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활동][공공기관 자원봉사활동][공공기관]자원봉사활동의 발달과정과 자원봉사활동의 특성 및 공공기관 자원봉사활동의 의의, 공공기관 자원봉사활동의 효과, 공공기관 자원봉사활동의 활용 과제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원봉사활동][공공기관 자원봉사활동][공공기관]자원봉사활동의 발달과정과 자원봉사활동의 특성 및 공공기관 자원봉사활동의 의의, 공공기관 자원봉사활동의 효과, 공공기관 자원봉사활동의 활용 과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자원봉사활동의 발달과정

Ⅲ. 자원봉사활동의 특성
1. 자원봉사활동의 이념적 특성
1) 자기실현
2) 인간존중정신의 실현
3) 사회창조
2. 자원봉사활동의 성격적 특성
1) 자발성(自發性)
2) 연대성(連帶性)
3) 무상성(無償性)
4) 창조성(創造性)
3. 자원봉사활동의 기능적 특성
1) 제도화 촉진 활동
2) 제도 충실 활동
3) 지역사회(Community) 형성 활동
4. 전문직과의 관계
1) 상호의존성
2) 보완성
5.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

Ⅳ. 공공기관 자원봉사활동의 의의

Ⅴ. 공공기관 자원봉사활동의 효과

Ⅵ. 공공기관 자원봉사활동의 활용 과제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활용 민간 기업들과 비영리 조직들로 대표되는 대리인들(proxies)을 통해서 수용해 나갔던 것이다. 이러한 경우 공공 재화와 서비스의 질과 대응성에 관한 책임은 궁극적으로 이들에게 있는 것이며, 행정가들의 역할은 이러한 서비스의 직접적 전달자의 위치에서 그러한 서비스를 실제로 제공하는 제 3 부문을 관리하는 위치로 변화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전개 과정으로 말미암아 정부 서비스 전달에 있어 상당한 자율성을 향유하는 경찰관, 사회복지 요원, 교사 등과 같은 공무원들을 일컫는 일선관료들(street-level bureaucrats)에 대해 다시 정의할 필요성이 대두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변화된 정부 활동에 있어 서비스 담당자들은 반드시 공무원일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은행가나 사업가, 병원 행정가, 세무 회계사 등이 그 역할을 담당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람들 외에도 자신의 시간과 능력을 공공 부문에 봉사하는 데 투자하는 상당한 규모의 시민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공공 관리자들에 있어 자원 봉사자들을 활용하는 기법은 중요한 도구가 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시민의 자원 봉사 활동에 있어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것은 의용 소방대나 경찰 보조 활동 등이지만 공공부문에의 그들의 기여는 이러한 것을 훨씬 뛰어 넘는다. 즉, 범죄 예방 활동, 보건, 복지 서비스, 공원 관리 및 레크레이션, 문화, 예술, 무주택자나 노인들을 위한 프로그램, 교육 등 많은 부문에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이다. 던컴(Duncombe)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 전체 시정부수준에서 60여 유형의 일에 자원봉사자를 활용하고 있다고 하며, ICMA는 예술 프로그램에서 동물원 분야에 이르기까지 29개의 서비스 영역에 참여하고 있다 한다. 따라서 상당한 수의 행정가들은 그들의 조직 생활에 있어 자원 봉사자들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Ⅴ. 공공기관 자원봉사활동의 효과
일반적으로 도시공공서비스는 소비자인 주민과 서비스 전달자의 결합된 노력을 통해서 제공되며, 이 과정에서 주민들의 자발적인 노력의 양과 질이 어떠하냐에 따라 공공서비스의 양과 수준이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도시공공서비스 전달과 관련한 자원봉사활동은 공공서비스의 생산 및 분배과정에 시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공공서비스의 질과 양을 제고할 수 있고, 공공서비스의 공급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주민들의 필요와 요구에 행정관료들의 대응성을 제고시켜 주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공공서비스 전달에 있어서 자원봉사자 참여의 효과란 ‘자원봉사자 참여가 도시공공서비스 전달기관의 역량, 효율성, 서비스 수준, 대외관계에 미친 긍정적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원봉사자 참여의 효과에 대해서는 연구자, 연구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다. ICMA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도시공공서비스 전달 과정에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함으로써 서비스 전달기관의 비용 절감, 서비스 질 향상, 서비스 전달기관의 이미지 개선, 서비스 수준 및 효과 향상, 시민의 수요나 기대에 대한 대응성 증진 등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ICMA). Brudney의 연구에서도 이와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즉, 도시공공서비스 전달에 있어서 자원봉사자들이 참여함으로써 비용절감, 서비스 전달기관의 역량제고, 지역사회 관계 개선, 기관의 이미지 개선, 서비스 질 향상 등의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Brudney). Connors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공공부문에서 자원봉사자 활용의 가장 주목할 만한 이점은 예산절감이며, 이밖에 조직의 능력신장, 서비스 질 향상, 지역사회 관계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서비스의 경우 유급 보조원을 고용하는 경우 2시간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데 비해 자원봉사자를 활용할 경우에는 15시간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Tierce & Seelbach) 자원봉사자 참여는 서비스 전달기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Ⅵ. 공공기관 자원봉사활동의 활용 과제
공공기관(조직)에서의 자원봉사자 활용에 있어서 가장 큰 애로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해서는 『공공조직의 경직성』이 36%로서 가장 높았고,『공무원 권위주의적 형태』(32%),『기존 직원들과의 관계설정·마찰 등의 문제』(21%),『국민들의 공공기관에 대한 반감』(6%) 등의 순이었다.
이는 기존의 공공조직과 행정인이 가지던 전통적 특성, 즉 교과서적인 의미의 경직성·권위주의적 행태·관존민비적 태도 등의 제반 문제점들을 실제 자원봉사자로써 활동하는 시민들이 현재까지도 여실히 느끼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의 개선이 없이는 자율성과 민주성으로 특징지워지는 자원봉사 조직의 활용이 현실적인 어려움들을 많이 초래할 것이라는 예상을 가능하게 해준다. 결국 향후에 공공조직에서 자원봉사의 적극적 활용을 위해서는 제반 관리과정상의 개선과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제고도 필수적이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기존 공공조직과 행정인이 지니고 있는 전통적 특성들을 점차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노력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이다.
Ⅶ. 결론
기술과 지식을 가지고 있어 서비스의 확대 및 서비스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은 대부분 건전한 상식과 사회적 능력을 갖추고 있어 서비스 대상자와의 원만한 관계형성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문가들의 참여가 활성화 될 경우 도시공공서비스 전달기관의 서비스 전달의 성과에 많은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영호, 자원봉사의 의의와 접근방법, 자치행정, 1990
김기선, 자원봉사활동의 방향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84
레인맨, E, S, 외 저, 김옥라 외 역, 자원봉사:사랑의 공동체, 서울: 희성출판사, 1989
류근일, 자원봉사활동의 실태와 문제점, 아산, 1983
양인기, 자원봉사활동 개발론, 서울: 성진문화사, 1981
조휘일, 한국사회복지분야의 자원봉사행동과 관련된 개인 및 조직 특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자원봉사의 이론과 실천, 1986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7.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52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