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의 산 .염기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Title
2.Introduction
3. Principle & Theory
4. Apparatus & Reagents
5. Procedure
6. Resurt
7. Discussion & Feeling

본문내용

aOH 표준용액의 농도
...............................................................
0.5 M
소비된 NaOH의 부피
...............................................................
4 mL
소비된 NaOH의 몰수
2 mmol
남은 HCl의 몰수
HCl과 NaOH가 1:1 반응하기 때문에 소비된 NaOH 몰수는 소비된 HCl의 몰수
4 mol
중화에 사용된 HCl의 몰수
나머지는 중화반응 = 40mL - 4mL
36 mL
제산제의 질량
소다의 분자량 소비된 NaOH의 몰수
= 0.002mol
0.168 g
제산제의 순도
16.8 %
7. Discussion & Feeling
이번 실험은 우리가 지금까지 했던 실험들 중 가장 정확한 측량이 요구되는 정량적인 실험이라고 생각된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오차 원인이 있겠지만 오차의 가장 큰 원인은 정확하지 못한 측량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적정점을 측정할 때 뷰렛의 코크를 한꺼번에 열어 많은 용액이 흘러나와 정확하게 측정하지 못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페놀프탈레인 지시약도 과다하게 넣은 것이 오차를 생기게 한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우선 적정을 할 때에는 NaOH용액을 천천히 넣어야 오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고 페놀프탈레인의 색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페놀프탈레인을 너무 많이 넣으면 PH에 변화가 생겨 실험이 부정확해 질 수 있다.
실험을 조금 더 정확하게 하려면 삼각플라스크 밑에 흰 종이를 놓아 색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편한 방법일거 같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7.16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56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