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맥마취][케타민][정맥마취 역사][케타민 개념][케타민 특성][케타민 효능][케타민 전망]정맥마취의 역사 고찰과 케타민의 개념, 케타민의 특성, 케타민의 효능, 케타민의 전망 심층 분석(정맥마취, 케타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맥마취][케타민][정맥마취 역사][케타민 개념][케타민 특성][케타민 효능][케타민 전망]정맥마취의 역사 고찰과 케타민의 개념, 케타민의 특성, 케타민의 효능, 케타민의 전망 심층 분석(정맥마취, 케타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정맥마취의 역사

Ⅲ. 케타민의 개념

Ⅳ. 케타민의 특성

Ⅴ. 케타민의 효능

Ⅵ. 케타민의 전망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서 Ketamine의 사용시 특히 유리한 쪽을 생각해 보면 소아 마취에 있어서 탁월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Ketamine 은 onset과 recovery 가 빠르고 특히 성인보다는 소아에 있어서 심각한 후유증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Ketamine은 control이 힘들고 대화가 통하지 않는 소아들의 짧은 구강 수술과 진단적 구강 생검시 성공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다만 상기도 분비의 자극 또는 emergency phenomena와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antisialagogue, Benzodiazepine 등의 동시 투여가 필요할 것이다.
Ⅶ. 결론
우선 과학의 진보가 뒷받침되어야 정맥 마취의 분야도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의 정맥내 진정 및 마취제는 margin of safety가 좁아서 환자의 위험을 최소한하기 위해 전문가가 필요하다. 현재 존재하는 정맥내 약제의 위험성이 없으면서 analgesic, antianxiety 효과를 보일 수 있는 약제가 개발되어야 한다. 한 예로 μ1 receptor에 제한된 자극 효과를 가지고 있는 opioid analgesic은 analgesia과 sedation을 효과적이지만, 호흡억제작용은 없다. 마찬가지로 buspirone에 의해 유도되는 selective antianxiety 효과는 CNS depression없이 두려움과 불안을 반감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약제들로 인해 외래에서는 마취를 향상시키고, 임상가들은 마취제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자동화된 data 기록과 drug delivery system을 연결하는 monitoring 장치의 개발도 활발하게 연구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의 최종목표는 환자의 정신적, 육체적 상태에 기초하여 마취약제를 안전하게 주입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임상가에게 엄청난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다.
참고문헌
고려의학 - 마취와 약물상호작용
김동수·김광우 - 마취과학 포인트, 서울: 군자출판사, 1992
김동수 - 마취과학 어프로치, 서울 : 군자출판사, 1994 p. 52-64
김동수·승익상·이국현·장성호 역 - 마취와 약물상호작용, 서울 : 고려의학, 1997
대한마취과학회 - 마취과학, 개정판, 여문각
서문자 외 - 성인간호학, 수문사, 2004
G. Edward Morgan,Jr 외 - Clinical Anesthesiology.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7.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57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