉았을 때 느끼는 불편함 또한 해결할 수 있다.
< 그림 4-3 메모리 폼 소재 >
④ 3단 접이식 문
- 화장실 칸에 출입할 때 안쪽 공간은 좁은데 반해 문이 안쪽으로 열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몸을 비틀어 비집고 나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3단 접이식 문을 채택하였다. 문을 밀고 들어갈 때나 나올 때에 문이 3단으로 접혀서 옆으로 밀리는 방식이다. 이 문은 일본의 OLETTO DOOR 사에서 개발된 제품으로 공간 실용성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채택하였다.
< 그림 4-4 3단 접이식 문 >
⑤ 방음 장치
- 불편의 요소 중 큰 퍼센트를 차지했던 생리 현상의 소리를 해결하고자 화장실 칸에 방음 장치를 설치해 안에서 나는 소리가 밖에 까지 들리지 않도록 한다.
(5) Generating Alternatives
< 표 4-1 화장실 각 부분에 대한 형태학적 도표 >
1
2
3
4
5
6
문
열리는 형태
밀기
버튼식
당기기
자동
손잡이
잠금장치
물내리기
휴지
변기형태
※선택항 : 문(5) - 열리는 형태(1) - 손잡이(4) - 잠금장치(2) - 물내리기(2)
- 휴지(6) - 변기 형태(3)
각 항목의 최상의 것으로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선택하여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9. Summary and Conclusion
이번 화장실 칸 디자인에서는 전체적인 것 보다는 부분별로 초점을 맞추어 3가지 목표 즉 깨끗함, 편리함, 아늑함을 위주로 디자인하였다. 문은 3단으로 접히는 문을 채택하여서 들어올 때와 나올 때 모두 밀면서 이동하면 3단으로 접혀서 접히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출입 시에 편리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화장실 칸 안에서 볼일을 보면서 시간이나 날짜 및 날씨에 관한 정보를 주는 작은 화면을 휴지걸이 위쪽에 설치하여서 또한 편리함을 더했다. 깨끗함을 추구하기 위해 더러운 면으로 강조 되었던 휴지통의 휴지를 말끔하게 없애서 휴지통을 벽면에 바로 외부로 나가게 하여 칸 안을 좀 더 깔끔하게 하고, 쓰레기통을 비우는 수고를 덜어주게 하였다.
또한 아늑한 좌변감을 위하여 좌석에 얇은 두께로 메모리 폼 소재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사이즈에 맞게 변형되어 감싸주기 때문에 오래 앉아 있어도 불편하지 않게 하였다. 팔걸이를 추가해 일어날 때 집고 일어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물을 내릴 때 변기 뒤쪽으로 몸을 돌려 물을 내리는 불편을 없앨 수 있도록 물 내리는 버튼을 앞쪽으로 설치하였다. 이때 이 버튼을 누르게 되면 변기의 물 뿐만 아니라 휴지통에도 물이 함께 내려가기 때문에 휴지통에 오물이 묻어 불쾌할 수 있는 요소를 없앴다. 마지막으로 변기의 형태를 가운데 쪽을 약간 길게 만들어 남성들이 앉아서 소변을 볼 때 불편함을 줄였다.
추천자료
가족, 지역, 재가복지의 종류 및 기능
지역사회복지기능과 활동
[미디어정치][미디어][정치]미디어와 정치의 관계, 미디어정치의 정의, 미디어정치의 의의, ...
효율적 직무분석의 프로세스와 전개 방향
급식 서비스 품질 경영 & 급 식 위 탁 경 영
집단탐구수업(집단탐구학습)의 개념과 필요성, 집단탐구수업(집단탐구학습)의 과정과 전개, ...
서예수업(서예교육, 서예영역지도)의 이론적 내용과 전개, 서예수업(서예교육, 서예영역지도)...
[정당][정당정치][정당개혁][정당정치개혁][한국정당][한국정치][야당][정치개혁]정당(정당정...
[조사학습][조사보고학습]조사학습(조사보고학습)의 정의, 조사학습(조사보고학습)의 특징과 ...
<(기술&#8228;가정과)교수-학습 지도안> Ⅰ. 의복 마련과 관리 - 1. 의복의 기능과 옷차림...
사회복지관의 3대 기능 중 지역조직화기능은 태생적 기능임에 분명한데 지역조직화작업과 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