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염기의 적정-레폿 월드에 제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산,염기의 적정-레폿 월드에 제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실험 목적
2.실험 원리
3.실험기구 및 시약
4.실험과정
5.실험결과
6.토의

본문내용

하는 실험이다. H+의 몰 수 = nMV,
OH-의 몰 수 = n'M'V' (n : 산 또는 염기의 가수, M : 몰 농도, V : 용액의 부피)당량점에서 산-염기의 몰 수는 같으므로, nMV = n'M'V'의 식으로 쓸 수 있다.
그러므로 <실험 1>의 경우 : 1*M*1.00mL = 1*0.2M*4.1mL
∴ M = 0.2M*4.1mL/1.00mL = 0.8M
<실험 2>의 경우 : 1*M*1.00mL = 1*0.2M*4.1mL
∴ M = 0.2M*4.1mL/1.00mL = 0.8M
<실험 3>의 경우 : 1*M*1.00mL = 1*0.2M*4.2mL
∴ M = 0.2M*4.2mL/1.00mL = 0.8M
따라서 식초 중의 HOAc의 평균 몰 농도(M) = (0.8M + 0.8M + 0.8M) ÷ 3 = 0.8M 이다.
8.토의
적정에서 당량점과 종말점의 차이는 당량점은 실험을 하는 과정에서 지시약의 색이 변화하는 지점이다. 지시약은 산성, 중성, 염기성에 따라 색이 변하므로 중화가 되어 색이 변하는 점을 당량점이라고 한다. 그리고 종말점은 이론상에서 H+이온과 OH-이온이 반응을 완료 했을 때 완전히 중화가 된 점을 말한다. 당량점과 종말점의 차이는 당량점을 실험 중의 중화점이고 종말점은 이론상의 중화점을 의미한다. 그리고 당량점과 종말점에는 오차가 있을 수 도 있지만 정확한 값을 구하려면 당량점과 종말점이 일치하는 값을 구해야 한다.
그리고 일상생활 속에서 식초와 같은 산-염기에 산으로는 김치, 귤, 탄산음료가 있고 염기로는 비누, 하수구 세척제, 암모니아, 제산제, 산화칼슘가 있다.
NaOH를 표준화 하는 실험을 하면서 평균 몰 농도와 각 실험에서 나온 몰 농도사이에 오차가 조금 있었다. 이 오차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선 뷰렛을 사용할 때 조금 더 살살 이용했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해서 0.02M 혹은 0.03M 정도 오차가 생겼다. 앞으로는 오차를 최소로 할 수 있게 해야겠다.
그리고 식초 중의 아세트산의 농도를 적정하는 실험에서 식초 중의 HOAc의 농도를 구할 때
그렇게 구하는 게 맞는 지 검산을 못해본 점이 아쉬웠다. 시간이 있었다면 조원들과 비교 하면서 왜 틀렸는지 맞으면 왜 맞는지 생각해 볼 수 있었을 텐데 그렇게 하지 못한 게 아쉬웠다. 앞으로는 여유를 가지고 레포트를 써야겠다.
그리고 이 실험을 통해서 적정이란 정확히 농도를 모르는 용액의 농도를 알기 위해 표준화 된 용액을 가지고 알아보는 것을 말한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중화 적정할 때 당량점과 종말점이 있었다. 당량점과 종말점이 어떤 것인지 그 차이는 무엇인지 공부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겉으로 보기에는 차이가 없는 당량점과 종말점에 대해 깊게 공부하고 나서 이제는 완벽히 구분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제는 농도를 모르는 용액을 만났을 때 당황하지 않고 그 농도를 구할 수 있게 되었고 그 다음 내가 원하는 실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9.참고 문헌
- 줌달의 일반 화학 (사이플러스, 화학교재연구회 옮김)
- 하이탑 화학 2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6.17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41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